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퓨즈(P.F)

전력퓨즈는 고압 및 특별고압 기기의 단락보호용 퓨즈이고 소호방식에 따라 한류형과 비한류형이 있으며, 한류형 퓨즈는 높은 아크저항 을 발생하여 사고전류를 강제적으로 한류 억제해서 차단하는 퓨즈이 며, 밀폐절연통 안에 퓨즈엘레멘트와 규소 등의 소호제를 충전, 밀폐 한 구조이며 현재 수․변전 설비에 많이 쓰인다. 전력퓨즈는 차단기 와 릴레이, 변성기의 3가지기기 역할을 하는 특성이 있으며 경제적인 기기이면서도 확실한 동작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소형, 염가일 뿐만 아니라 오동작이 없는 완전한 진가를 발휘하기 때문이다.

 

(가) 전력퓨즈의 기능

1) 부하전류를 안전하게 통전시킨다.

2) 동작 대상의 일정값 이상 과전류에서는 오동작 없이 차단하여 전로 나 기기를 보호한다.

 

(나) 과전류의 종류

과전류에는 다음의 3종류가 있는데 전력퓨즈는 이중에서 주로 단락 전류의 차단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1) 단락전류

전로에 있어서 부하에 이르는 도중에서 혼촉했을 때에 흐르는 전류로서 정상시 전류보다 매우 큰 전류가 된다. 이 경우 전력퓨즈는 고속으로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2) 과부하전류

과부하전류는 전격전류에 대하여 수배 이상인 경우가 많고 부하의 변동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게 된다. 전력퓨즈로 이를 보호하도록 하면 수명이 짧아지던가 열화에 의해 결상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전력퓨즈에서 일반적으로 이 보호를 기대하지 않는다.

3) 과도전류

변압기의 여자돌입전류, 전동기의 기동전류 등 매우 짧은 시간만 존재하고 자연히 감쇄해서 정상값으로 돌아가는 전류이며, 전력퓨즈는 이것 때문에 끊어지지 않는 정격전류의 것을 사용해야 한다.

 

(다) 전력퓨즈의 종류

전력퓨즈에는 소호방식에 따라 한류형과 비한류형의 2종류가 있으며 차단특성은 소호 방식에 따라 변한다.

1) 한류형 퓨즈 (전압 0에서 차단한다)

높은 아크저항을 발생하여 사고전류를 강제적으로 한류차단하는 퓨즈를 한류형 전력퓨즈라 하고 현재 밀폐퓨즈통 안에 엘레멘트와 규소 등 소호제를 충전한 규소퓨즈로 대표되고 있다.

2) 비 한류형 퓨즈 (전류 0에서 차단한다)

소호가스를 뿜어대는 전류 0점인 극간이 절연내력을 재기전압 이상으로 높여서 차단하는 퓨즈를 비한류형 전력퓨즈라 하고 붕산 혹은 파이바에서 발생가스를 이용하는 퓨즈가 실용되고 있다.

 

한류형, 비한류형의 장단점 비교

퓨 즈

장 점

단 점

한류형

① 소형이며 차단용량이 크다.

② 한류 효과가 크다.

(백업용으로 가장 적당)

① 과전압을 발생한다.

② 최소차단전류가 있다.

 

비한류형

① 과전압을 발생하지 않는다.

(2중 회로용으로 최적)

② 녹으면 반드시 차단한다.

(과부하 보호 가능)

① 대형

② 한류형 효과가 적다.

 

 

 

3) 한류특성

한류특성은 전력퓨즈 이외의 차단기 등에서 낼 수 없는 한류퓨즈의 중요한 특성이다. 차단기에서는 단락전류가 거의 한류하지 않고 파고값도 그대로 줄지 않고 릴레이의 동작시간을 포함시킨 전차단시간(약 10사이클)이 길지만 전력퓨즈는 처음 반파에서 차단하고 그 전류 파고값도 낮아 한류효과가 크므로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직렬기기나 회로가 받는 열적, 기계적 손상을 크게 줄일 수 가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 후비 보호에 다른 차단기와 병행하여 많이 채용되고 있다.

 

전력퓨즈와 각종개폐기의 기능 비교

                  능력

기능

회로 분리

사고 차단

무부하

부하

과부하

단락

전력퓨즈

 

 

차단기

개폐기

 

단로기

 

 

 

전자접촉기

 

 

전력퓨즈의 장․단점

장 점

단 점

○ 가격이 저렴하다

○ 소형 경량이다

○ 릴레이나 변성기가 필요없다

○ 한류형퓨즈는 차단시 무음

무방출

○ 소형으로 큰 차단용량을 갖는다

○ 보수가 간단하다

○ 고속도 차단한다

○ 현저한 한류특성을 갖는다

○ 스페이스가 작아 장치 전체가 소형이다

○ 후비 보호에 완벽하다

 

 

○ 재투입을 할 수 없다

○ 과전류에서 용단될 수도 있다

○ 동작시간-전류특성을 계전기

처럼 자유로이 조정 불가능하다

○ 한류형 퓨즈는 용단해도 차단되 지 않는 전류 범위를 가진 것이 있다

○ 비보호영역이 있어 사용중에 열 화로 동작하면 결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 한류형은 차단기에 과전압을 발 생 한다

○ 고임피던스 접지 계통의 지락보 호는 불가능하다

 

POWER FUSE의 표준 정격 (한류형)

변압기용량[KVA]

변 압 기

정격전류[A]

파워퓨즈

정격전류[A]

비 고

30

2.63

10

T 용량기준

※참고

G : 범용

C : 콘덴서

T : Tr

50

4.38

20

75

6.55

20

100

8.75

30

150

13.10

40

200

17.50

40

300

26.3

50

350

30.6

75

400

35.0

75

450

39.4

80

500

43.8

100

750

65.6

125

1000

87.5

200

 

POWER FUSE 외관

POWER FUSE의 점검사항

점검항목

방법

판정기준

주기

비고

퓨즈링크

육안

튜브에 깨진곳이 없을 것

1회/년

 

심하게 더러운 곳이 없을 것

청소

동작표기봉의 정상유무 확인

 

퓨즈

홀다

애자

스페너

조임부 스크류가 느슨해져 있지않을것

 

육안

깨지거나 금이간곳이 없을 것

 

심하게 더러운 곳이 없을 것

청소

마찰부

과열, 변색, 변형이 없을 것

구리스도포

접속부

스페너

조임볼트, 너트의 느슨함이 없을 것

 

기타

육안

볼트, 너트의 느슨함이 없을 것

 

절연저항

1000[V]

Megger

도전부, 대지간 1000[ΜΩ]이상

 

 

 

1. 소음 레벨

등가용량

[KVA]

소음 레벨

(자냉식)

등가용량

[KVA]

소음 레벨

(풍냉식)

300이하

66

300이하

70

301 ~ 500

68

301 ~ 500

71

501 ~ 700

70

501 ~ 833

73

701 ~ 1000

72

834 ~ 1167

75

1001 ~ 1500

74

1168 ~ 1667

77

1501 ~ 2000

76

1168 ~ 2000

79

2001 ~ 3000

78

2001 ~ 3333

81

3001 ~ 4000

80

3334 ~ 5000

83

4001 ~ 5000

81

5001 ~ 6667

85

(주) 여유도 +3폰

건식변압기의 소음 레벨의 기준 JEM1118(77)

 

 

2. 몰드 변압기

 

○ 몰드변압기의 특징

① 경화시에 가스 발생이 없고 반응 수축이 작다.

