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터


1. 병렬 리액터(Shunt Reactor)

장거리 송전선로의 경우 경부하시에 충전전류의 영향 (패런티 효과)과 대도시 전력계통에서는 케이블인 많이 설치됨에 따라 심야시간대에 변전소의 모선전압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지상전류를 얻고 전압상승을 억제할 목적으로 병렬리액터를 설치운전하고 있다. 병렬리액터가 변압기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1) 변압기와 달리 운전은 전부하와 무부하 번갈아 사용되기 때문에 호흡작용이 크므로 이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2) 철심의 구조상 소음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을 고려하여야 하며 병렬리액터는 리액턴스 특성을 선형 적으로 조정하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자속밀도가 높게 되고 또 자기흡입력에 의한 진동 때문에 소음이 크게 되기 쉽다. 그래서 철심을 크게 하여 자속밀도를 적게 하고 또 각종의 방음구조를 갖도록 한다.


2. 한류리액터(Limiting Current Reactor)

선로의 단락 고장 시 고장전류를 제한하여 차단기의 차단용량을 경감함과 동시에 직렬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단기의 전원 측에 직렬 연결한다.


3. 소호 리액터 (Arc-suppression coil, Ground fault neutralizer)
송전선의 중성점 접지방식의 하나로서 계통의 중성점과 대지와의 사이에 접속하는 리액터이다. 송전선의 1선 지락사고시에 접지전류의 대부분을 점하는 용량분을 제거하여 접지 아크를 완전히 소멸시키고 정전 및 아크 접지시 발생하는 이상전압의 장해를 막기 위한 것으로
ω 2 ․3C․L = 1
(ω = 2πf .C : 송전선1상당 대지정전용량)을 만족하는 인덕턴스 L을 갖는다.



커패시터 (Capacitor)



1. 직렬커패시터(Series Capacitor)
직렬커패시터는 장거리 송전선로에 설치하여 선로의 유도성 리액턴스를 보상하여 전압강하를 경감하기 위한 것이다.  장거리 송전 선로의 중간에 1개소 또는 몇 개소에 콘덴서를 직렬로 삽입한다. 선로의 유동성 리액턴스를 X L , 직렬커패시터의 리액턴스를 X C 라고 하면, 선로의 합성 리액턴스 X=X L -X C 로 감소한다. 이는 선로의 등가적인 길이가 짧아지는 것과 같다. 따라서 직렬커패시 터는 송전전압에 비하여 지나치게 긴 선로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작동이 신속하고, 부하변동에 대해 자율적 이므로, 전기로와 같이 빈번하게 변동되는 부하가 있는 회로의 전압맥동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직렬커패시터는 선로리액턴스를 변화시킬 뿐이므로 부하의 역률개선에는 효과가 없으며, 수전단의 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는 기여하지 못한다.

직렬커패시터는 현재 우리계통 에서는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송전선로가 긴 미국, 스웨덴, 뉴질랜드 등과 같은 곳에서 주로 초고압선로에 적용하고 있다. 직렬커패시터를 선로에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다.


1) 장점

(1) 장거리 선로의 전압강하를 줄인다.

(2) 수전단의 전압변동률을 줄인다.
(3) 정태안정도가 증가하여 최대 송전전력이 커진다.
(4) 부하의 역률이 나쁜 선로일수록 효과가 좋다. 즉시동이 빈번한 부하가 연결된 선로에 적용하는 것이 좋다.


2) 단점

(1) 효과가 부하의 역률에 좌우되어 역률의 변동이 큰 선로에는 적당하지 않다.
(2) 변압기의 자기포화와 관련된 철공진, 선로개폐기 단락 고장시의 과전압 발생, 유도기와 동기기의 자기여자 및 난조 등의 이상 현상을 일으킬 수가 있다


2. 병렬커패시터(Shunt Capacitor)
일반적으로 송배전선로에 연결된 부하는 유효전류 뿐만 아니라 상당한 무효전류를 필요로 한다. 선로에는 유․무 효전력의 합성전류가 흐르므로, 전압강하가 증대하며 손실이 하므로 이에 따른 전력설비의 이용률도 저하한다. 커패시터를 부하와 병렬로 접속하면 커패시터는 전압보다 90 °위상이 빠른 진상무효전류(IC)를 공급하므로 부하의 역률이 개선되어 선로전류가 감소하고 선로전류의 감소에 따른 손실과 전압강하 감소 및 전압변동율이 개선되어 양질의 전압 공급이 용이하다. 또한 동일 크기의 부하에서 선로전류의 감소로 설비의 공급여력이 증가된다.

또한 동일한 크기의 부하에서 선로전류의 감소로 설비의 공급할 수 있는 여력이 증가한다. 우리 공사에서는 주로 커패시터를 부하와 병렬로 연결한 병렬커패시터를 변전소의 모선에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23kV 모선에 설치되어 있는 23kV 병렬 커패시터 용량은 154kV 주변압기 용량의 20% 이하로 제한되며 설치기 기는 가능한 한 변압기뱅크의 신설이나 증설시 병행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시기는 최대무효전력 발생시점인 7∼8 월 이전에 완료하여야 한다. 또한 하위계통 에서 소정의 전압을 유지하기 어려워 저전압이 예상되는 곳에 우선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손실감소의 관점에서 무효전력 소비점의 근방이나 역률개선 효과가 큰 곳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23kV 병렬커패시터를 345kV 주변압기의 3차측 모선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154kV 병렬커패시터 뱅크는 154kV 계통전압이 저전압 우려되는 변전소의 154kV 모선에 설치한다.


1) 중성점 레지스터(Neutral Resistor)

초고압 콘덴서뱅크 운전시 돌입전류에 의한 51N 계전 기의 동작으로 콘덴서뱅크의 투입이 실패하는 경우가 있고, 재투입시 잔류전압으로 인해 재기전압이 급상승하여 콘덴서뱅크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콘덴서뱅크 투입시 돌입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콘덴서뱅크 중성점에 레지스터 혹은 리액터를 취부하게 된다. 또한 콘덴서뱅크 투입 실패시 반드시 지정 재투입시간(154kV 콘덴서의 경우 최소 125초 이상 경과) 경과 후 재투입하여야 한다.
우리계통에 사용하는 중성점 레지스터의 정격은 50[Ω], 20[A], 1500[A](순시 Peak) 이며, 기준충격 절연강도 : 125[kV], 150[kV](BIL) 이다.
중성점 레지스터 취부시 중성점의 전위가 상승하며 콘덴서 설치비용이 증가되나, 적기에 콘덴서뱅크를 투입함
에 따른 계통의 안정적인 운전을 고려하여 중성점 레지스 터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2) 방전코일(Discharge Coil)

콘덴서를 회로로부터 분리시 잔류전하는 쉽게 자기방전 하지 않으므로 코일이나 저항을 통하여 방전시켜야 한다. 방전코일의 용량은 단위 Bank용량의 0.1 % 정도의 것이 접속되며 방전은 1초 이내에 완료된다. JIS 규격에는 5초 이내에 단자전압을 50[V] 이하로 낮추도록 되어있다. 방전코일은 상시에는 높은 리액턴스로 미소한 전류가 흐르나 콘덴서 회로가 개방됨과 동시에 콘덴서 잔류전압(직류 분)에 의해 포화되어 리액턴스가 상시의 1/100 정도로 되며, 비진동 성 전류로 되어 수 10[Hz] 이내에 방전하게 된다. 또한, 방전코일의 2차전압을 전압평형계전기에 입력하여 콘덴서 셀의 내부이상으로 인한 고장을 검출한다.


3) 직렬 리액터(Series Reactor)

콘덴서를 조상용으로 송전선에 연결할 때 당면하는 큰문제는 전압파형이 비틀리는 것이다. 선로에는 변압기 등의 자기포화 때문에 고조파전압이 포함되어 있으며 콘덴 서를 연결함에 따라 고조파전압이 확대된다.
그러나 제3고조파전압은 변압기 저압측의 △결선으로 단락 제거되므로 나머지의 제5고조파가 확대된다. 따라서 제5고조파에서 콘덴서와 직렬공진하는 직렬리액터를 삽입한다. 직렬리액터 용량 산정을 위하여 기본주파수를 f라 하면
2π( 5f)L =1/2π( 5f)c

∴ 2πfc = 1/2πfc×1/52 = 0.04 ×1/2πfc

실제로는 기본 주파수에서 콘덴서의 용량성 리액턴스의 4%보다는 조금 크게 5∼6% 정도의 리액턴스를 직렬로 결선하여 제5고조파 전압을 단락 제거 한다.
5%의 직렬리액터를 삽입하면 콘덴서의 단자전압이 5% 상승하고 콘덴서 용량이 10% 정도 증가하므로 콘덴서의 작용도 5% 정도 증가하게 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기조상기 (Synchronous Compensator)  (0) 2017.12.08
리액터  (0) 2017.12.08
조상설비 (Phase modifying equipment)  (0) 2017.12.08
권선의 종류  (0) 2017.12.07
절연유의 종류  (0) 2017.12.07


조상설비 (Phase modifying equipment)


우리나라 전력계통은 송수전 양단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전압 송전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유도성(전 동기 등) 부하가 많은 중부하시에는 송전선로에 큰 지상 전류가 흘러 선로의 리액턴스 강하에 의한 수전단전압이 저하하고, 또한 장거리 송전선로의 경우 경부하시에는 충전전류에 의한 패런티 효과(Ferranti effect)로 수전단전압이 송전단전압보다 높아진다. 이러한 부하변동으로 인한 전압변동을 조정하여 수전단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조상설비이며, 전압조정을 위하여 무효전력을 발생시키기도 하고 무효전력을 흡수하기도 한다. 또한 조상설비는 전압조정뿐만 아니라 계통조류를 조정 하여 송전계통의 안정도를 향상하고 무효전력을 조정하여 손실을 경감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1. 계통전압의 변동

송전선로(또는 변압기)에 전류가 흐르면 임피던스에 의하여 전압강하가 생긴다.
수전단 전압 V ṙ = V r cos θ - jV r sin θ 이다. 수전단 전압은 선로정수 (r, x), 부하의 소비전력 (P, Q) 및 송전단 전압(Vs)의 함수로 표현된다.
즉, V ṙ = f( r ,X ,P,Q, V ṡ ) 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계통에서 회로정수는 고정이므로 수요의 변동에 따라 또는 송전단 전압 변화에 따라 수전단 전압이 변화하게 된다.


