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해 안전대책
1. 강우에 대비한 안전대책
1) 강우강도에 충분한 배수시설을 확보하고, 정기점검 보수유지를 통해 배수시설 기능을
원활하게 유지한다.
2) 지반사면의 비탈어깨(Top of slope)에 과다응력이 발생되지 않게 하며, 강우 전에 중량
물의 위치치를 안전한 곳으로 옮긴다.
3) 자재를 건물 바깥에 적재할 때는 빗물이 침투하지 않게 하부에 받침대를 설치하고, 방
수제품 비닐시트 등으로 덮는다
4) 수시로 가설전선 절연피복을 점검하고, 전선이 침수되지 않게 한다.
배전반 및 배전시설을 옥외에 설치할 때에는 절연 등에 주의하여 일정 규격의 보관
설비함 내에 설치한다.
5) 필요한 피뢰시설은 철저히 설치하며, 반드시 접지를 한다. 폭발 화재 위험이 있는
물품은 소요요량과 기능이 확보된 장소 안에 보관한다.
6) 전기작업(예:아크용접)은 강우에 노출되지 않게 하고, 습기로 인해 절연이 저하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2. 폭풍에 대비한 안전대책
폭풍으로 인한 위험 폭풍으로 인해 풍하중이 증가하여 구조물 및 가설물의 붕괴, 도괴, 비래사고가 발생하기 쉽다. 작업자와 현장근로자의 전도나 추락사고 위험 외에도 전선의 절단 누전, 감전의 위험도가 커진다.
1) 가설물에 과대풍압이 발생되지 않도록 불필요한 비닐시트 등을 치우고 시트에 통풍
구멍을 내준다.
2) 자재를 적재할 때는 풍향을 에상하여 과대풍압이 생기지 않도록 배치하고, 높게 쌓지
않으며 결속보강을 한다.
3) 폭풍이 불 때는 반드시 필요한 전선을 제외한 모든 전선을 차단
4) 가설물, 구조물, 가설사물실 등은 폭풍을 고려한 역학적 검토를 한 후 안전을 위한 보강
조치를 한다.
5) 고소에 있는 자재 및 공구가 낙하하지 않도록 결속조치를 하며, 가설물도 강풍이 예상
되는 시기 전에 결속을 확인하여 보강조치한다.
3. 폭풍 후의 점검
폭풍우로 인하여 작업을 중단하였다가 재개할 때는 사전에 다음의 사항들을 점검하고, 결격사항들을 보수시정한 후에 작업을 개시한다.
1) 가설물
- 가설재료의 손상여부 및 부착 또는 걸침상태
- 연결부 또는 결속부의 결속상태
- 가시설의 발판 및 손잡이의 상태
- 안전시설의 손상여부 및 결속상태
- 지보공 등의 휨 또는 위치 탈락여부, 접속여부, 재료손상여부
- 거푸집 등의 재료손상, 결속여부 및 침수상태
- 강풍에 의한 손상 및 변형여부
- 접속 및 결속부위의 손상 및 변형여부
2) 지반
- 토질지층의 변화상태
- 비탈면 및 비탈어깨의 이상유무
- 균열의 유무
- 인접지반의 상태
4. 감전사고 위험 포인트
1) 우천 시 바닥과 인체 전기저항의 감소로 인한 감전, 절연저항의 감소로 인한 누전의
위험
2) 가공선로나 전기충전부(분전반, 용접기단자 등)의 접촉 시 감전위험.
3) 임시배선에 의한 감전(접속불량, 정리정돈)에 의한 감전사고.
4) 배수펌프 및 이동용 전기기계, 기구의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절기 안전대책 (0) | 2019.12.13 |
---|---|
직무사상사고 방지대책 (0) | 2019.12.13 |
공정별 안전점검 계획 (0) | 2019.12.10 |
관리감독자 지정 선임서 (0) | 2019.12.10 |
안전관계자 직무 (0) | 2019.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