② 내약품성, 내수성, 내열성이 좋다.

③ 금속에 대한 접착력이 매우 강하다.

④ 권선은 자체 소화성을 갖고 있는 내열성 에폭시수지를 몰드하여 난연성이다.

⑤ 몰드 코일 표면이 에폭시수지로 싸여있어 노출코일 구조의 H종 건식변압기보다 감전 등에 대하여 안전하다.

H종 건식변압기보다 절연내력이 향상되어 장기간 방치하여도 습 기 등 오손에 의한 절연성능이 변하지 않고 절연물의 경련변화도 없다.

⑦ 고급 방향성 규소강판의 사용과 합리적인 절연설계로 함침실을 콤팩트화하여 무부하 손실의 저감, 저소음화 되어 있다.

⑧ 권선을 고진공에서 몰딩하고 있기 때문에 견고하고 전자기계력, 외부기계력 및 이상 진동 등에 대하여 강한 구조로 되어 있다.

 

3. 아몰퍼스 몰드 변압기

 

○ 아몰퍼스 변압기의 특징

① 철심소재로 비정질 자성재료(아몰퍼스 메탈) 사용

② 무부하 손실(철손)이 적다

③ 고조파가 많이 포함된 전력계통에서 기존변압기에 비하여 무부하손 증가율이 적어 에너지 절약적 측면에서 유리하다

 

4. 건식 변압기

빌딩이나 특히 화재의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전원 변압기로서 사용된다.

사용하는 절연물의 종류에 따라 각종 건식변압기가 있는데 전항의 몰드변압기를 제외하면 경제적인 면에서 소용량 으로는 B종이, 대용량에서는 H종 건식변압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제작범위는 33[KV]이하, 거의 10[MVA]까지로서 1[MVA] 이상은 풍냉식이 많다.

최근 더욱 높은 전압의 건식변압기를 SF6 가스 절연으로 제작하는 경향도 있다.

 

5. 유입 변압기

가) 절연유 : 절연과 냉각

나) 자냉식 : 방열기의 표면에서 공기의 자연대류에 의한 외부 방열

다) 강제 냉각식 : 유입풍냉식, 송유자냉식, 송유풍냉식, 송유수냉식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관련 참고자료(방재설비)  (0) 2022.01.14
전력퓨즈(P.F)  (0) 2020.09.08
간선 및 분기회로 전원공급방식  (0) 2020.09.08
변압기 결선방식  (0) 2020.05.19
변압기의 보호계전방식  (0) 2019.06.27

1.  간선설비

(가) 고압 배전계통 : 3상 3선식 6.6[㎸]

(나) 터널 환기실 간선(본선중앙) : 3상 3선식 6.6[㎸]

(다) 냉동기용 간선 : 3상 3선식 6.6[㎸]

(라) 조명용 간선 : 3상 4선식 380/220[V]

(마) 동력용 간선 : 3상 4선식 380[V]

(바) 신호, 통신용 간선 : 3상 4선식 380/220[V]

(사) 냉동기용 간선 : 3상 3선식 6.6[㎸]

(아) 터널 환기실 간선(인근) : 3상 3선식 380[V]

(자) AFC용 간선 : 3상 4선식 380/220[V]

(차) 터널조명 및 콘센트 간선 : 3상 4선식 380/220[V]

(카) 냉동기 보조동력용 간선 : 3상 4선식 380/220[V]

(타) 에스컬레이터 및 엘리베이터 간선 : 3상 4선식 380/220[V]

(파) 비상콘센트용 간선 : 3상 4선식 380/220[V]

(하) 전동셔터 : 3상 3선식 380[V], 방재용 : 3상 4선식 380/220[V]

(거) 주방용, 에어콘, 온풍기 간선 : 3상 4선식 380/220[V]

 

2.  분기회로 구성

(가) 전등회로 : 단상 2선식 220[V]

(나) 일반용 콘센트 : 단상 2선식 220[V]

(다) 비상등 및 조작전원 : DC 전원 110[V]

(라) 터널 조명 : 단상 2선식 220[V]

(마) 터널 콘센트 : 3상 4선식 380/220[V]

(바) 상주 기능실 전열(에어콘) : 단상 2선식 220[V]

(사) 기능실용 환풍기 : 단상 2선식 220[V]

(아) 광고 및 안내등용 콘센트 : 단상 2선식 220[V]

(자) 훨체어리프트 : 단상 2선식 220[V]

(차) 전동셔터 : 3상 3선식 380[V]

(카) 유도등 : 단상 3선식 220[V]

(타) 온수기용 콘센트 : 단상 2선식 220[V]

(파) 각종 모타전원 : 3상 3선(직입), 3상6선(Y-△), 또는 인버터식

 

3.  부하구분

(가) 부하의 종류

1) 일반부하

정전에 따른 특별한 배려가 요구하지 않는 일반조명 및 동력부하로서 전등, 전열 및 환기동력(일반조명 및 전열, 일반동력, 광고용 조명, 자동판매기, 에스컬레이터등)

2) 상시부하

가) 1호계 및 2호계를 저압부하측에서 자동절체 되도록 ATS를 설치하여 한호계 이상시에도 상시부하에는 항상 전원공급이 가능 하도록 한 부하(상시조명, 터널조명, 방송, 통신, AFC, 급수펌프,, 오수펌프, 소방동력, 충전기, 장애자용 엘리베이터, 휠체어리프트, 소화전, 비상콘센트 등)

※ 배수펌프실, 본선급기, 인근환기 : 기능실에 ATS 설치

3) 비상부하 및 조명설비

가) 모든 전력 계통이 정전되었을 경우에도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예비 전원설비(Battey)로부터 전력공급을 요하는 부하(비상조명, 배전반 조작전원 등)

나) 특히 전기실 상시배전반(ATS)에서 “C"회로를 구성하여 대합실, 승강장, 주요 기능실에 등기구는 축전지가 내장된 형광등을 사용,역사 완전 정전시(사고시)에도 점등 되도록 하여 승객의 안전 및 사고복구에 만전을 기하였다.

 

4.  동력부하

용 도

부 하 구 분

전압[V]

비 고

1호계

2호계

3호계

소화전 펌프

배수,오수펌프

일반용환기실

배연설비

에스컬레이터

충 전 기

냉동기보조

급수펌프

스프링클러

1

1

1/2

1

1/2

1

-

1

1

(1)

(1)

1/2

(1)

1/2

(1)

-

(1)

(1)

 

 

 

 

1

380/220

380/220

380/220

380/220

380/220

380

380/220

380/220

380/220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배수펌프실내 ATS 설치)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터널

환기

인근

1

(1)

 

380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환기실내 ATS설치)

중앙

 

 

1

6,600

․고압환기실

 

5) 기기부하

용 도

부 하 구 분

전압[V]

비 고

1호계

2호계

비상전원

화재수신반

중앙감시반

조명제어반

방송장치

A․F․C

신호기기

1

1

1

1

1

1

(1)

(1)

(1)

(1)

(1)

(1)

 

220

220

220

220

380/220

380/220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전용회로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력퓨즈(P.F)  (0) 2020.09.08
건식변압기의 소음 레벨  (0) 2020.09.08
변압기 결선방식  (0) 2020.05.19
변압기의 보호계전방식  (0) 2019.06.27
전기기술자료(다이어리)  (0) 2018.03.14