2. 전압과 무효전력의 관계
전력계통에서 전압변동은 주로 전력 수송설비에 흐르는 전류 즉, 조류(潮流)의 변화로 생기는데 특히 무효전류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전압 변동율은 주로 무효전력 조류의 변동에 따라 결정되므로 전압조정과 무효전력의 조정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무효전력은 대략 유효전력의 0∼52% 정도(역률100%∼85%)이다. 발전소에서 수요지점까지 전력을 수송하는 도중에는 발전기, 변압기, 송전선로 등의 리액턴스 요소가 있고 리액턴스 X에 전류 I가 흘러 XI 2 의 무효전력 소비가 일어나므로 전압, 무효전 력제어에는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3. 조상설비에 의한 무효전력 제어
송배전 선로는 부하의 많고 적음에 따라, 혹은 부하의 성질(용량성, 유도성)에 따라 역률이 변화하며 이에 따라 수전단의 전압이 변하게 된다. 발전단에서 가까운 곳은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무효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나 멀어질 수록 부하의 역률을 개선해주기 위한 무효전력의 국부적인 조정이 필요하다.
조상설비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배전 계통의 무효전력을 조정해서 적정전압을 유지하고,

필요한 무효전력을 국소적으로 공급하여 무효전류가 전선 로에 흐르는 것을 가급적 적게 함으로써 송배전 선로에서 소비되는 전력손실을 경감하기 위한 설비이다.


4. 조상설비의 종류
조상설비는 동작 원리에 따라 정지기와 회전기로 구분한 다. 회전기인 동기조상기는 연속 조정능력이 있고 진상, 지상 어느 쪽으로도 조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건설, 유지, 운전비용이 비싸므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추세이다. 반면, 정지기인 전력콘덴서, 병렬리액터 등은 각각 진상무 효전력, 지상 무효전력을 공급하는데 용량 단위로 투입, 분리하게 되므로 동기조상기와 달리 연속적인 조정을 할 수없고, 속응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정지형으로 운전 보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력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Thyristor에 의한 Switching기술을 채용한 SVC (Static Var Compensator), STATCOM 등이 개발되어 기존 정지형 조상설비의 단점을 보완하고 연속제어 및 속응성이 우수하여 사용이 확대 되는 추세이다.


5. 조상용량 (Modifying capacity)
조상설비를 수전단에 설치하여 무효전력을 조정하게 되고 전력원선도의 밖에 존재하는 부하와 병렬로 접속시켜서 합성된 P, Q를 전력원선도 위에 오도록(합성 역률이 1 에 가깝도록) 한다.

각각 소요되는 무효전력의 양은 부하를 나타 내는 부하직선과 원선도간의 간격(수직거리)로 구해지며 이를 조상용량이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액터  (0) 2017.12.08
커패시터 (Capacitor)  (0) 2017.12.08
권선의 종류  (0) 2017.12.07
절연유의 종류  (0) 2017.12.07
절연재료의 내열구분  (0) 2017.12.07


권선 도체


권선 도체는 일반적으로 전기동이 사용된다. 10∼20[A] 이하의 소전류에는 환선을 절연하여 사용하고, 그 이상의 전류일 때는 단면이 구형인 평각동선을 절연하여 사용한 다. 대전류가 흐를 때는 2개 이상의 절연된 동선을 병렬로 만든 병렬도체를 사용한다.



연속전위전선 (Continuious transposed cable)


대용량변압기인 경우, 병렬도체를 사용할 때, 누설자속 으로 인하여 각각의 소선에 흐르는 순환전류에 의한 와류 손을 감소시키고, 점적율을 향상시키며, 균등, 불균등 자계에 대하여 이상적인 전위를 유지하고, 권선 작업시 공량을 줄이기 위해 병렬로 도체의 각 소선을 일정한 방향으로 전위하여 소선의 길이를 균일하게 하고 소선간 전위차를 제거한 전위전선[전위전선 또는 연속전위전선(CTC)이 라고도 함]을 사용하기도 한다.
전위전선은 각각의 평각동선 도체를 에나멜로 절연하고 몇 겹의 절연지로 절연하게 된다.



알루미늄 도체


알루미늄은 도전율 및 기계적 강도 등이 동보다 떨어지 나, 평각선으로 소용량의 몰드변압기에 사용되며, 박판의 형태로 소형 배전용 변압기에 사용되기도 한다. 알루미늄을 몰드변압기에 사용하는 이유는 알루미늄의 열팽창율이 수지의 열팽창율과 비슷하여 변압기 운전시 온도상승에 따른 신축이 비슷하므로 수지부분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권선의 배치


1. 동심배치(同心配置, Concentric arrangement)
철심과 가장 가까운 곳에 전압이 가장 낮은 저압권선을 배치하고, 다음에 중압권선, 고압권선, 탭권선의 순으로각 권선을 배치하는 방법이다. 철심과 권선간, 권선과 권선간에는 원통형의 고체 절연물이 배치되며, 권선표면과 내부에는 냉각용 덕트가 있게 되어 권선을 냉각하는 절연 유가 흐르게 된다. 절연유의 자연대류를 절연통이 방해하지 않도록, 동심배치형 권선에서는 권선 및 철심다리의 축을 수직으로 하여야 한다. 동심배치 권선은 일반적으로 내철형 변압기에 많이 사용되며, 권선간의 절연이 용이하다.
단권변압기에서는 직렬권선을 고압권선, 분로권선을 저압 권선으로 간주하여 배치하면 된다.


2. 교호배치(交互配置, Reciprocal arrangement)
철심 다리의 주위에 板狀으로 성형한 고압권선, 중압권 선, 저압권선, 탭권선을 서로 샌드위치와 같이 배열한 방법으로서, 각 권선간 및 권선과 철심간에는 판형, 또는 통형의 절연물을 배치하고, 권선표면 및 내부에 냉각용 덕트를 배치하여 권선을 냉각한다. 고체절연물과 덕트의 간격 편(spacer)을 조절하여 권선을 수직이나 수평으로 배열할수 있다.

일반적으로 판상권선은 수직으로 세우는 것이 냉각에 효율적이다. 따라서 권선을 수직으로 세우고 철심을 수평으로 취하는 경우가 많다. 교호배치형은 일반적으로 외철형 변압기에 많이 사용되며, 누설자속이 적어 대전류 변압기에 적당하다.
권선의 배치에 있어서 동심배치나 교호배치의 구분 없이, 변압기의 전압이 고전압일 경우에는 권선 상호간의 절연거리를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권선 상호간의 절연 스페이서를 보통 주절연이라 칭하는데, 권선을 분할하면 주절연의 수가 증가하여 점적율이 저하한다.



권선의 종류


1. 연속권선(Continuous winding)
350kV BIL 이상의 절연이 필요한 권선에 적용되는 것으로, 전류 용량에 맞도록 여러 개의 평각 동선을 감아 한 개의 층 (또는 섹션)을 만들고, 수직 방향으로 이러한 층이 연속되어한 개의 권선을 이룬다.


2. 나선권선(Helical windings)
절연통위에 권선의 층과 층사 이에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덕트를 만들고 도체를 감는 방식으로 저전압 대전류에서 4개 이상의 평각동선을 병렬로 사용할 경우에 쓰인다. 병렬 소선간의 전류 분담을 균등히 하기 위하여 轉位 를 한다.


3. 고용량권선(Hisercap winding)
Hisercap은 High Series Capacitance의 줄임으로써, 권선 내부의 직렬 정전용량(直列靜電容量, Series Capacitance) 을 높여 권선 내부 임펄스(Impulse) 분포를 선형에 가깝게 만들므로써, 충격전위에 의한 전기적인 스트레스(Stress)를 작게 하는 권선이다.
따라서 이 권선 방식은 650kV BIL 이상의 절연을 필요로 하는 경우와 초고압 분로리액터 등에 적용된다.


4.원통권선(Cylinderical windings)
권선의 단면이 원형이며 크라 프트지를 수지로 함침한 절연통 또는 프레스보드통위에 직접 절연된 도체를 감은 권선이다. 보통 저전압 대전류용(Bil 150kV 이하, 2,500A 이상) 권선에 채택된다.


5. 레이어권선(Spiral, Layer windings)
동심배치인 원통을 다중으로 하여 제작한 경우로서 다중원 통권선이라고도 하며, 충격전 압에 대하여 전압분포 특성이 우수하므로 고전압에도 채용 되기도 한다. 다중원통권선은 권선의 층수가 많은 단권변압 기에 적용시 유리하다.


6. 연속원판권선(Continuous disk windings)
단도체 또는 병렬도체를 절연통위에 스페이서를 만들어 스페이서 위에 감는 방법이다. 연속원판권선은 [그림 52]와 같이 여러 방법이 있으며 주로 고전압 저전류용 변압기에 채택된 다. 연속전위전선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용량변압기에 적용된다.


