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반 측정 시 안전작업요령
1. 절연저항 측정 시 유의사항
a) 케이블 등 전선로
1) 도체와 대지간 및 금속차폐층과 대지간의 절연저항을 측정한다.
2) 전압 인가 후에는 충전전류가 흘러 절연저항이 일정하지 못한 경우가 있으므로 측정시간을 일정하게(통상 1분 정도) 할 필요가 있다.
3) 측정 후에는 케이블의 도체를 반드시 접지시켜 잔류전하를 방전시킨다.
4) 절연저항측정은 회로를 개폐할 수 있는 구간별로 실시한다.
b) MOF 등 계기용변성기
MOF 등 계기용변성기는 중성점 접지선을 분리한 후 측정한다.
c) 저압전로
1) 분전반의 주 개폐기 및 분기개폐기를 개방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한다.(측정 후 분전반 주개폐기는 개방하여 둔다.)
2) 각 분전반의 측정이 완료되면 주 배전반에서 각 분전반으로 분기된 간선의 절연저항을 측정 한다.(각 분전반의 주개폐기를 개방하여 두었으므로 배전반에서 분전반까지 간선측정이 됨)
3) 배전반에서의 측정이 완료되면 배전반의 주개폐기부터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원상복구시킨다.
다만, 측정결과 부적합한 회로에 대하여는 고객 측과 협의하여 전원 투입 여부를 결정한다.
4) 절연저항 측정 등에 의한 장시간 정전으로 고객의 생산작업 등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에는 위의 측정순서에 불구하고 고객측과 협의하여 정전시간을 최소로 하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d) 누전차단기 회로
ELB, 형광등(전자식 안정기) 등 절연저항 측정에 의해 해당기기의 파손, 손상 우려가 있는 것(약전기기 등)은 사전에 방호조치를 취한 후 측정한다.
2. 접지저항 측정 시 유의사항
a) 측정 전 유의사항
1) 피측정 접지극의 위치를 파악한 후 보조극 타설위치를 결정한다.
2) 계측기 배터리 상태를 확인한 후 보조극 리드선을 접지저항계 단자에 접속한다.
b) 측정 중 유의사항
1) 접지저항계 보조접지극은 저항구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매설지점으로부터 가능한 충분히(10 m 이상) 멀리 떨어져 측정한다.
- 보조극과 대지와의 접촉저항을 낮게 해야 오차가 적으나 주변여건상 보조극을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 지면에 접지망을 깔고 보조극 리드선(P·C극)을 접속하여 측정한다.
2) 측정점에 지전압이 5 V 이상 발생하면 오차의 원인이 되므로 보조극을 옮겨서 재측정한다.
3) 접지극 매설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측정한다.
- 접지극이 여러 개 시설된 경우 접지저항계의 보조극간 거리를 더욱 멀리 해서 측정한다.
- 인입선 또는 기타 전선로의 아래에서는 접지저항계의 보조접지극이 이들 선로와 평행되지 않도록 하여 측정한다.
4) 접지저항 측정
- 접지저항계에 접지극(E), P극, C극 단자에 각각의 보조극 리드선을 접속한 후 절환스위치를 “E”에 놓고 피측정물의 접지저항을 측정한다.
3. 절연내력 시험 시 유의사항
a) 시험 전 유의사항
1) 절연내력 시험을 하기 전에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이 값이 3 MΩ 이상인 경우 실시한다.
(단, 절연저항계의 정격은 1,000 V 이상의 것)
2) 시험 전에 직류 고전압 절연내력 시험기준 및 방법 등을 충분히 숙지하도록 한다. 특히, 책임분계점의 개폐기가 PAD S/W 등일 경우 개폐기 개방상태 및 고객측 접속엘보우 분리상태를 확인한 후 실시한다.
- 직류로 케이블의 절연내력을 시험하는 경우 전기적 스트레스 효과, 열화 메커니즘 효과, 공간전하 효과 등에 의하여 직류시험에서 검출되지 않은 결함들이 교류 운전 중에 발생되 거나, 직류시험으로 인해 결함 발생 및 열화가 가속되어 교류 운전 중 사고로 이어지는 등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내전압 시험값을 낮추는 등 시험에 유의해야 한다.
3) 케이블의 경우 헤드 및 스트레스콘, 기기의 경우 부싱을 잘 닦아 습기· 먼지를 제거하고 시험한다.
4) 기기별 또는 상별로 자체만 시험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모선 등과 일괄하여 시험한다.
5) 계측장비의 공급전원 불안정에 의하여 이상현상(지침 불안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정 적인 전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b) 시험 중 유의사항
1) 접지형 계기용변압기는 1차 접지측 단자와 외함간에 전압을 인가한다.
2) 시험전압을 인가한 후 1분 경과 시의 누설전류와, 10분 경과 후의 누설전류를 측정한다.
3) kick 발생 여부는 전류계의 지침 변화를 관찰하여 측정한다.
4) 시험전압 상승 중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는 시험을 중단하고 원인을 파악한 뒤 고객 에게 충분히 설명한다.
4. 계전기 및 차단기 시험 시 유의사항
a) 시험 전 유의사항
1) 시험장비 전원의 극성 및 공급상태를 확인한다.
2) 계전기의 이면배선 탈락, 접속단자의 과열, 변색, 이완 여부를 확인한다.
3) 계전기 시험방법 및 조작에 관한 내용은 “계측기 취급설명서”에 의한다.
b) 시험 중 유의사항
1) 계전기 시험기의 부담을 고려하여 전류 및 저항 범위를 적정하게 선택한다.
2) 자체시험 중 최소 동작치 시험 시 AS, VS의 지시상태가 적정한지 확인한다.
- 시한특성 시험의 경우 100% 이상의 전압, 전류를 인가하므로 지시계기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OFF 상태로 둔다.
3) 계전기 특성시험(자체시험) 결과가 특성곡선에 적합한지 확인한다.
- 특성시험 시 기설의 경우에는 계전기 단자에서 시험하고, 신설 또는 변경의 경우에는 결선 확인을 위해 CT, VT, GVT 2차측에서 시험한다.
4) 시험 시 변류기 2차가 개방되어 2차 회로측의 절연파괴를 일으키지 않도록 특히 주의한다.
5) 시험 후 계전기 및 차단기의 상태가 원상태로 복구되었는지 확인한다.
- 계전기의 배선이 바뀌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출처-한국전기안전공사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압에 따른 활선작업요령 (0) | 2018.02.01 |
---|---|
정전작업요령 (0) | 2018.02.01 |
관리감독자 안전보건업무 수행 시 수당지급 작업 (0) | 2018.01.31 |
산업안전보건법상 건설재해 관련 규정 (0) | 2018.01.31 |
안전관계자의 역할 (0) | 2018.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