1.  조명, 동력용 TR

(1) 결선방식: 3상 4선식(△-Y)

(2) 전압 : 6.6[㎸]/380[V]/220[V]

 

2.  신호용 TR

(1) 결선방식 : 3상 4선식(△-Y)

(2) 전압 : 6.6[㎸]/380/220[V]

 

3.  본선 터널환기용 TR

(1) 결선방식 : 3상 4선식(△-Y)

(2) 전압 : 6.6[㎸]/380[V]/220[V]

 

4.  냉동기 보조동력용 TR

(1) 결선방식 : 3상 4선식(△-Y)

(2) 전압 : 6.6[㎸]/380[V]/220[V]

 

 


1. 변압기의 고장원인 및 결과


1) 고장원인

  ① 과전류 및 단락전류

   - 변압기 고장의 가장 큰 원인은 과전류와 단락전류

   - 전압기 권선의 온도 급격히 상승

   - 절연손상

  ② 이상전압

   - 직격뢰나 개폐서지 등 이상전압

   - 변압기의 절연파괴

  ③ 기계적 충격

   - 리드선의 단선

   - 부싱의 파손

  ④ 열 또는 온도 변화

   - 변압기의 온도가 상승, 하강 반복

   - 변압기 철심 등에 영향

  ⑤ 절연물 내부의 공극

   - 미소코로나, 절연물의 절연 파괴


2) 변압기의 고장 결과

  ① 권선의 단락 및 층간 단락

  ② 권선과 철심 간의 절연파괴 또는 접지

  ③ 고압, 저압 권선 간의 혼촉

  ④ 단선

  ⑤ 부싱 파괴 또는 리드선의 절연파괴



2. 보호계전방식


1) 권선의 단락 및 층간 단락

  ① 피보호 변압기의 각 단자에 변류기(CT)를 설치

  ② 비율차동보호


2) 지락에 대한 보호

  ① 지락과전압보호

  ② 지락과전류보호계전방식


3) 변압기의 과부하 및 후비보호

  ① 유도 원판형 과전기에 의해 보호

  ② 비율차동계전기 - 주보호, 과전류계전기 - 후비보호


4) 변압기 내부고장

  ① 기름, 절연물이 분해해서 생기는 가스와 기름의 급격한 팽창 현상

  ② 변압기 본체와 콘서베이터와의 연결관 도중에 부흐흘쯔계전기 설치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선 및 분기회로 전원공급방식  (0) 2020.09.08
변압기 결선방식  (0) 2020.05.19
전기기술자료(다이어리)  (0) 2018.03.14
신재생 에너지   (0) 2018.01.02
배전반 설치방식  (0) 2017.12.12


다이어리 기술자료


전기기술자료.pdf


전기기술자료.pdf
1.18MB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압기 결선방식  (0) 2020.05.19
변압기의 보호계전방식  (0) 2019.06.27
신재생 에너지   (0) 2018.01.02
배전반 설치방식  (0) 2017.12.12
배전반 (配電盤, Switchboard)종류  (0) 2017.12.12


신재생 에너지


○ 용어의 정의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 촉진법 제2조(정의)


1)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이하 신재생에너지)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영,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① 태양에너지

② 생물자원을 변환시켜 이용하는 바이노에너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및 범위에 해당하는 에너지

③ 풍력

④ 수력

⑤ 연료전지

⑥ 석탄을 액화, 가스화한 에너지 및 중질잔사유를 가스화한 에너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및 범위에 해당하는 폐기물에너지

⑦ 지열에너지

⑧ 수소에너지

⑨ 그 밖에 석유, 석탄, 원자력 또는 천연가스가 아닌 에너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에너지

2) 신, 재생에너지 설비

신,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이용하는 설비로서 지식경제부령으로 정하는 것

3) 신, 재생에너지 발전

신, 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


○ 태양에너지설비

1) 태양열설비 : 태양의 열에너지를 변환시켜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설비

2) 태양광설비 : 태양의 빛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거나채광에 이용하는 설비


○ 바이오에너지설비

생물유기체(유기성폐기물을 포함한다)를 변환시켜 바이오디 젤, 바이오 에탄올, 바이오가스, 바이오액화유, 합성가스, 땔감, 우드칩, 펠렛, 목탄 및 바이오매스 등의 에너지원을 생산하는 설비


○ 풍력설비

바람의 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


○ 수력설비

물의 유동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


○ 연료전지설비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 반을을 통하여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설비


○ 석탄을 액화, 가스화한 에너지 및 중질잔사유를 가스화한 에너지 설비

석탄, 중질잔사유의 지급연료를 액화 또는 가스화시켜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설비


○ 해양에너지설비

해양의 조수, 파도, 해류, 온도차, 등을 변환시켜 잔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설비


○ 폐기물에너지설비

폐기물을 변환시켜 연료 및 에너지를 생산하는 설비


○ 지열에너지설비

물, 지하수 및 지하의 열 등의 온도차를 변환시켜 에너지를 생산하는 설비


○ 수소에너지설비

물이나 그 밖에 연료를 변환시켜 수소를 생산하거나 이용하는 설비


○ 관련법

1) 제19조(신, 재생에너지 설비부분의 의무사항)

2)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선택 및 설치는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에 등록된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을 활용하고, 신재생에너지살비의 지원 등에 관한 기준을 참고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구성요소



1. 주요소(主要素, Main Unit)
계전기 본래의 책무를 수행하는 주요부로서 전압, 전류에 의해 미리 규정된 전기량이나 물리량의 크기에 따라 응동한다.


2. 보조요소(輔助要素, Auxiliary Unit)
계전기의 책무를 수행하기 위해 주요소에 보조적으로 부가되어 있는 요소로서 동작표시기, 보조접점, 한시요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3. 동작표시기(動作表示器, Target)
보호계전기의 보조요소로서 계전기의 동작을 표시하며 주요소에 의해 기계적으로 동작하거나 트립전류에 의해 동작하여 주요소가 복귀하더라도 계전기의 동작을 계속 표시하는 장치이다. 또 동작표시기에 보조접점(contact switch)과 지지코일(holding coil)을 구비하여 주요소 접점 동작시 지지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보조접점이 폐로되어 트립전류가 흐르는 동안 주접점을 단락하여 트립을 보장하고 주접점 개로시 접점 보호역할을 겸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4. 외부단자(外部端子, External Terminal)
계전기의 외함에 취부된 단자로서 계전기의 각 요소와 내부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단자에 계전기입력(전류, 전압, 구동용 DC전원등), 동작신호등을 제어 케이블을 이용, 관련기기나 차단기등의 조작회로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외부단자는 대부분 bolt형이나 최근에는 socket 형도 사용된다.


5. 외함(外函, Case)
보호계전기의 주요소 및 보조요소를 수용하는 함으로서그 역할은 다음과 같다.
1) 외부로 부터의 먼지, 수분등 불순물의 유입을 차단

2) 계전기의 주요소 및 보조요소 보호

3) 계전기반에 취부 용이

4) 외부단자의 지지
한편 대부분의 계전기의 외함 전면은 유리로 되어있어 보호계전기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으며 동작표시기 복귀 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외부요소 (外部要素, External Unit)


계전기 요소의 일부가 외함밖에 설치 되었을 경우 그부분을 외부요소라 한다.