7. 팬케이크권선(Pancake Windings)
교호배치용 원판권선으로 외철형 변압기에 사용되며 폭이 넓고, 두께가 얇다. 또한 냉각매체가 흐를 수 있도록 작은 직육면체 절연물(프레스보드)을 붙여 유통로를 형성한 절연판 위에 각각 절연된 다도체 동선을 병렬로 감아 와류손을 감소시키며 점적율을 좋게 한다. 권선 조립시 각권선판을 수직으로 세우므로 리드선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턴간 직렬 정전용량이 크며, 대지간 정전용량간의 비가 커서 서지 분포가 균일하여 높은 절연강도를 가지고 냉각효과가 좋다.




절연유의 종류


1. 광유(鑛油, Mineral oil)
광유계 절연유는 석유의 分溜(fraction)에서 沸點이 250 ~400℃ 정도의 수 많은 혼합물을 정제하여 만든 것으로, 그 성분을 대별해 보면 나프텐계 탄화수소, 파라핀계 탄화 수소 및 방향족계 탄화수소 등이 있으며 나프텐계 탄화수 소는 분자 속에 적어도 1개의 포화탄화수소 링(나프텐 링) 을 지닌 화합물이다. 또한 파라핀계는 C n H 2n+2 의 분자식을 갖춘 포화쇄상 탄화수소 화합물로 분기되어 있는 것과 분기되어 있지 않은 것 등이 있으며, 방향족계는 분자 속에 적어도 1개의 불포화 탄화수소 고리를 지닌 화합물을 말한다. 이 밖에 소량의 유황화합물, 질소화합물, 산소화합물 등이 포함되어 있다.
광유계 절연유는 그 성분 속에 나프텐계 또는 파라핀계 탄화수소가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나프텐계 절연유 또는 파라핀계 절연유라 부른다.


광유계 절연유의 조성 비교


          절연유

組成

나프텐계

파라핀계

예1

예2

예3

예1

예12

예3

C N [%]

36.3

39.0

29.7

29.7

27.5

29.7

C P [%]

45.1

49.0

50.7

60.1

59.9

61.3

C A [%]

18.6

12.0

8.5

10.2

12.6

8.3


절연유의 호칭은 분자 속의 탄화수소 총량에 대한 나프텐, 파라핀 및 방향족(Aromatics)성분의 탄소의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표 5]에서 나프텐계 또는 파라핀계 절연유라 불리고 있는 것은 각각의 100%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C N , C P 가 차지하는 비율을 다른 성분과 비교해서 결정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하나의 분자 속에 조합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절연유로서 옛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은 나프텐계이지만약 20여년전부터 고도의 탈납 설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절연유속에 납성분이 많아지면 유동점이 높아져 한냉지역에 서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방향족 성분이 포함되면 내산성이 떨어지는 대신, 전기적 절연성이 좋아지고 절연유의 가스화 경향이 많이 줄어든다. 광유계 절연유는 제조, 정제과정에서 유황, 질소 및 산소화합물, 불포화 성분, 수지 성분, 아스팔트 성분 등의 제거를 처리하고 있는데 이 제거를 고도로 처리하면 전기적 성질은 좋아지지만 열 및 산화 안정성이 나빠지게 된다. 이것은 유황, 질소 및 산소화합물 속에 안정성을 기여 하는 성분이 포함돼 있는데 그것들도 함께 제거되기 때문 이다. 따라서 적절한 한도로 정제해야 한다. 정제 방법은 Hydrotreating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그 방법은 수소 촉매제를 사용하여 H 2 S, 질소, 암모니아, 수분 등이 제거된 다.


광유의 특성


특 성

수 치

점도(㎟/s)

13(at 40℃)

절연파괴전압(kV)

60

역 률(%)

0.01

인화점(℃)

144

발화점(℃)

-

유동점(℃)

-45



2. 합성유(Synthetic oil)
합성유계 절연유는 화학적인 합성반응에 의하여 공업적 으로 특성을 조절한 것으로, 절연유 분류상 2종부터 6종까지 속하고, 염소화폐닐계(PCB), 실리콘계, 에스테르계, 알킬계 등이 있으며, 요구되는 특수한 조건에 맞추어 널리 사용된다. 합성유의 총칭을 아스카렐(Askarel)이라고도 한다.


3. 알킬 벤젠
알킬 벤젠에는 직쇄형(소프트형)과 분기형(하드형)이 있다.
직쇄형의 알킬 벤젠은 n-파라핀을 백금촉매로 탈수한 후, HF 등의 촉매로 벤젠과 결합시켜 만들고, 분기형의 알킬 벤젠은 프로필렌을 인산촉매를 바탕으로 중합시켜 얻은 프로필렌 테트라머에 HF 등을 촉매로 하여 벤젠과 결합시켜 만든다. 알킬 벤젠은 전기적 성질, 산화 안정성 등이 우수하여 전력용 변압기용으로서는 광유계 절연유와 혼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4. PCB(Poly cholrinated biphenyl)

방향족 화합물인 Biphenyl, Biphenyl Ether, Bip- henyl Ketone, Biphenyl Methane 등의 수소를 염소로 치환하여 만든 합성 절연유의 일종이다.
일반 광유보다 전기적, 화학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절연유, 열매체유, 도료, 잉크, 접착제 등에 사용되고 있다.
PCB는 미생물에 의한 분해속도가 느려 장시간 환경오 염물질로서 남게 되며, 사람이나 동물이 먹을 경우 간과 췌장, 위장, 생식기 등에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PCB의 구조는 DDT나 BHC와 같은 유기염소제 또는 살균제와 비슷 하며, PCB의 성질은 不燃性 또는 난연성이며, 열용량이 크고, 전기절연성이 뛰어나며, 광유보다 비중이 크다.(1.2∼1.6)

변압기 내의 절연유는 절연 이외에 냉각을 목적으로 순환되고 있는데, 순환시 절연물에 (-)정전기가, 절연유에는 (+)정전기가 대전된다. 이 현상을 유동대전이라고 하며, 절연유의 순환 속도가 큰 경우, 또는 절연유의 종류에 따라서 유동대전이 발생하여 방전에 이르러 변압기에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유동대전을 억제하기 위하여 절연유에 첨가하는 물질이 벤조트리아졸이다.
PCB는 인체에 위험한 물질로 알려지면서, 1972년경 국제적으로 제조가 금지되었으나, 선진공업국에서 여러 상품명으로 제조된 것들이 전기절연유로 사용되었거나 사용 하고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PCB가 사용된 전기기기를 취급할 때에는 폐기물관리에 의거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5. 혼합유
광유계 절연유를 그 성능을 더욱 높이기 위해 또는 제조상의 이유로써 다른 물질을 혼합 또는 첨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광유계 절연유에 알킬 벤젠을 혼합한 것으로 절연유 분류상 7종에 속하며 전기적 특성이나 산화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 근년에는 나프텐계 원유의 공급 감소로 파라핀계 원유로도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방법을 나프텐계 원유와 같이 하면 납성분이 많아져 유동점이 높아지기 때문에 실용성이 없게 된다. 납성분을 적게 하려면 고도의 탈납설비가 필요하다. 파라핀계 절연유에 알킬벤 젠을 혼합한 것은 상기의 결점을 보완하는 동시에 전기특성, 산화 안정성도 향상된다.


6. 첨가제 첨가절연유
변압기 내의 절연유는 절연 이외에 냉각을 목적으로 순환되고 있는데, 순환시 절연물에 (-)정전기가, 절연유에는 (+)정전기가 대전된다. 이 현상을 유동대전이라고 하며, 절연유의 순환 속도가 큰 경우, 또는 절연유의 종류에 따라서 유동대전이 발생하여 방전에 이르러 변압기에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유동대전을 억제하기 위하여 절연유에 첨가하는 물질이 벤조트리아졸이다.

일반적으로는 대형 초고압 이상의 변압기용 절연유에 사용된다. 첨가량은 통상 20ppm 이하이다.
벤조트리아졸은 구리 및 구리합금에 대하여 부식 억제 효과가 있다는 것이 예부터 알려져 있다. 변압기 내의 동 (銅)재료는 광유계 절연유 속의 특정한 유황화합물에 의해 부식되는 경우가 있다. 벤조트리아졸은 이러한 동(銅)재료를 보호하는 동시에 구리표면에서 구리의 용해를 억제하므로 절연유의 산화방지에도 도움을 준다.
나프탈렌계 원유의 공급 감소에 따라 파라핀계 원유에 서의 절연유 제조를 하게 되었는데, 고도의 탈납처리 시설을 하지 않더라도 유동점강하제를 첨가시킴으로써 실용적인 유동점을 지닌 절연유를 만들 수 있다. 유동점강하제 첨가 절연유의 검토는 여러 곳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IEC(International Electotechnical Commission), EPRI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ete) 등에서도 규격화 되어가고 있다.
유동점강하제를 사용할 경우, 주요한 문제점은 장기 안정성, 전기적 특성이나 산화 안정성에 주는 영향과 다른 종류의 광유계 절연유와의 혼합 안정성, 변압기 사용재료 와의 적합성 등이 있다.
보통의 절연유는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장기 간의 사용에 견디어 낸다. 그러나 특별히 높은 산화 안정 성이 요구될 경우에는 산화방지제 첨가 절연유가 사용된 다. IEC에서는 산화방지제로서 디브틸파라크레졸(DBPC : Di-Tertiary Butyl Para-Cresol)을 첨가한 광유계 절연유가 규격화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배전용 변압기에 DBPC를 0.3~0.5% 첨가한 절연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7. R-TEMP (High molecular weight hydrocarbon)
난연성 절연유의 일종으로 미국 COOPER POWER SYSTEMS社의 제품으로서 1975년 개발이래 약 40,000여 대의 변압기에 사용되었다. 내화 안전성 측면에서 미국의 UL에서 4-5 등급을 획득하였다. 옥내용 변압기에 많이 이용되며, 옥외용 변압기와 개폐기류에도 적용되고, 무독성으로 PCB를 대체하는 절연유로 인식되어 있다. 생화학적인 안정성과 환경적인 안정성을 갖고 있으며, 일반 광유와도 잘 혼합이 되고 취급방법도 같다.
가스절연변압기, 실리콘유변압기, 밀봉형 건식변압기 보다 용량당 적용 단가가 싸고, 인화점이 광유(144℃)보다 높아 내화특성이 좋고, 연소점 또한 일반 광유에 비하여 높은 편이다.
전기적인 특성 중 절연파괴전압도 양호한 편이고, 폐기처리에 대한 비용도 광유보다 적게 든다.
동점도가 좋지 않아 일반적인 변압기에 적용할 때 냉각에 있어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으며, 현재 사용 중인 기존 변압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변압기 권선의 냉각구조를 다시 설계 할 필요가 있다. 가격이 다른 난연성 절연유 보다 저렴하다.


