콘크리트 공사

 

 

1. 콘크리트의 재료 및 저장, 비비기, 운반, 치기, 양생 등은 국토교통부 제정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따른다.  

 

2. 지중 및 가공수전선로 공사에 사용하는 콘크리트는 원칙적으로 레미콘(ready mixed concrete)을 사용하되, 다음의 경우에는 현장에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콘크리트 운반차 진입이 곤란한 협소한 장소.  

2) 콘크리트 사용량이 소량이면서 산재되어 있는 경우.  

3) 기타 인력시공이 불가피한 경우(레미콘 미공급지역 등)

 

[현장 중량배합표(건설 표준품셈)]

                              []



골재의 최대

치수()

배합종류

시멘트()

모래()

자갈 또는

부순돌()

19

(A)

368

921

882

(B)

357

893

931

(C)

351

841

992

25

(A)

357

893

931

(B)

346

828

1,011

(C)

340

779

1,049

40

(A)

335

838

1,032

(B)

323

775

1,101

(C)

318

728

1,157


(1) 적용방법 : 표준배합(B), 모래가 부족한 경우 배합(A), 모래가 많은 경우 배합(C)  

(2) 적용대상 : 소량이거나 중요하지 않은 콘크리트

 

[현장용적배합(건설표준품셈)]

재료

배합비

시멘트()

모래()

자갈()

1:2:4

320

0.45

0.90

1:3:6

220

0.47

0.94

1:4:8

170

0.48

0.96


* 적용대상 : 중요하지 않은 구조물, 도서, 벽지의 소규모 공사

 

 

3. 레미콘 규격

 

구분

최저설계강도

(f/)

굵은골재치수

()

슬럼프(slump) ()

인력타설

기계타설

일반구조물

터널 유사

구조물

무근 콘크리트

180

40

8

12

15

철근 콘크리트

210

25


1) 레미콘은 외기 온도가 25를 넘을 때 1.5시간, 25이하일 때 2시간 정도에서 굳기 시작하므로 그 이전에 레미콘을 운반할 수 있는 거리의 공장을 선정하여 굳기 전에 타설을 마쳐야 한다.

레미콘에 사용하는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를 규정하는 것은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배근 간격보다 굵은 골재가 포함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기계 타설이란, 콘크리트 펌프카(pump car) 또는 콘크리트 펌프 등 콘크리트 타설 기계를 이용한 콘크리트 치기를 말한다.
KSF 4009에 따르면 콘크리트 펌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슬럼프 15㎝이상의 콘크리트를 사용하되, 기초나 경사구조물 등 특수한 경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다.


2) 슬럼프 시험은 콘크리트의 반죽질기(consistency)를 파악, 물-시멘트비를 조절하여 시공성(workability)을 좋게 하고, 성형성(plasticity) 및 마무리(finishing)의 용이성을 가름하여 소정의 강도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는 시험이다.


3) 슬럼프 측정방법은 KSF 4009(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에 따라 높이 30㎝, 밑면 안지름 20㎝, 윗면 안지름 10㎝의 절두 원추형 슬럼프 콘(cone)에 콘 용량의 1/3씩 3층(1층 7㎝, 2층 16㎝ 높이)으로 매층마다 25회씩 다져 넣고, 원추형 콘을 빼내었을 때 콘크리트가 무너져 내린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 슬럼프 값이 된다.  따라서, 물이 많아 반죽질기가 심할 경우 슬럼프 값이 커지기 마련이다.

규격화된 레미콘에 물을 추가하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양생 과정에서 균열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현장에서 임의로 물을 추가해서는 안된다.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철전원 시운전  (0) 2017.10.11
무근콘크리트공사  (0) 2017.10.11
터파기와 되메우기 공사  (0) 2017.10.11
공사용 기기 및 공구류  (0) 2017.10.11
가공선로   (0) 2017.10.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