상태 표시기 (狀態表示器)


보호시스템의 동작으로 인한 주전기회로의 변화상태 즉, 차단기의 개폐상태 및 회로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차단기나 개폐기가 투입상태에서는 적색, 개방상 태에서는 청색의 램프가 점등된다.

독립 감시반이 설치된 경우 차단기나 단로기 개방시 램프를 점멸(flicker)시켜 상태판단이 용이하다. 또한 계전 기에도 상태표시기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들 상태 표시기는 계전기가 동작하고 있는지 복귀하고 있는지 식별하기 위한 표시기구로 이 표시는 자동 복귀된다.



외함형태


1. 고정형(固定形, Fixed Type)
계전기 구조에 관한 용어로서 계전기 요소와 외부단자 간의 배선을 풀어야만 계전기 요소를 빼낼수 있는 구조이며 구형의 계전기에 사용되었으나 취급 및 점검이 불편하여 최근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2. 비고정형(非固定形)
계전기 요소와 외부단자간에 적당한 접속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배선을 풀지 않고 쉽게 계전기 요소를 인출할 수있는 구조이며 인출형과 차입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출형 (Draw Out Type) 계전기 요소를 외함에서 인출하거나 시험회로 구성시 외부회로를 단락(특히 변류기회로) 또는 개방시켜 운전에 지장을 주지 않고 시험 및 점검이 용이토록 고려된 접속 장치를 갖고 있는 것을 말한다.
2) 차입형 (Plug In Type) 계전기 요소 인출시 외부회로가 개방되는 접속장치를 갖고 있는 것이다.



배전반 설치방식

계전기를 배전반에 설치하는 방식에는 매입형, 반매입 형, 표면형의 3가지 방식이 있다.


1. 매입형(埋入形, Flush Mounting Type)
매입형 배전반에 취부한 계전기가 배전반 전면으로 돌출한 부분이 50㎜이내이고 돌출부분이 계전기 외함길이의 1/3이내로 취부하는 방식이다.


2. 반매입형
반매입형 취부한 계전기가 전면으로 돌출하는 부분이 매입형의 제한치를 초과하고 표면형에는 속하지 않는 두방식의 중간 취부 방식이다.


3. 표면형
표면형 배전반 표면에 계전기의 대부분이 노출 되도록 취부하는 방식이다.



전자기계형 계전기 동작치 설정부


1. 탭(Tap)
계전기의 동작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계전기 내부의 보조 변류기나 변성기에 여러개의 단자를 내는데 이 단자를 탭(tap)이라 한다. 이 탭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계전기의 구동부에 가해지는 입력량이 변화되어 계전기의 동작 치가 달라진다. 탭의 종류에는 일정한 값이 정해져 있는 bolt type과 일정 범위내에서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는 sliding type의 2가지가 있다.


2. 퍼센트 탭(% Tap)
피보호선로의 전압과 전류가 변성기와 변류기를 통해 거리계전기에 입력으로 가해지면 이들 입력량이 정정치와 비교되어 정정치보다 작을때(보호구간내) 계전기가 동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피보호선로의 길이에 따라 impedance 정정치가 달라져야 하며 이 기능은 기본 및 퍼센트탭의 조정으로 이루어진다. 전류입력이 가해지는 air gap transformer 1차 권선에 탭을 설치한 것이 기본탭으로서 탭 변경에 따라 2차에 유기되는 전압이 달라져 계전기의 기본 ohm을 결정하며, 전압입력이 가해지는 변성기(auto tr.)에 10% 및 1% 단위의 탭을 낸 것이 %탭으로 계전기reach의 미세 조정용으로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 %Tap치 = 기본탭(ohm)정정임피단스 × 100 )


3. 레버(Time Adjusting Lever)
전자기계(電磁機械)형 반한시 계전기의 동작시간 조정 용기구로서 유도원판의 축에 고정되어 있다. 레바를 조정 하면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간격이 변화되어 계전기의 동작시간이 변화된다.
일반적으로 레바에는 0.5∼10까지의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0.5에 조정시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사이가 가장 가까워져 동작시간이 짧게 되고 10에 조정시는 두 접점 사이의 간격이 가장 멀어져 동작시간이 길게 된다.



4. 스파이럴 스프링 (Spiral Spring)
전자기계(電磁機械)형 한시계전기의 최소동작치 조정및 유도원판의 복귀기능을 수행하는 스프링으로 유도원판의 축에 설치되어 있다. 계전기 입력에 의한 유도원판의 회전력이 스프링의 제어력보다 크게 되면 원판이 회전하여 계전기가 동작하고 계전기의 입력이 규정치보다 적게 되면 스프링의 제어력에 의해 가동접점이 복귀한다. 계전 기의 최소동작치 변경이 필요할 경우에는 스프링 상부에 설치된 조정링을 조정한다.



5. 고장표시기 (故障表示器, Fault Announciator)
고장표시기는 고장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구인데 단순히 고장검출접점이 동작하고 있을때 고장을 표시할 뿐 아니라 조작자가 확인할 때까지도 그 고장의 상태를 계속 표시하는 것이 보통이다. trip고장과 같이 고장검출 접점이 동작한 후 바로 복귀해 버리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전류 coil로 동작하는 고장표시기가 사용되며 경보고장과 같이 동작후 고장검출접점이 계속 동작하는 경우에는 전압coil 의 고장표시기가 쓰인다. 또 고장표시기는 대부분 bell, buzzer등의 경보기를 동작시키는 접점을 구비하고 있다.
고장표시기는 lamp식과 target식의 2종류가 있는데 lamp 식은 보조Ry, lamp 및 복귀button으로 되어 있어 고장시 우선 보조계전기가 동작하여 표시 lamp를 점등하는 동시에 외부에 고장신호를 송출하도록 되어있다. target식 고장표시기는 고장시 lamp를 동작시키는 대신 일정 색을 도포한 target를 나오게 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보호배전반 스위치류


1. 절체 스위치(Change Over Switch)
일반용 절체스위치는 자동, 수동의 절체, 원방조작 및직접조작의 절체, 제어전원의 on, off등에 사용되는 절체 SW이며 전압계 및 전류계 절체SW는 1개의 전압계 또는 전류계로 각상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전류계 절체SW는 변류기 2차 회로가 개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154kV이상의 발, 변전소 모선은 이중모선방식으로 구성되며 선로나 기기등의 연결 모선을 단로기(DS)에 의해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선로나 기기 보호용 계전기나 관련 계기등의 전압입력을 모선에 연결된 상태에 따라 관련 모선의 PT 전압으로 절환시 켜야 한다. 이 기능을 PT절체 스위치로 수행하며 이 절체 스위치에는 전압 절체시의 계전기 오동작 방지를 위해 DC Lock장치가 되어 있다.