R-Temp의 특성


특 성

수 치

시험방법

전기적

특성

절연파괴 전압

56kV(25℃, 2.5mm 갭구상전극)

43kV(25℃, 침-평판전극)

ASTM D1816
ASTM D877

비유전율

2.2(25℃)

ASTM D924

유전정접

0.1%(100℃)

ASTM D924

체적저항률

1×10 14 Ω-㎝(25℃)

ASTM D1169

물리
화학적

특성

비중

0.87(25℃)

ASTM D1298

계면장력

40mN/m(25℃)

ASTM D971

전산가

5×10 -3 mg KOH/g

ASTM D664

동점도

120cst(40℃) 12cst(100℃)

ASTM D445


L 1.5

ASTM D1500

열적
특성

 인화점

 284℃

 ASTM D92

 연소점

 312℃

 ASTM D92

 유동점

 -24℃

 ASTM D97

 열전도율

 3.1×10 -4
cal/(cm․sec․℃) (25℃)

 RTE 방법

 비열

 0.46(cal/gm/℃) (25℃)

 ASTM D2766

 팽창계수

 7.3×10 -4 (cc/℃) (25℃)

 RTE 방법



8. 실리콘유(Silicon oil)
난연성절연유의 일종으로 광유와 같은 정도의 전기적 특성과 열전도성을 갖고 있으며, 인화점이 약 300℃ 정도 로서 난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무독성으로 취급이 용이하다. 반면에 가격이 매우 고가이며 아크 발생시 SiO2 를 주체로 백색 고형물질이 발생하여 내전압이 저하하므로 110kV 이상 고전압기기에는 사용의 어려움이 있다. 외국에서는 주로 배전용 또는 주상변압기와 철도용 변압기에 많이 사용된다. 국내에서는 복합절연방식 주상변압기에 적용하여 H종 절연물과 같이 이용된다.


실리콘유 D.C 561(다우코닝社)의 특성


특 성

수 치

시 험 방 법


절연파괴 전압

>35kV (25℃, 2.5mm 갭, 구상전극)

ASTM D1816

유전정접

0.01 (25℃)

ASTM D924

체적저항률

-

-


비중

0.96(25℃)

ASTM D1298

전산가

-

-

동점도

50cst(20℃)

ASTM D445


투명

ASTM D1500


인화점

300℃

ASTM D92

연소점

340℃

ASTM D92

 유동점

 -55℃

 ASTM D97



9. 파플푸오르카본(Perfluorocarbon, PFC)
불연절연유의 일종으로 가스절연변압기(Gas Insulation Transformer)에 이용되는 절연․냉각재로서 매우 고가인 절연유이다. C 8 을 주성분으로 한 C 8 F 16O 로 표현되는 불소 화합물이나 상온에서 휘발하지 않으며, 매우 안정적인 물질로서 대기중의 오존층을 파괴하지도 않는다.
비유전율이 절연지와 비슷하여 변압기 내부의 전계분포를 개선하는 매우 이상적인 절연유이며, 초고압변압기의 유동대전현상을 해소하는데도 적합할 뿐만 아니라, 냉각 성능이 매우 뛰어나 슈퍼컴퓨터의 냉각에도 이용된다


PFC의 특성


특 성

수 치

전기적
특성

절연파괴 전압

>60kV (25℃, 2.5mm 갭, 구상전극)

유전율

1.86(25℃)

물리

화학적 특성

비중

1.76(25℃)

동점도

0.8cst(25℃)


-

열적특성

인화점

불연성

연소점


유동점

-88℃



10. 식물성 절연유
식물성 절연유는 콩, 옥수수 등 식물씨앗에서 추출한 천연 에스터로 90년대 중반부터 개발돼 주로 북미 지역 전력회사에서 사용 중에 있으며, 기존 광유(Mineral Oil)에 비해 생분해도가 높아 환경 친화적이며 발화정인화점이 높아 난연성능이 우수하다. 미국에서는 COOPER, ABB, CARGIL 등에서 개발돼 미국 배전용 변압기 3만 5000여대에 적용 중에 있고, 우리 나라에서는 동남석유가 개발 및 시험을 완료했고, 신호유 화에서도 개발 중이다. 광유와 식물유 열화특성을 평가한 결과 광유에 비해 식물 유의 점도가 3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열화후 광유에 비해 식물유의 점도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물유는 열화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므로 권선설 계시 과열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광유는 식물유에 비해 에너멜 동선 및 절연지의 열화를 촉진하며, 식물 유가 동선·절연지 열화측면에서 광유에 비해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식물유 변압기는 고객구내, 인구밀집지역 등에 적용해 변압기 화재사고 위험을 감소할 수 있으며 상수도 보호지역, 국립공원 등 친환경 보존 필요지역에 활용이 가능하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상설비 (Phase modifying equipment)  (0) 2017.12.08
권선의 종류  (0) 2017.12.07
절연재료의 내열구분  (0) 2017.12.07
KS규격에 따른 전기 절연유의 분류  (0) 2017.11.30
절연재료  (0) 2017.11.30


충격전압흡수기 (Surge absorber)


변압기 권선에 침입한 충격전압이나 과도한 이상전압으 로부터 권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탭 권선, 고압권선, 저압 권선의 각 단자 사이에 비선형 충격전압흡수기(Nonlinear surge absorber)를 설치한다.
이는 평상시에는 대단히 높은 임피던스를 가지나 일정 전압을 상회하는 전압이 인가되면 그 임피던스 값이 비선 형특성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임피던스가 감소함에 따라 권선에 침입한 이상전압은 충격전압흡수기에 주로 걸리게 되어 권선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구성은 Zin-coxide로 만든 원판을 피뢰기의 특성소자를 적층하는 것과 같이 되어 있으며, 효성의 345kV 내철형 단권변압기(Large core)에 적용되고 있다.


절연유 속에는 정전하(+)가 축적되고, 고체절연물에는 부전하(-)가 축적된다. 이러한 전하의 축적이 유동전류로 나타나고, 이 유동전류는 유속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난류의 정도가 심해지면 유속의 제곱 이상에 비례하여 증가하 며, 유속이 일정하면 유온이 높을수록 증가하게 된다.
고전압대용량 유입변압기에 있어서 절연유를 유동시킬 때, 절연유와 변압기 내부의 고체절연물과의 유동마찰에 의한 대전현상을 뜻한다. 이러한 현상은 고체절연물과 절연유의 계면에서 두 종류의 물질이 접촉이반을 통하여 전하의 이동․분리․대전이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발생되는 공간전하․표면전하는 극히 미량이지만, 전하의 축적에 의하여 높은 전위를 발생시키 거나, 전계의 집중을 가져와, 변압기 권선의 절연파괴로까지 이행되기도 한다.


절연유 속에는 정전하(+)가 축적되고, 고체절연물에는 부전하(-)가 축적된다. 이러한 전하의 축적이 유동전류로 나타나고, 이 유동전류는 유속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난류의 정도가 심해지면 유속의 제곱 이상에 비례하여 증가하 며, 유속이 일정하면 유온이 높을수록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초고압 대용량변압기를 제작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권선을 냉각하는 절연유의 유속을 적당히 제한하 여야 하고, 냉각기 덕트 입구에서의 절연유의 흐름을 개선 하며, 대전필터를 채택하면 유동전류를 줄일 수 있다.



복합절연 (複合絶緣, Hybrid insulation)


복합절연이란 권선 절연물, 스페이서, 냉각덕트 등과 같이 권선에 직접 접촉하거나, 권선주위에 있음으로서 열적 상승이 수반되는 부분은 H종 절연물(Nomex)을 적용하고, 권선과 많이 이격된 부분은 A종 절연(크라프트紙)을 적용 하는 절연방식으로서 열적,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매우우수하다.



내열절연계급


절연물의 열화 원인으로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 중에서 열에 의한 熱劣化가 가장 큰 원인이다. 전기기기에서는 熱劣化가 주요한 문제로서 절연물의 분류도 이 내열성의 한도로 결정된다.