2. 제어 스위치(Control Switch)
제어SW는 제어회로 및 조작회로의 제어, inter-lock, 표시등에 사용되는 SW의 총칭이며 제어용 조작SW의 검출SW로 대별된다. 제어용 조작SW는 인력에 의하여 조작 되는 SW이며 그 기능은 조작, 조정등의 제어명령, 전기 회로의 절체, 전원의 개폐등 각종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검출SW는 제어대상이 예정된 동작상태에 달했을때 동작 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limit SW, level SW, 압력 SW, 온도 SW 등이 있다. 검출SW는 기계계(機械系)의 상태에 의하여 동작하며 기계계내의 제어 및 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3. 누름단추(Push Button)
누름조작에 의해 접점이 on 또는 OFF되며 놓으면 원래의 위치로 자동복귀하는 스위치의 일종으로 그 기능으로 보아 폐회로 구성용 및 회로개방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트랜섹터 (Transactor *Quadrature Current Transformer)
트렌섹터란 계전기의 전류입력 변환기로서 2차 권선부 리액터이다. 그 특성은 변압기와 리액터의 두 가지 기능을 같이 갖고 있으며 입력 전류를 전압 vector량으로 변환 시키며 전압의 위상은 전류위상 보다 90°늦다. 전압위상을 가변 시키려면 트랜섹터에 병렬로 저항을 접속 조정하면 된다.



5. 배리스터 (Varistor)

부특성(負特性)을 갖고 있는 비직선성 소자로서 양단에 걸리는 전압에 의해 저항치가 변동하여 일정전압 이상이 인가되면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는 특성을 갖고 있어 계전 기의 전압소자의 과전압 보호용으로 사용된다.



6. 집적회로 (Integrated Circuits; IC 회로)
독립적으로 사용되던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저항, 커패시터 등을 얇은 실리콘 판(wafer)에 장착하고, 이들 소자 상호간에 전기회로를 구성시킨 것이 IC회로로서 부피가 극소화 되었다. 소자간의 상호연결에 땜납을 사용치 않으므로 신뢰도가 높고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나 thermal 용량이 작아 과도전압에 손상을 입기 쉽다. 정지형 계전 기의 동작증폭기 및 논리회로 구성 등의 표준회로에 많이 사용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술자료(다이어리)  (0) 2018.03.14
신재생 에너지   (0) 2018.01.02
배전반 (配電盤, Switchboard)종류  (0) 2017.12.12
응동 및 특성(應動 및 特性)  (0) 2017.12.12
계통보호  (0) 2017.12.12


거리계전기 요소



1. 방향요소(方向要素, Directional Unit)
Loop화된 송전계통의 고장발생시 고장전류의 방향이 고장 상태에 따라 변동된다. 전압, 전류 등의 전기량에 의해 동작하는 측정요소로서는 고장검출은 가능하나 고장 위치(방향) 판정은 불가하다. 따라서 방향판정요소를 추가함으로서 보호계전기가 피보호구간 고장에만 동작토록 하며 일반적으로 전압과 전류를 조합하여 전압에 대한 전류의 위상차로서 고장방향을 판정한다.


2. 기동요소(起動要素, Starting Unit)
주보호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요소로서 이 요소가 동작 함으로서 보호계전기가 동작하게 되고 기타 한시 요소 등이 기동하게 된다. 반송계전방식 및 방향거리계전방식에 적용되는 이 요소는 그 특성이 Mho특성으로 검출범위는 최대부하전류에 동작하지 않도록만 하면 되므로 보호 범위가 커서 방향검출, 고장검출 및 Zone-3 한시트립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3. 측정요소(測定要素, Measuring Unit)
거리계전기의 한 요소로서 고장점까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요소를 말하며 특성상 Mho형, reactance형 등이 있으며 방향거리계전방식에서 zone-1, zone-2 한시 trip요 소에 사용된다. Mho형은 동작범위가 원특성이기 때문에 고장 arc저항에 무관한 장거리 송전선 보호에 적합하며 reactance형은 저항분에 대하여 무관함으로 짧은 송전선에 적합하다.



배전반 (配電盤, Switchboard)종류


계기류, 계전기류, 개폐기류 및 각종 보안장치를 설치 하여 전류를 개폐 또는 제어하는 대리석, 에보나이크, 철판제 등의 장치인데 최근에는 단순히 전류의 제어 뿐아니라 발전소, 변전소, 제철소, 화학플랜트, 정수장, 하수장 고층빌딩 기타 전기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플랜트의 감시 제어장치, 자동제어장치, data처리장치, 보호장치 및 주회로 개폐장치등을 수용한 장치를 총칭하여 배전반이라고 부르고 있다. 배전반은 전력계통 또는 기기의 감시, 제어를 목적으로 조작, 계측, 표시 및 보호장치를 한 곳에 설치한 것으로 전기설비와 감시제어자 간의 중계적 역할을 담당하는 기기운전의 중추적인 요소이다. 배전반의 종류 로는 수직벽지지형, 수직 자립형, 벤치형, 데스크형, 폐쇄형 및 그래픽형이 있으며 기술의 진보에 따라서 감시, 제어 및 보호방식이 고도화 되고 있어서 다종 다양의 배전반이 사용되고 있다.


1. 수직 자립형 배전반 A(Duplex Switchboard)
전면, 후면의 고정형 배전반과 상면 덮개 및 개방할 수있는 측반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점검용 통로를 가지고 있다. 반 전면에는 계측기와 조작개폐기, 고장표시기 등 감시제어에 필요한 기구를 설치하고 후면에 보호용 계전기를 취부한다. 이 배전반은 각 반이 기능별로 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보수점검이 용이하다. 배전반면에서 직접 조작하는 수직 자립형 배전반은 구조상 상부에 계기를 취부하고 조작이 용이하도록 지상으로 부터 1,100mm 높이에 조작개폐기를 취부하므로 기기 취부위치가 제약을 받는다. 대규모 변전소에서는 배전반수가 많아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나 축소형 기구류의 발달과 기록의 간소 화에 따라 계기를 생략하는 등 반의 축소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2. 수직 자립형 배전반 B(Dual Switchboard)
별도의 계측 제어반이 있어 보호용 배전반만이 소요될때 사용한다. 전면 및 양 측면은 고정형 강판, 상면은 덮개로 덮여 있으며 후면은 개방 가능한 힌지(Hinge)형 강판으로 되어 있다. 현재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배전반 형태 이다.


3. IED반
IEC61850통신 프로토콜을 표준으로 하는 디지털변전소에 설치되는 배전반 형태로 변전소내 각종 정보를 현장 설비에서 제공받아 디지털화된 Data로 변환하고 내부의 Software(Algorithm 포함)를 이용하여 감시, 제어, 계측, 보호계전, 인터록 기능 등을 수행하며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반을 말한다.


4. 수직벽지지형 배전반(Vertical Switchboard)
수직 개방형 배전반으로서 벽지지틀로 배전반을 고정시 키고 전면에 전기기기의 제어, 보호 및 계측기기를 부착 하되 계기류는 조작개폐기 상부에, 계전기류는 조작개폐기 하부에 설치한다.


5. 벤치형 배전반(Bench Type Switchboard)
벤치형 배전반은 수직 자립형 배전반에 desk형 배전반을 밀착시켜 하나로 한 것으로 조작개폐기를 사람이 가장 조작하기 쉬운 사면형으로 취부함으로써 조작개폐기류의 취부 공간을 넓혀 모의모선을 알기 쉽도록 한 것이다. 이배전반은 표준형과 축소형의 2종류가 있는데 표준형은 수직 자립형과 같이 꽤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으며 축소형은 광각도 지시계기의 출현과 더불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배전반은 수직 자립형 배전반과 같이 직접 조작을 행하기 때문에 조작개폐기의 평면적으로 일열 배치하게 되어 대규모 변전소에서는 배전반의 길이가 대단히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모의모선이 실제 기기배치와 다른 형태로 되기 때문에 상시 감시에는 매우 불편하며 또한 이면 배선이 협소한 장소에 설치되므로 유지보수가 곤란하여 최근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는다.


6. 탁자형 배전반(Desk Type Switchboard)
데스크형 배전반은 주로 제어용으로서 수직형 배전반과 조합하여 사용하며 수직형 배전반과는 분리되어 있다. 이배전반은 일반적으로 대용량 발변전소에서 주 배전반으로 사용되고 있다.


7. 제어대형 배전반 (Control Desk Type Switchboard)
축소형 벤치형 배전반의 취부기기를 생략함으로써 수직 감시면을 전면 사면반으로 축소하여 desk형 및 전면 사면 반으로 한 것으로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space를 특히 축소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8. 폐쇄형 배전반(Enclosed Switchboard)
폐쇄형 배전반은 차단기, 단로기 등의 전력용 개폐기, 계기용 변성기, 모선, 접속도체 및 감시제어에 필요한 기기를 접지된 금속함 내에 수납하고 단위회로 마다 접지
금속벽 또는 절연격벽으로 격리한 배전반을 총칭한 것이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조작이 안전하고 외부 접촉에 의한 고장 염려가 없다.
2) 단위회로 마다 구획되어 있어서 고장확대의 우려가 없다.
3) 표준화하여 제작되고 있으므로 기기의 호환성이 좋다.
4) 완전 조립되어 수송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으며 또한 운반, 설치가 용이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5) 폐쇄형이므로 먼지의 침입이 거의 없어 보수가 용이 하다.
6) 기기의 입체적 배치에 의한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면적이 적고, 옥외형이므로 건물을 생략할 수 있다.
7) 고급도장을 실시함으로써 주위환경과의 조화가 가능 하다.



그래픽 배전반 (Graphic Switchboard)


그래픽 배전반은 조광식 그래픽반, 유니트 판넬 조광반및 모자이크 배전반 등이 있다.


1. 조광식 그래픽반 (Illuminated Graphic Switchboard)
모선구성이 복잡한 대용량 변전소에서는 계통구성을 모의하는 모선, 차단기, 단로기 및 변압기 등의 symbol을 조광식으로 하는 조광식 graphic반을 사용하는데 그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계통의 운전 상황을 조광모선의 점멸에 의하여 파악할 수 있으므로 계통 전체의 집중관리가 용이하다.
2) 개폐조작에 따른 상태변화 부분과 영향을 받는 부분을 flicker시켜 그 범위를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오조작의 염려가 없다.
3) 만일 고장이 발생하여도 고장차단부분을 flicker시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빨리 파악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신 속한 처리가 가능하다.
4) 조광반 상에는 감시가 용이하도록 개폐기류를 최소한 으로 하고 선택식 제어방식을 채용하여 조작개폐기를 줄이는등 반의 축소가 가능하다. 조광식 graphic반은 조작 desk에서 선택조작을 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조작방식으 로는 피제어기기의 수만큼 개별선택 SW를 반상에 배열하고 개별선택후 주 조작개폐기에서 제어한다.
조광식 graphic반은 모선구조가 복잡한 변전소에 있어 서도 운전상태를 신속하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오조작 방지상 가장 우수한 배전반인 반면 변전소의 설비 변경을 하는 경우에는 반면의 개조가 매우 곤란하다. 때문에 조광식 graphic반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면밀한 계획을 세워서 장래 계획을 예측하여 증설 여지를 고려해 둘필요가 있다.


2. 유니트 판넬형 조광반 (Unit Panel Illuminated Switchboard)
계통의 변경, 증설의 필요가 있는 경우 반의 개조나 가공을 하지 않고 용이하게 반면 변경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 배전반은 상호 호환성을 가진 다수의 유니트 판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유니트 판넬은 각기 틀 형태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unit panel을 바꾸어 끼우거나 graphic반을 떼어내서 plugging 배선으로 접속함으로써 반면을 변경할 수 있다. 또 각 유니트 판넬을 공장에서 대량 생산해 두고 주문에 의하여 조합하여 납품할 수 있으므로 배전반의 표준화가 가능하다.


3. 모자이크 배전반(Mosaic Type Panel)
유니트 판넬형 배전반을 더욱 세분화한 단위편을 사용 하여 반면 변경이 용이하도록 설계한 것이다.
모자이크 배전반의 구조는 철제의 틀에 수십조의 격자상 Space를 등간격으로 만들어 여기에 모자이크석이라고 부르는 가로, 세로 각 25mm의 단위편을 끼워넣어 평면상 으로 배전반을 구성한다. 모자이크석은 반상기구가 취부 되지 않는 부분에 사용하는 것, 모선,변압기등의 기기 Symbol을 새겨서 색깔로 구별한 Symbol석(石), 차단기, 단로기용의 조광 조작개폐기석, 차단기의 개폐상태나 조광모선 등의 표시등석 등 각종의 단위편을 계통구성에 따라 배치한다.
배전반 Frame을 철제틀로 구성하고 이들 철제틀에 일정한 크기의 격자모양의 작은 상자들로 채운 다음 이 격자틀에 모자이크 조각을 부착하여 배전반면을 구성한다.
개개의 모자이크 조각에는 모선, 변압기 등의 기호가 인쇄되어 있거나 차단기, 단로기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램프 및 조작 스윗치를 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계통 구성상태에 따라 모자이크 조각을 조립 반면을 구성 함으로서 계통구성 및 운전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Graphic배전반의 일종으로 오조작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계통변경 및 증설시 반면의 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어 모선구성이 복잡한 발,변전소의 조작반으로 많이 사용된다.



배전반 구성에 따른 분류


1. 랙 마운팅 패널(Rack Mounting Panel)
반도체 산업의 발달로 부품의 소형화(I.C회로등)가 이루어져 초기의 정지형 계전기와 같이 각각의 외함이 불필요하게 되었으며 I.C회로 등 소형화된 부품들을 프린트판 (Print Circuit)에 부착하여 계전기 기능을 수행케 한다. 따라서 계전기반에 계전기를 종합 수용할 수 있는 rack형 함을 설치하고 프린트판으로 구성된 계전기 요소들을 끼워 넣어 완전한 보호 system을 구성하는 관계로 각 계전기 요소들의 점검, 시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2. 스태틱 판넬(Static Panel)
주계전기들이 static type으로 구성되어 있는 계전기반을 말하며, 계전기의 동작속도, 감도, 정확도 등의 특성이 양호하며 변성기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배전반 규격을 축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surge 전압으로 인한 오동작 및 소자의 손상우려성이 있고 주위온도 및 습도의 영향을 받을 우려성이 있다.


3. 캐리어 판넬(Carrier Panel)
선로 보호용 계전기반의 일종으로 반송보호계전방식을 적용한 계전기들로 구성되어 있는 계전기반으로서 주보호 계전기로는 반송보호계전기, 단락 및 지락보호용 후비보 호계전기, 재폐로계전기 및 carrier set와 계전기반을 연결 하는 설비로 구성되어 있다.