절연재료의 내열구분


종별

최고허용

사용온도

(℃)

주 요 재 료 의 예

Y

90

면, 견, 종이 등의 천연 동식물 섬유, 재생 셀룰로이즈, 아니린수지, 요소수지

A

105

바니시를 함침하거나, 유중에 담근 천연 동식물 섬유, 에나멜선용 폴리아미드 및 비닐 포르말수지

E

120

에나멜선용 포리우레탄 및 에폭시 수지, 셀룰로이즈,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후레트

B

130

유리섬유, 아스페스트, 마이카를 세락스, 아스팔트, 합성수지와 조합한 것

F

155

유리섬유, 아스페스트, 마이카를 특히 내열성이 좋은 합성수지와 조합한 것

H

180

유리섬유, 아스페스트, 마이카를 실리콘수 지와 조합한 것

C

180 이상

마이카, 瓷器, 유리섬유를 시멘트와 같은 무기재료와 조합한 것


최고허용사용온도는 이 온도를 초과하였다고 하여서 절연물이 소손, 파괴되는 온도는 아니다.
최근에는 IEEE에서 H급 이상을 H(180~185℃), N(20 0℃, UL 인정 등급), C(220℃), R(220℃ 이상)로 재분류하고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선의 종류  (0) 2017.12.07
절연유의 종류  (0) 2017.12.07
KS규격에 따른 전기 절연유의 분류  (0) 2017.11.30
절연재료  (0) 2017.11.30
권선의 종류  (0) 2017.11.30



한국공업규격인 KSC 2301에 의한 절연유의 분류


KS규격에 따른 전기 절연유의 분류


 종 류

 성분

적 용

 1종

 1호

 광유

유입콘덴서, 유입케이블에 사용

 

 2호

유입차단기,유입변압기에 사용 (66kV미만)

 

 3호

춥지 않은 곳의 유입변압기, 유입차단기

 

 4호

유입변압기 (66kV 이상)

 2종

 1호

 알킬 벤젠

분 기 쇄 형 저 점 도

유입케이블, 유입 콘덴서에 사용

 

 2호

분 기 쇄 형 고 점 도

 

 3호

직 쇄 형 저 점 도

 

 4호

직 쇄 형 고 점 도

 3종

 1호

 폴리부텐

저 점 도

유입케이블, 유입
콘덴서에 사용

 

 2호

 중 점 도

 

 3호

 고 점 도

 4종

 1호

 알킬 나프탈렌

 저 점 도

 유입콘덴서에 사용

 

 2호

 고 점 도

 5종

 

 알킬

디페닐 에탄

 주로 유입콘덴서에 사용

 6종

 

 실리콘유

 주로 유입변압기에 사용

 7종

 1호

 광유+

알킬 벤젠

 유입콘덴서, 유입케이블에 사용

 

 2호

 유입차단기,유입변압기에 사용 (66kV미만)

 

 3호

 춥지 않은 곳의 유입변압기, 유입차단기

 

 4호

 유입변압기 (66kV 이상)



절연유의 종류


1. 광유(鑛油, Mineral oil)
광유계 절연유는 석유의 分溜(fraction)에서 沸點이 250 ~400℃ 정도의 수 많은 혼합물을 정제하여 만든 것으로, 그 성분을 대별해 보면 나프텐계 탄화수소, 파라핀계 탄화 수소 및 방향족계 탄화수소 등이 있으며 나프텐계 탄화수 소는 분자 속에 적어도 1개의 포화탄화수소 링(나프텐 링) 을 지닌 화합물이다. 또한 파라핀계는 C n H 2n+2 의 분자식을 갖춘 포화쇄상 탄화수소 화합물로 분기되어 있는 것과 분기되어 있지 않은 것 등이 있으며, 방향족계는 분자 속에 적어도 1개의 불포화 탄화수소 고리를 지닌 화합물을 말한다. 이 밖에 소량의 유황화합물, 질소화합물, 산소화합물 등이 포함되어 있다.
광유계 절연유는 그 성분 속에 나프텐계 또는 파라핀계 탄화수소가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나프텐계 절연유 또는 파라핀계 절연유라 부른다.
.


광유계 절연유의 조성 비교


절연유

組成

나프텐계

파라핀계

예1

예1

예1

예1

예1

예1

C N [%]

36.3

39.0

29.7

29.7

27.5

9.7

C P [%]

45.1

49.0

50.7

60.1

59.9

61.3

C A [%]

18.6

12.0

8.5

10.2

12.6

8.3


절연유의 호칭은 분자 속의 탄화수소 총량에 대한 나프텐, 파라핀 및 방향족(Aromatics)성분의 탄소의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표 5]에서 나프텐계 또는 파라핀계 절연유라 불리고 있는 것은 각각의 100%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C N , C P 가 차지하는 비율을 다른 성분과 비교해서 결정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하나의 분자 속에 조합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절연유로서 옛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은 나프텐계이지만약 20여년전부터 고도의 탈납 설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절연유속에 납성분이 많아지면 유동점이 높아져 한냉지역에 서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방향족 성분이 포함되면 내산성이 떨어지는 대신, 전기적 절연성이 좋아지고 절연유의 가스화 경향이 많이 줄어든다. 광유계 절연유는 제조, 정제과정에서 유황, 질소 및 산소화합물, 불포화 성분, 수지 성분, 아스팔트 성분 등의 제거를 처리하고 있는데 이 제거를 고도로 처리하면 전기적 성질은 좋아지지만 열 및 산화 안정성이 나빠지게 된다. 이것은 유황, 질소 및 산소화합물 속에 안정성을 기여 하는 성분이 포함돼 있는데 그것들도 함께 제거되기 때문 이다. 따라서 적절한 한도로 정제해야 한다. 정제 방법은 Hydrotreating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그 방법은 수소 촉매제를 사용하여 H 2 S, 질소, 암모니아, 수분 등이 제거된다.


광유의 특성


특 성

수 치

점도(㎟/s)

13(at 40℃)

절연파괴전압(kV)

60

역 률(%)

0.01

인화점(℃)

144

발화점(℃

-

유동점(℃)

-45


2. 합성유(Synthetic oil)
합성유계 절연유는 화학적인 합성반응에 의하여 공업적 으로 특성을 조절한 것으로, 절연유 분류상 2종부터 6종까지 속하고, 염소화폐닐계(PCB), 실리콘계, 에스테르계, 알킬계 등이 있으며, 요구되는 특수한 조건에 맞추어 널리 사용된다. 합성유의 총칭을 아스카렐(Askarel)이라고도 한다.


3. 알킬 벤젠
직쇄형의 알킬 벤젠은 n-파라핀을 백금촉매로 탈수한 후, HF 등의 촉매로 벤젠과 결합시켜 만들고, 분기형의 알킬 벤젠은 프로필렌을 인산촉매를 바탕으로 중합시켜 얻은 프로필렌 테트라머에 HF 등을 촉매로 하여 벤젠과 결합시켜 만든다. 알킬 벤젠은 전기적 성질, 산화 안정성 등이 우수하여 전력용 변압기용으로서는 광유계 절연유와 혼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4. PCB(Poly cholrinated biphenyl)
방향족 화합물인 Biphenyl, Biphenyl Ether, Bip- henyl Ketone, Biphenyl Methane 등의 수소를 염소로 치환하여 만든 합성 절연유의 일종이다.
일반 광유보다 전기적, 화학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절연유, 열매체유, 도료, 잉크, 접착제 등에 사용되고 있다.
PCB는 미생물에 의한 분해속도가 느려 장시간 환경오 염물질로서 남게 되며, 사람이나 동물이 먹을 경우 간과 췌장, 위장, 생식기 등에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PCB의 성질은 不燃性 또는 난연성이며, 열용량이 크고, 전기절연성이 뛰어나며, 광유보다 비중이 크다.(1.2∼1.6) 또한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내산, 내알칼리성이며 물에 극히 잘 녹지 않지만 유기용매에는 잘 녹는다.
PCB는 인체에 위험한 물질로 알려지면서, 1972년경 국제적으로 제조가 금지되었으나, 선진공업국에서 여러 상품명으로 제조된 것들이 전기절연유로 사용되었거나 사용 하고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PCB가 사용된 전기기기를 취급할 때에는 폐기물관리에 의거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5. 혼합유
광유계 절연유를 그 성능을 더욱 높이기 위해 또는 제조상의 이유로써 다른 물질을 혼합 또는 첨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광유계 절연유에 알킬 벤젠을 혼합한 것으로 절연유 분류상 7종에 속하며 전기적 특성이나 산화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 근년에는 나프텐계 원유의 공급 감소로 파라핀계 원유로도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방법을 나프텐계 원유와 같이 하면 납성분이 많아져 유동점이 높아지기 때문에 실용성이 없게 된다. 납성분을 적게 하려면 고도의 탈납설비가 필요하다. 파라핀계 절연유에 알킬벤 젠을 혼합한 것은 상기의 결점을 보완하는 동시에 전기 특성, 산화 안정성도 향상된다.


6. 첨가제 첨가절연유
변압기 내의 절연유는 절연 이외에 냉각을 목적으로 순환되고 있는데, 순환시 절연물에 (-)정전기가, 절연유에는 (+)정전기가 대전된다. 이 현상을 유동대전이라고 하며, 절연유의 순환 속도가 큰 경우, 또는 절연유의 종류에 따라서 유동대전이 발생하여 방전에 이르러 변압기에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유동대전을 억제하기 위하여 절연유에 첨가하는 물질이 벤조트리아졸이다.