4. 파이롯트 판넬(Pilot Panel)
선로 보호용 계전기반의 일종으로 표시선계전방식을 적용한 계전기들로 구성되어 있는 계전기반으로서 구성은 캐리어 패널과 유사하나 주계전기가 표시선 계전기이고 표시선 단선이나 단락을 검출할 수 있는 감시회로가 설치 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모의모선 (模擬母線, Mimic Bus)


모의모선은 전기계통의 접속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하며 금속제, 아크릴 수지제 및 아크릴 수지 조광식등의 종류가 있다. 금속제 모의모선은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것으로 10~12㎜폭의 금속판을 상위계통으로 부터 은, 황동, 동색 등의 자연색으로 도금한 것을 사용한다. 아크릴 수지제의 경우에는 금속제에 가까운 색채를 선정하는데 적색, 청색, 황색 등이 사용되며 조광식의 경우에는 반투명 아크릴판으로 모의모선을 만들어 이면에서 모선및 모의 기기를 조광하도록 되어 있다.



단자대 (端子帶, Terminal Block)


옥내배선 및 제어 cable의 종단은 확실하게 접속하기 위해 최근에는 거의 압착단자를 사용하여 단자대를 거쳐 기기에 연결하고 있다. 단자대는 maker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조립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단자내의 접속은 다수의 선을 한 곳에서 분기하며 사용중 느슨해지고 보수상 불편하기 때문에 1단자에 1본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시험용 단자 (試驗用 端子, Test Terminal)


기기 운전중에 회로에 직렬로 측정기를 삽입하거나 계전기 및 계기의 시험을 하기 위하여 계기용 변압기, 변류 기의 2차회로에 시험용 단자를 설치한다. 시험용 단자는 plug in형과 state형이 있다. 변류기용 시험단자는 단락편이 2중으로 되어 있어 측정기를 접속할 때 단락편을 떼어 내도록 되어 있다. 시험용 단자를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점은 전압회로용에 있어서 부족전압계전기, 거리계전기 등과 같이 무전압으로 동작하는 계전기를 오동작시키지 않도록 확실하게 interlock 시켜 전압입력을 끊도록 하고 전류용에 있어서는 변류기 2차측이 개방되지 않도록 취급 순서에 주의해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재생 에너지   (0) 2018.01.02
배전반 설치방식  (0) 2017.12.12
응동 및 특성(應動 및 特性)  (0) 2017.12.12
계통보호  (0) 2017.12.12
배선 (Wiring)  (0) 2017.12.11


1. 응동


1) 시동(始動, Start)
계전기를 동작시키는 방향으로 입력이 변했을 때 최초의 위치에서 가동부가 움직이기 시작하여 최초 위치에서의 기능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시동이라 하며, 시동에 필요한 한계 입력치를 시동치라 한다.


2) 동작(動作, Operation)
계전기가 소정의 책무를 수행하는 것을 동작이라 하며, 동작에 필요한 한계입력을 동작치, 입력이 동작치를 넘는 순간부터 계전기가 동작한 때까지의 시간을 동작시간이라 한다.


3) 지지(支持, Holding)
계전기에 입력이 가해지면 계전기의 가동부가 동작 후동작상태 그대로 동작기능을 유지하는 것을 지지라 하며 계전기의 접점이 동작기능 상태로 유지되는 최소의 입력 치를 지지치라 하며, 최초의 지지상태에서 지지가 해제되는 상태까지의 시간을 지지시간이라 한다.


4) 석방(釋放, Release)
계전기의 가동부가 동작상태에서 복귀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여 동작상태에서 기능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말하며, 석방에 필요한 한계 입력치를 석방치, 가동부가 원래의 위치로 움직이기 시작하여 최초의 무입력 상태에 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석방시간이라 한다.


5) 복귀(復歸, Drop Out or Reset)
계전기가 pick up후의 위치에서 입력이 영(0)인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말하며, 복귀에 필요한 한계 입력치를 복귀치, 입력이 복귀치를 넘는 순간부터 계전기가 복귀한 때까지의 시간을 복귀시간이라 한다.
(1) 자기복귀 (Self Reset) 동작 후 입력이 복귀치 이하가 되면 자동으로 복귀하는 것을 말한다.
(2) 수동복귀 (Manual Reset) 동작 후 입력이 복귀치 이하가 되어도 자동복귀 되지 않고 계전기를 수동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말한다.
(3) 전기복귀 (Electrical Reset) 동작 후 입력이 복귀치 이하가 되어도 자동복귀되지 않고 복귀를 목적으로 외부에서 다른 전기입력에 의하여 계전기를 복귀시키는 것을 말한다.
(4) 한시복귀 (Time Delayed Reset) 계전기가 동작후 입력치를 영으로 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때 시간 지연으로 복귀하는 것을 말한다.


6) 픽업(Pick Up)
계전기의 가동부가 입력이 영인 위치에서 입력을 가했 을 때 최종 동작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7) 부동(浮動, Floating)
계전기의 가동부가 동작 또는 복귀행정의 도중에서 정지하여 계전기의 기능이 불안정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8) 잠동(潛動, Creeping)
두 개의 입력이 곱으로 구동력이 생기는 계전기에서 그중 한 쪽만의 입력으로 가동부가 구동되어 진동하는 현상 이다.


9) 관성동작(慣性動作)
동작행정의 도중에서 입력이 부동작하는 값으로 급변해도 가동부가 관성으로 운동을 계속해서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10) 반도(反跳, Rebound)
접점의 폐로 또는 개로시 접점이 불필요하게 개폐를 반복하는 현상을 말한다.
(1) Chattering 그 원인이 주로 국부적인 접촉부의 진동에 기인하는 비교적 짧은 주기로 개폐를 반복하는 현상을 chattering이라 한다.
(2) Bouncing 전반적인 가동부의 진동에 기인하는 비교적 긴 주기로 접점개폐를 반복하는 현상을 bouncing이라 한다.



2. 동작특성


1) 억제(抑制, Restraint)
계전기의 동작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 또는 전기량을 작용시키는 것을 말한다.


2) 저지(沮止, Blocking)
계전기가 동작 입력의 여하에 관계없이 어떤 계전기나 system의 일부가 동작되어도 전체 기능을 발휘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3) 자기지지(自己支持, Self Holding)
계전기가 동작했을 때 특정 기구 또는 다른 입력에 의해 동작 기능을 스스로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4) 기억작용(記憶作用, Memory Action)
계전기의 입력이 급변했을 때 변화 전의 전기량을 계전 기에 일시적으로 잔류시키게 하는 것을 말하며 주로 Mho형 거리계전기에 사용한다.


5) 접점협조(接點協助, Contact Coordination)
계전기 접점의 동작 및 복귀시간을 잘 조합, 상호간에 협조하여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예로서 C/R수신 relay와 내부고장 검출 relay간의 접점협 조가 있다.


6) 동작비율(動作比率)
비율차동계전기의 동작coil에 흐르는 전류의 억제coil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백분율을 동작비율이라 하며 변압기의 변압비와 변류기의 변류비가 적당하여 변류기 2차측의 전류가 서로 같게 되면 문제가 없으나 일반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계전기 원리상 차전류를 적절히 보상해 줄 필요가 생기게 되며 변류기 2차 전류가 큰 쪽에 단상 보상변류기 (CCT)를 연결하여 평상시 차동전류를 zero가 되도록 하며, 계전기 동작 coil 및 2개의 억제coil중 한쪽 coil에 각각 tap을 설치하여 기자력(AT)을 같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동작coil이 평형상태에 있도록 하는데 이때에 전원측의 이상으로 계전기에는 차동전류가 흐른다. 동작비율의 tap은 mismatch율과 발생 가능 오차율 및 여유를 합하여 보통 35%이상에 선정하는 것이다. 또 최근에 생산되는 비율차동 계전기는 동작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7) 전류전압특성 (電流電壓特性, V-I Characterictic)
계전기의 입력전류(전압)가 응동에 미치는 영향을 말한 다. 단 전기량 상호간의 관계를 비율로 표시할 수 있는 경우에는 비율특성이라고 할 때도 있다.


8) 최대감도 위상특성각(最大感度 位相特性角, Maximum Torque Angle)
복수입력(전압과 전류 또는 전류와 전류)으로 동작하는 계전기가 같은 크기의 입력을 위상만 변화시키면서 동작 시켰을 때 동작 torque가 최대로 되는 위상각을 그 계전기의 최대감도 위상특성 또는 최대감도 위상각이라 한다.


9) 주파수특성 (周波數特性, Frequency Characteristic)
계전기의 입력 주파수가 응동에 미치는 영향을 말한다. 즉, 거리계전기에는 전압회로에 RC의 위상조정회로를 사용하여 주파수에 따라서 조정 위상각이 변하여 위상특성이 변화된다. 즉 주파수가 저하될 때 Mho계전기는 직경및 최대감도 위상각이 감소한다.


10) 연쇄동작(連鎖動作, Cascading)
연쇄동작이란 용어는 여러가지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 나, 여기서는 배전선보호장치인 리클로저의 보호협조시에 사용되는 실례를 설명한다. 배전선에 직렬로 리클로저를 2대 이상 설치 운전시에, 각 리클로저의 설치위치, 정격, 동작 시퀀스 등을 적절하게 선정하지 않으면 각 리클로저간의 보호협조가 되지 않아 배전선 고장 발생시 직렬로 설치된 각 리클로저가 연쇄적으로 개방 및 투입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연쇄동작이라고 한다. 일반 적으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효과적인 보호협조를 위해서는 전위 리클로저와 후비 리클로저의 동작 시간차를 3상 리클로저의 경우, 8Hz이상 유지해야 한다.


11) 반전(反轉)
계전기에 작용하는 입력이 급감하는 경우 가동부가 급감전의 입력에 의하여 구동력과 역방향으로 동작하는 현상을 말한다. 예로서 양방향 접점을 가진 계전기가 가령 어떤 방향의 전류가 흘러 우측의 접점이 닫혀진다면 이러한 상태에서 입력전류가 급감하여 “0”이 되면, 전기적 Torque도 “0”으로 급감하여, 우측접점에 누르고 있던 가동부가 탄력으로 강하게 좌측에 반발되어 진다. 이러한 힘이 커지면 중립위치를 통과해서 좌측의 접점에 까지 도달되어 좌측접점을 오동작시키기도 한다. 가동부가 최종 에는 입력전류 “0”이 되어 중립위치에 도달하므로 이러한 현상은 과도적이다. 또 비율차동계전기등와 같이 억제력을 취하는 것으로서 제어력이 급감한 경우에 제어 방향으로 강하게 닫혀 있던 가동부가 탄력에 의해서 반발되어 동작방향으로 움직이는 일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도 최종 적으로는 억제력이 작용하는 위치에 가동부가 되돌아 간다. 이상은 기계적인 과도현상이며, 또 전기적인 과도현 상도 있다.


12) 온도특성 (溫度特性, Temperature Characteristic)
계전기의 주위온도가 응동에 미치는 영향을 말한다. 특히 정지형 계전기에서는 영향을 받기 쉽다.



3. 동작시간


1) 고속도(高速度, High Speed)
응동시간이 빨라지도록 특히 고려한 경우의 응동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일정입력(200%)에서 0.04 sec이내로 동작하는 경우이다.


2) 순시(瞬時, Instantaneous)
응동시간에 대해 특히 고려하지 않는 경우의 응동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일정입력(200%)에서 0.2sec이내로 동작하는 경우이다.


3) 한시(限時, Time Delay)
소정의 입력에 대하여 동작시간이 늦어지도록 고려한 경우에 계전기가 시간지연으로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1) 정한시 (Definite Time) 입력의 크기에 관계없이 정해진 한시에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2) 반한시 (Inverse) 입력이 커질수록 짧은 한시에 동작하나 입력이 어떤 범위를 넘으면 일정 한도에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3) 강반한시 (Very Inverse) 입력이 커질수록 짧은 한시에 동작하는 율이 크며, 대체로 lever 10일 때 2배의 pick up시의 동작시간은 3.0sec 정도인 것이다.
(4) 초반한시 (Extremely Inverse) 입력이 커질수록 짧은 한시에 동작하는 율이 가장 크며 tap전류의 20배 되는 전류에서의 동작시간은 lever 10에서 0.2sec로 동작하나 tap전류의 2배의 전류에서는 10sec정 도로 나타난다.



4. 동작시간특성 (動作時間特性, Operating Time Characteristic)
계전기의 입력이 동작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말하며 그 예로 계전기에 가해지는 입력의 대소에 관계없이 일정시간에 동작하는 정한시 특성, 입력이 크면 클수록 동작시 간이 짧아지는 반한시 특성 등이 있다.


1) 최소용융시간(最小鎔融時間, Minimum Melting Time Characteristic)
전력용 fuse에 있어 주위온도 10~40℃ 의 상태에서 정격전류 이상의 어느 전류를 fuse에 통했을 때 최초에 녹기 시작하는 시간과 전류와의 관계 곡선으로, 종축은 시간 (sec), 횡축은 전류(A)를 나타낼 때 반한시특성으로 나타 나며 배전선로의 협조에 있어서 중요한 특성곡선이다. 또한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최소용융곡선이 존재하게 된다.


2) 최대고장 제거시간 특성 (最大故障 除去時間 特性, Maximum Clearing Time Characteristic)
전력용 fuse에 있어 주위온도 10~40℃ 상태에서 fuse의 정격전류 이상의 어느 전류를 fuse에 통했을 때 최초에 fuse가 녹아 끊어지는 최대의 시간과 전류와의 관계 곡선 으로 종축에 시간(Sec), 횡축에 전류(A)를 나타내며 최소 용융곡선의 상위에 있게 된다.


3) 시간 전류특성곡선(T-C Curve)
계전기의 입력전류와 동작시간과의 관계를 종축에는 시간(sec), 횡축에는 전류(A)로 하여 표시한 곡선을 시간 전류특성곡선(T-C곡선)이라 한다.


4) 총 누적시간(TAT : Total Accumulated Time)
배전선 보호장치인 섹셔널라이저 (sectionalizer) 보호협 조에 사용되는 용어로써 섹셔널라이저 전방에 고장이 발생하면, 섹셔널라이저는 후비보호 장치인 리클로저 (recloser) 또는 차단기와 보호협조하여 고장을 제거하는데 이경우 보호협조가 불량하면 후비보호장치가 동작된 다. 이때 후비보호장치가 동작되어 lock out될 때까지의 시간을 총누적시간이라 하며, 섹셔널라이저의 효과적인 보호협조를 위해서는 섹셔널라이저의 기억시간이 반드시 후비장치의 TAT보다 반드시 길어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전반 설치방식  (0) 2017.12.12
배전반 (配電盤, Switchboard)종류  (0) 2017.12.12
계통보호  (0) 2017.12.12
배선 (Wiring)  (0) 2017.12.11
계통보호 점검의 종류  (0) 2017.12.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