일반적으로는 대형 초고압 이상의 변압기용 절연유에 사용된다. 첨가량은 통상 20ppm 이하이다.
벤조트리아졸은 구리 및 구리합금에 대하여 부식 억제 효과가 있다는 것이 예부터 알려져 있다. 변압기 내의 동 (銅)재료는 광유계 절연유 속의 특정한 유황화합물에 의해 부식되는 경우가 있다. 벤조트리아졸은 이러한 동(銅) 재료를 보호하는 동시에 구리표면에서 구리의 용해를 억제하므로 절연유의 산화방지에도 도움을 준다.
나프탈렌계 원유의 공급 감소에 따라 파라핀계 원유에 서의 절연유 제조를 하게 되었는데, 고도의 탈납처리 시설을 하지 않더라도 유동점강하제를 첨가시킴으로써 실용적인 유동점을 지닌 절연유를 만들 수 있다. 유동점강하제 첨가 절연유의 검토는 여러 곳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IEC(International Electotechnical Commission), EPRI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ete) 등에서도 규격화 되어가고 있다.
유동점강하제를 사용할 경우, 주요한 문제점은 장기 안정성, 전기적 특성이나 산화 안정성에 주는 영향과 다른 종류의 광유계 절연유와의 혼합 안정성, 변압기 사용재료 와의 적합성 등이 있다.
보통의 절연유는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장기 간의 사용에 견디어 낸다. 그러나 특별히 높은 산화 안정 성이 요구될 경우에는 산화방지제 첨가 절연유가 사용된 다. IEC에서는 산화방지제로서 디브틸파라크레졸(DBPC : Di-Tertiary Butyl Para-Cresol)을 첨가한 광유계 절연유가 규격화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배전용 변압기에 DBPC를 0.3~0.5% 첨가한 절연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7. R-TEMP (High molecular weight hydrocarbon)
난연성 절연유의 일종으로 미국 COOPER POWER SYSTEMS社의 제품으로서 1975년 개발이래 약 40,000여 대의 변압기에 사용되었다. 내화 안전성 측면에서 미국의 UL에서 4-5 등급을 획득하였다. 옥내용 변압기에 많이 이용되며, 옥외용 변압기와 개폐기류에도 적용되고, 무독성으로 PCB를 대체하는 절연유로 인식되어 있다. 생화학적인 안정성과 환경적인 안정성을 갖고 있으며, 일반 광유와도 잘 혼합이 되고 취급방법도 같다.
가스절연변압기, 실리콘유변압기, 밀봉형 건식변압기 보다 용량당 적용 단가가 싸고, 인화점이 광유(144℃)보다 높아 내화특성이 좋고, 연소점 또한 일반 광유에 비하여 높은 편이다.
전기적인 특성 중 절연파괴전압도 양호한 편이고, 폐기처리에 대한 비용도 광유보다 적게 든다.
동점도가 좋지 않아 일반적인 변압기에 적용할 때 냉각에 있어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으며, 현재 사용 중인 기존 변압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변압기 권선의 냉각구조를 다시 설계 할 필요가 있다. 가격이 다른 난연성 절연유 보다 저렴하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연유의 종류  (0) 2017.12.07
절연재료의 내열구분  (0) 2017.12.07
절연재료  (0) 2017.11.30
권선의 종류  (0) 2017.11.30
변압기 결선  (0) 2017.11.29


절연구조



1. 주절연(主絶緣, Major insulation)
변압기 고압 권선과 저압 권선간과 분할된 권선간의 절연이며, 그 절연구조는 내철형, 외철형, 원판권선, 원통권선 등 철심과 권선의 형태, 제작사에 따라 달라진다.
충격전압으로 인한 절연파괴는 주로 연면 방전에 의한 것이므로 절연물의 배치는 전계방향에 직각 으로 되어있다. 절연물은 주로 프 프레스보드와 같은 물질이 많이 사용되며, 변압기의 대용량 고전압화에 따라 절연구조도 배리어구조에서 충전 절연구조로 변화되고 있다.


2. 층간절연(層間絶緣, Minor insulation)
권선의 원판과 원판 그리고 턴과 턴사이의 절연을 칭하는 것으로 대부분 지절연으로 되어 있다. 평상시 사용전 압에서는 절연상 큰 문제가 없으나, 충격전압이 가해지면 평상시 전압의 수배 내지 수십 배의 전압이 인가되므로 턴간절연도 1mm 정도 두께의 지절연, 합성수지절연을 하고, 층과 층 사이의 절연은 프레스보드, 합성수지와 절연 유에 의하여 절연을 하게 된다.



절연재료


1. 크라프트지(Kraft紙)
변압기의 권선을 절연하는 중요한 절연물이다. 주로 동선에 감아서 사용하므로 절연강도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가 커야 한다. 두께 0.05~0.50[mm] 이며, 종이에는 부분적으로 도전입자가 존재하므로 적어도 두장 이상 겹쳐 서 사용하여야 한다. 내열성이 비교적 크며, 절연내력이 4 [kV/mm] 이상으로 우수하므로 유입변압기, 유입콘덴서, 유입케이블 등에 많이 사용된다. 온도상승이 55℃까지 허용되는 일반 등급의 절연지와 온도상승이 65℃까지 허용되는 내열 절연지 두 종류가 있다.


2. 크리이프지(Creap紙)
주름이 있는 종이로서 많이 늘어나기 때문에 만곡 부분의 테이핑 등에 적당하므로, 리드의 테이핑에 많이 사용된 다. 절연내력은 5.5[kV/mm] 이상이다.


3. 프레스보드(Press board)
크라프트 펄프, 목면섬유를 원료로 만든 습지(濕紙)를 필요한 두께로 압축, 성형하여 만든 것으로, 권선의 스페이서, 절연통, 권선과 권선의 절연, 층간절연 등에 사용되며, 압축 하여 지지물로도 사용되는 중요한 절연물이다. 유입변압기 에서는 동량과 거의 비슷한 정도의 양이 사용된다. 1종(목 면섬유 50%, 크라프트 펄프 50%)과 2종(크라프트 펄프100%)이 있으며, 절연내력은 4~6[kV/mm] 이상이다.


4. 절연박지
마닐라삼을 원료로 하여 만든 두께 0.02~0.05[mm] 정도의 얇은 종이이다. 기계적 강도가 크므로, 환선(丸線) 의 절연이나, 바니시페이퍼로 쓰이고, 특히 얇은 것은 마이카 페이퍼에 쓰인다. 절연내력은 4[kV/mm] 이상이다.


5. 합성수지(Synthetic resin)
합성수지의 종류로는 열가소성(Thermoplasticity)인 것과 열경화성(Thermosetting)이 있다. 열가소성은 가열하면 연화되어 반고체 상태로 되는 비닐계 레진이 있으며, 열경화성은 한 번 가열하면 연화되나, 계속 가열하면 점차 경화되어 다시는 연화하지 않으며, 페놀수지, 에폭시수 지, 실리콘수지, 아미노수지 등이 있고, 변압기의 절연재 료로 주로 사용된다. 참고로 폴리에스터 필름의 절연내력은 280[kV/mm] 정도이다.


6. 목재
일반적으로 목재는 절연보다는 리드 등의 지지물로서 사용된다. 널리 사용되는 목재는 北美産 단풍나무가 사용된다.


7. 바니시(Varnish)
천연 수지 또는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하여 가열 건조하여 만들며, 건식 변압기에서 기계적인 강도와 절연내력을 증대시 키고, 열의 전도를 좋게 하며, 먼지와 이물질의 침입을 막음으로 널리 사용된다. 절연내력은 10∼40 [kV/mm] 정도이다. 바니시를 綿, 絹에 함침시켜 테이프 형태로 만든 것을 바니시 클로스 테이프(lino 테이프)라 하고, 布에 함침한 것을 바니시 클로스, 관의 형태로 한 것을 바니시 튜브, 유리섬유에 함침한 것을 그라스 클로스라 한다.


8. 유리섬유(Glass fiber)
유리섬유에는 단섬유와 장섬유가 있으며, 단섬유는 단열․ 방열재료로 사용되며, 장섬유는 절연재료로 사용된다. 유리 섬유는 불연성, 내열성, 비흡습성, 절연성, 내유성,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하며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절연물로 사용하기에 매우 좋으나, 진동같은 반복 응력에 의하여 섬유가 끊어지기 쉽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습성을 가지므로 실리콘바니시 등에 의해 함침하여 대용량의 건식변압기에 사용한다.


9. 합성섬유(Synthetic fabric)
폴리아미드와 아라미드펄프 계통의 합성섬유가 고온 고체절연물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절연물은 Nomex 아라미 드로서 합성방향족 화합물 폴리아미드 종합체로 만들어진 다. 절연내력은 18~45[㎸/㎜] 정도이며, 습도에 강하고, 기계적강도, 열적 내력과 안정성이 뛰어나다. 절연지와 프레스보드 등의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성형하여 절연구 조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H종 절연물로 분류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연재료의 내열구분  (0) 2017.12.07
KS규격에 따른 전기 절연유의 분류  (0) 2017.11.30
권선의 종류  (0) 2017.11.30
변압기 결선  (0) 2017.11.29
철심 (鐵心, Core)  (0) 2017.11.29


권선 도체


권선 도체는 일반적으로 전기동이 사용된다. 10∼20[A] 이하의 소전류에는 환선을 절연하여 사용하고, 그 이상의 전류일 때는 단면이 구형인 평각동선을 절연하여 사용한 다. 대전류가 흐를 때는 2개 이상의 절연된 동선을 병렬로 만든 병렬도체를 사용한다.



연속전위전선 (Continuious transposed cable)


대용량변압기인 경우, 병렬도체를 사용할 때, 누설자속 으로 인하여 각각의 소선에 흐르는 순환전류에 의한 와류 손을 감소시키고, 점적율을 향상시키며, 균등, 불균등 자계에 대하여 이상적인 전위를 유지하고, 권선 작업시 공량을 줄이기 위해 병렬로 도체의 각 소선을 일정한 방향으로 전위하여 소선의 길이를 균일하게 하고 소선간 전위차를 제거한 전위전선[전위전선 또는 연속전위전선(CTC)이 라고도 함]을 사용하기도 한다.
전위전선은 각각의 평각동선 도체를 에나멜로 절연하고 몇 겹의 절연지로 절연하게 된다.



알루미늄 도체


알루미늄은 도전율 및 기계적 강도 등이 동보다 떨어지 나, 평각선으로 소용량의 몰드변압기에 사용되며, 박판의 형태로 소형 배전용 변압기에 사용되기도 한다. 알루미늄을 몰드변압기에 사용하는 이유는 알루미늄의 열팽창율이 수지의 열팽창율과 비슷하여 변압기 운전시 온도상승에 따른 신축이 비슷하므로 수지부분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권선의 배치


1. 동심배치(同心配置, Concentric arrangement)
철심과 가장 가까운 곳에 전압이 가장 낮은 저압권선을 치하고, 다음에 중압권선, 고압권선, 탭권선의 순으로각 권선을 배치하는 방법이다. 철심과 권선간, 권선과 권선간에는 원통형의 고체 절연물이 배치되며, 권선표면과 내부에는 냉각용 덕트가 있게 되어 권선을 냉각하는 절연 유가 흐르게 된다. 절연유의 자연대류를 절연통이 방해하지 않도록, 동심배치형 권선에서는 권선 및 철심다리의 축을 수직으로 하여야 한다. 동심배치 권선은 일반적으로 내철형 변압기에 많이 사용되며, 권선간의 절연이 용이하다. 단권변압기에서는 직렬권선을 고압권선, 분로권선을 저압 권선으로 간주하여 배치하면 된다.


2. 교호배치(交互配置, Reciprocal arrangement)
철심 다리의 주위에 板狀으로 성형한 고압권선, 중압권 선, 저압권선, 탭권선을 서로 샌드위치와 같이 배열한 방법으로서, 각 권선간 및 권선과 철심간에는 판형, 또는 통형의 절연물을 배치하고, 권선표면 및 내부에 냉각용 덕트를 배치하여 권선을 냉각한다. 고체절연물과 덕트의 간격 편(spacer)을 조절하여 권선을 수직이나 수평으로 배열할수 있다. 일반적으로 판상권선은 수직으로 세우는 것이 냉각에 효율적이다. 따라서 권선을 수직으로 세우고 철심을 수평으로 취하는 경우가 많다. 교호배치형은 일반적으로 외철형 변압기에 많이 사용되며, 누설자속이 적어 대전류 변압기에 적당하다. 권선의 배치에 있어서 동심배치나 교호배치의 구분 없이, 변압기의 전압이 고전압일 경우에는 권선 상호간의 절연거리를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권선 상호간의 절연 스페이서를 보통 주절연이라 칭하는데, 권선을 분할하면 주절연의 수가 증가하여 점적율이 저하한다.



권선의 종류


1. 연속권선(Continuous winding)
350kV BIL 이상의 절연이 필요한 권선에 적용되는 것으로, 전류 용량에 맞도록 여러 개의 평각 동선을 감아 한 개의 층 (또는 섹션)을 만들고, 수직 방향으로 이러한 층이 연속되어한 개의 권선을 이룬다.


2. 나선권선(Helical windings)
절연통위에 권선의 층과 층사 이에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덕트를 만들고 도체를 감는 방식으로 저전압 대전류에서 4개 이상의 평각동선을 병렬로 사용할 경우에 쓰인다. 병렬 소선간의 전류 분담을 균등히 하기 위하여 轉位를 한다.


3. 고용량권선(Hisercap winding)
Hisercap은 High Series Capacitance의 줄임으로써, 권선 내부의 직렬 정전용량(直列靜電容量, Series Capacitance) 을 높여 권선 내부 임펄스(Impulse) 분포를 선형에 가깝게 만들므로써, 충격전위에 의한 전기적인 스트레스(Stress)를 작게 하는 권선이다. 따라서 이 권선 방식은 650kV BIL 이상의 절연을 필요로 하는 경우와 초고압 분로리액터 등에 적용된다.


4.원통권선(Cylinderical windings)
권선의 단면이 원형이며 크라 프트지를 수지로 함침한 절연통 또는 프레스보드통위에 직접 절연된 도체를 감은 권선이다. 보통 저전압 대전류용(Bil 150kV 이하, 2,500A 이상) 권선에 채택된다.


5. 연속원판권선(Continuous disk windings)
동심배치인 원통을 다중으로 하여 제작한 경우로서 다중원 통권선이라고도 하며, 충격전 압에 대하여 전압분포 특성이 우수하므로 고전압에도 채용 되기도 한다. 다중원통권선은 권선의 층수가 많은 단권변압 기에 적용시 유리하다.


6. 연속원판권선(Continuous disk windings)
단도체 또는 병렬도체를 절연통위에 스페이서를 만들어 스페이서 위에 감는 방법이다. 연속원판권선은 [그림 52]와 같이 여러 방법이 있으며 주로 고전압 저전류용 변압기에 채택된 다. 연속전위전선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용량변압기에 적용된다.


7. 팬케이크권선(Pancake Windings)
교호배치용 원판권선으로 외철형 변압기에 사용되며 폭이 넓고, 두께가 얇다. 또한 냉각매체가 흐를 수 있도록 작은 직육면체 절연물(프레스보드)을 붙여 유통로를 형성한 절연판 위에 각각 절연된 다도체 동선을 병렬로 감아 와류손을 감소시키며 점적율을 좋게 한다. 권선 조립시 각권선판을 수직으로 세우므로 리드선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턴간 직렬 정전용량이 크며, 대지간 정전용량간의 비가 커서 서지 분포가 균일하여 높은 절연강도를 가지고 냉각효과가 좋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KS규격에 따른 전기 절연유의 분류  (0) 2017.11.30
절연재료  (0) 2017.11.30
변압기 결선  (0) 2017.11.29
철심 (鐵心, Core)  (0) 2017.11.29
용도별 변압기 구분  (0) 2017.11.29


변압기 결선



1. 극성(極性, Polarity)
변압기의 극성은 단자에 나타나는 유기전압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가. 감극성(減極性, Subtractive polarity)

감극성은 고압측에서 전류의 방향은 U측에서 V측으로 흐르고, 동시에 생기는 유기전압의 방향은 V측에서 U측 으로 향하며, 저압측에서 전류의 방향은 v측에서 u측으로 흐르고, 동시에 생기는 유기전압의 방향은 v측에서 u측으로 향하게 된다.
즉 V와 v를 연결시 U와 u사이의 전압E Uu =E UV -E vu 이므로 두 권선간의 전압은 경감되게 된다.


나. 가극성(加極性, Additive polarity)

가극성은 고압측에서 전류의 방향은 U측에서 V측으로 흐르고, 동시에 생기는 유기전압의 방향은 V측에서 U측 으로 향하며, 저압측에서 전류의 방향은 u측에서 v측으로 흐르고, 동시에 생기는 유기전압의 방향은 v측에서 u측으로 향하게 된다. 즉 V와 u를 연결시 U와 v사이의 전압 E Uv =E UV +E uv 이므로 두 권선간의 전압은 커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U와 u를 같은 쪽에 있는 것이 감극성이고, U와 u를 대각선으로 한 것이 가극성이다. 또한 고압측에서 볼 때 U를 우측에 놓는 것이 표준이며, 우리회사에서는 감극성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2. 삼상변압기 단자기호
삼상변압기의 단자기호는 고압권선을 U(H 1 ), V(H 2 ), W(H 3 )라 하고, 저압권선을 u(X 1 ), v(X 2 ), w(X 3 )라 하며, 3차권선이 있는 경우 a(Y 1 ), b(Y 2 ), c(Y 3 )로 하고, 상의 배치는 시계방향으로 고압권선이 U→ V→ W이면 저압권선은  u→ v→ w라 하며, 3차권선이 있는 경우 a→ b → c의 순서가 되게 한다.
중성점 단자가 외함 밖으로 인출된 경우 그 기호는 고압 측, 저압측, 3차권선을 각각 O(H 0 ), o(X 0 ), n(Y 0 )으로 한다. 단자 배치는 각각의 단자측에서 볼 때 U는 우측, u와 a는 좌측에 오게 한다.


3. 각변위(角變位, Angular displacememt)
고압권선의 유기전압과 저압권선의 유기전압간에는 결선에 의하여 위상각차가 발생한다.
각변위란 각 전압벡터선도에서 각각의 중성점과 동일기호의 선단을 각각 연결한 두 직선 사이의 각도를 말한다. 즉 U와 u (또는 a)사이의 전압벡터의 각도차를 말한다.

△결선에서 중성점은 각상 유기전압으로 만들어진 삼각 형의 중심이다.
유기전압 벡터도를 그릴 때 전압벡터의 회전방향은 반시계 방향으로 하며 벡터의 크기는 실효치로 한다.
각변위의 영문 표기는 다음과 같이 한다. Y결선에서 고압측은 영문 대문자 Y로 표기하고, 저압측과 3차측은 영문 소문자 y로 표기하며, △결선에서 고압측은 영문 대문자 D로 표기하고, 저압측과 3차측은 영문 소문자 d로 표기하며, 중성점을 사용하면 고압측은 영문 대문자 N, 저압측과 3차측은 영문 소문자 n으로 표기하고, 중성점을 사용치 아니하면 표기하지 않는다. 단권변압기는 중성점 표기 N 다음에 a 또는 auto를 표기한다.
또, 권선간의 각변위차는 항상 고압측이 기준이 되어 고압측에 대한 저압측과 3차측의 지상각 30°를 1로 환산하여 2차중성점 영문표기 뒤에 표기한다.
우리 표준규격에서는 삼상변압기의 고압단자와 저압단 자간의 각변위가 Y-Y결선과 △-△결선에서는 0°, Y-△ 결선과 △-Y결선에서는 저압측이 고압측보다 30°지상이 어야 한다.


4. △-△ 결선(삼각-삼각결선)
이 결선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1상의 권선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출력은 감소하나 V 결선으로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결선 정격용 량의 57%의 출력을 송전할 수 있다.
2) ․제3고조파 여자전류는 각상이 동위상이 되어 △결선내를 순환하게 되며, 여자전류중에 제3고조파가 포함되므로 자속은 정현파가 되고 1차, 2차 유기전 압도 정현파가 되어 선로에 제3고조파 전압이 나타나지 않는다.
3) 비교적 대전류, 저전압인 경우 Y결선보다 경제적이다.


반면에 단점은 다음과 같다.
1) 중성점을 인출할 수 없어 이상전압 발생의 정도가 심하고, 특히 아크지락에 의한 이상전압은 Y결선에 비해 매우 크며, 중성점이 필요시 별도의 접지변압기가 필요하다.
2) 각상의 권수비에 차이가 있으면 2차측 △결선 내부에 1차 전압이 가해져 1차 및 2차 권선내에 순환전류가 발생한다. 이 순환전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주 작은 내부 임피던스뿐이므로 때로는 상당량의 순환전류가 되어 동손을 증대시키고 변압기를 가열시킨다. 권수비의 차이가 0.25%이내는 무관하다.
3) 단상변압기의 각상 내부에 임피던스차가 있으면 부하가 삼상평형이더라도 변압기 각상의 부하는 불평형이 된다.
4) 부하시 탭 조정 변압기에서는 Y결선과 같이 중성점 탭 방식을 채용할 수 없어 각상별로 탭 체인저를 구
비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다.
5) 같은 선간전압에 대하여 Y결선보다 상전압이 낮아 권수가 많아지므로 전압이 높아 층간 절연이 큰 경우 에는 도체의 점적율이 나빠진다.
※ 점적율 : 도체의 점유면적[(도체 평균외경)2×π/4]에 대한 실도체 단면적(공칭단면적)의 비로서 가능 한한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선은 일반적으로 70kV 이하의 무전압탭 변압기에 이용된다.


5. Y-Y 결선(성형-성형결선)
이 결선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1차, 2차 권선에서 중성점을 인출하여 피뢰기를 접속할 수 있으므로 단절연방식을 채택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2) 1상의 권수가 △결선의 1/√ 3 이므로 고전압 권선에 적합하다.
3) 부하시 탭 조정을 할 경우 중성점 탭 방식을 택할수 있으므로 변압기를 소형화 할 수 있다.


Y-Y 결선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1) 1차, 2차측 모두 중성점을 접지하지 않은 경우 각상 여자전류중의 제3고조파분은 동상이 되어 각상 권선에는 제3고조파를 포함한 첨두 파형의 전압이 유기되므로 각상 유기전압의 파고치는 상규 유기전압 파고치에 비하여 현저하게 커지므로 층 간 절연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며, 중성점의 전압은 영이 아니고 대지에 대하여 3배 주파수의 진동전위를 갖게 된다. 만약 발전기와 변압기 1차측을 접지하면 제3고조파 여자전류가 대지를 통해서 흐르므로 기전력은 정현파가 되지만 발전기 권선에 제3고조파 전류가 흘러서 발전기 권선을 가열시킨 다. 또한, 변압기 2차측의 중성점이 접지되어 있다면 선로와 대지간에 제3고조파 전압이 걸리고 선로와 대지 사이의 정전용량에 의하여 제3고조파 충전전류가 흘러 부근의 통신선에 유도장해를 준다.
2) 중성접 비접지한 경우 중성점 불안정으로 단상부하를 공급하지 못한다.


6. Y-Y-△ 결선
Y-Y결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차측에 △결선을 설치하여 Y-Y 결선의 단점을 해소한다.
이 결선은 Y-Y결선의 장점에 △-△결선의 장점을 이용한 것으로서 삼상결선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결선이며, 주로 송배전에 적용된다.
장점으로 다음과 같은 점들을 들 수 있다.

1) ․제3고조파의 통로로 3차 권선의 △결선이 이용되어 제3고조파에 의한 통신선에 유도장해를 일으키지 않는 다.
2) 중성점을 필요한 경우에 접지하여 사용함으로서 중성점 전위의 이동이 없다.
3) 중성점을 접지하여 단절연을 채택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4) 중성점 탭 방식을 채택하므로 변압기의 중량과 크기를 줄일 수 있다.
3차측의 △결선을 외부로 인출하여 소내전원과 조상설 비에 접속하는 경우는 345kV 변압기와 같은 송전용 변압 기에 적용되며, 154kV 변압기는 3차측의 단자를 외부로 인출하여 폐회로를 이루어 외함에 접지하거나, 또는 내부 에서 폐회로를 이루어 외함에 접지하는 안정권선으로 이용한다. 안정권선의 용량은 주권선용량의 1/3 정도이다.


7. △-Y결선과 Y-△ 결선
가. △-Y결선이 결선은 △결선의 장점에 Y결선의 장점을 채용한 결선으로서, 주로 발전소의 승압변압기로서 이용되고, 국내의 일부 재경지역의 옥내변전소와 내륙에서 배전용 변압 기로 이용되나, 점차적으로 Y-Y-△결선으로 바뀌고 있다.


나. Y-△결선
△-Y결선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강압변압기의 결선으로 이용되나, 국내에서는 154kV/66kV 와 같이 극히 소수만 이용되고 있다.


8. Y-△-Y 결선
Y결선과 △결선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154kV/66kV /23kV와 같이 극히 한정된 곳에만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66kV 계통이 점차 감소함으로서 사용되지 않을 전망이다.


9. V 결선
V결선은 단상변압기 3대를 △-△결선하여 운전 중 1상의 고장으로 인하여 남은 2대의 변압기로 응급운전을 하는 경우와, 공급하는 부하가 경부하이나 장래 부하증가가 예상될 때 처음에는 2대로 운전하고 후에 1대를 추가하여 △결선으로 변경하는 경우에 채용된다.

△-△결선과 달리 선로전류가 그대로 권선에 흐르므로 2차 출력은 △-△결선의 57.7%로 저하하고 부하역률이 1 일 때는 정격용량의 86.6%만 이용된다.
그밖에 전류가 2상 이외에는 흐르지 않기 때문에 부하가 평형을 이루더라도 각상의 전압변동률이 다르기 때문에 변압기가 없는 상의 전압강하가 크며 2차 삼상전압이 불평형이 되는 결점이 있다. 우리 공사 송변전계통의 전력 공급에 V결선을 채택하지 않으며, 22.9kV-Y 다중접지 배전선로의 P.Tr결선에 사용되고 있다.


10. 안정권선 (Stabilizing winding)
변압기의 1, 2차 결선이 Y-Y결선일 경우 철심의 비선형 특성으로 인하여 기수고조파를 포함한 왜형의 전압,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고조파분은 인접 통신선에 전자유도 장해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2차측 중성점을 접지할 경우 직렬공진에 의한 이상전압 및 제3고조파의 영상전압에 따른 중성점의 전위 이동과 같은 현상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현상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결선의 3차권선을 설치하여 고조파중 가장 큰 제3고조파의 전압, 전류를 억제하고 영상임피던스를 작게 한다. 이러한 목적의 권선을 안정권 선이라 부른다.
안정권선은 단자를 변압기 외부에 인출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2 또는 4개의 단자를 인출하여 접지하는 경우도 있다. 안정권선의 용량은 주권선 용량의 1/3로 한다.


11. 탭권선 (Tap winding)
권선 내의 유효한 권선 턴수가 단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권선으로 변압기의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 필요하고,
이 권선의 리드가 전압조정기(탭 체인저)의 탭 선택단자에 연결된다.


12.  단권변압기 권선

1) 직렬권선(Series winding)
단권변압기나 부하시 전압조정변압기에서 선로에 직결 되며 하나의 전압단자에만 이용되는 권선이다.
2) 분로권선(Common winding, 병렬권선)
단권변압기에서 1차, 2차 계통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권선이다.


13. 2권선변압기
고압(1차) 권선과 저압(2차) 권선만 설치하여 제작된 변압기이다. 단, 3차 △결선의 안정권선이 설치된 변압기는 2권선변압기로 분류한다.


14. 다권선변압기
3회로 이상의 전압을 이용하여 부하를 공급하기 위해 3 개 이상의 권선이 설치된 변압기이다.


15. 단권변압기 (Autotransformer)
단권변압기는 한 권선의 중간에서 탭을 만들어 사용하는 변압기로서, 1차와 2차의 전기회로가 서로 절연되지 않고, 권선의 일부를 공통회로로 사용하며, 변압비가 1의 근처에서 극히 경제적이고, 특성도 좋다.
단권변압기에서 권선 bc를 직렬권선, 권선 ab를 분로권 선이라 부른다.

단권변압기는 일반 변압기에 비해 임피던스전압강하와 전압변동률이 작고, 동량도 적게 들며 동손이 감소한다. 반면에 1차측의 전기적 이상이 바로 2차측에 영향을 미치며, 단락전류가 커서 기계적인 강도가 커야 하는 단점도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연재료  (0) 2017.11.30
권선의 종류  (0) 2017.11.30
철심 (鐵心, Core)  (0) 2017.11.29
용도별 변압기 구분  (0) 2017.11.29
변압기 계측장치  (0) 2017.11.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