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조치 미숙
□ 발생일시:1995.6.18(일) 21:15분
□ 발생장소:과천선 00→00 교직사구간
□ 관계열차:제4731열차(ADV455)
□ 개 요
00발 00행 제4731열차 00을 정시발차(21:15)하여 00역으로 운행중 전차선 사구간을 통과하면서
순간적인 비상제동 작동으로 정지되었을 때, 기관사가 비상판타하강스위치(E.PanDS)를 취급
한 뒤 이에 대한 응급처치를 하지 못하고 후속열차로 구원받아 연결하였으나, 전차선 사구간에
서 다시 합병열차 운전취급미숙으로 열차운행이 지연됨
□ 사고원인
◦제동체결상태 오인
전동차에 순간적인 비상제동이 걸려 정지되고 정차하여 자동으로 정차제동이 체결된 것
을 비상제동이 풀리지 않은 것으로 착각․오인함
◦비상판타하강 스위치 취급후 복구조치 미숙
◦열차합병 운전취급 미숙
∙ 합병 연결후 제동풀기 조작 미숙
-전위운전실 구원스위치(ES) 오조작(바른취급은 후위사용)
∙ 제동통차단콕크(BC)오조작(공급공기통(SR) 차단콕크오인)
◦ 전차선 사구간 운전 및 선로상태 숙지 미흡
∙구원열차 합병후 내림기울기 지점인 사구간을 이동하지 못함
◦구원열차 기관사 운전취급 미숙
∙전차선 사구간을 운전취급미숙으로 구원, 합병열차 운전중 후진
∙합병 열차후 되돌이 운전시 운전실을 바꾸어서 운전을 하여야 함에도 이를 이행하지
않음
∙열차자동제어장치 개방 오취급
(ATCCOS가 아닌 ATSCOS취급)
◦ 판타그라프 비상하강스위치(E.PanDS) 구조 문제
∙E.PanDS 이완 구조
∙사용에 불합리한 구조(스위치 보호 캡이 밀착되어 있어 손에 잡히지 않음)
□ 대 책
◦출고점검시 각종기기(E.PanDS 등) 기능시험 철저
◦구원열차 연결법, 사구간내 차량고장시 조치법등 교육철저
◦안내방송 철저
◦운전사령에 정확한 상황통보 및 승무원간 업무협의 철저
보안제동 체결
□ 발생일시:1996.10.10(목) 07:47분
□ 발생장소:일산선 00~00역간
□ 관계열차:제3081열차(GEC337)
□ 개 요
제3081열차 00역을 정시발차(07:45) 약 80Km/h로 운행중 제한속도 60Km/h를 지키기 위해
제동4Step을 취급후 열차지연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각표 등을 점등하다가 보안제동스위
치에 손이 닿아 보안제동이 작동한 것을 다른 원인에 의해 제동이 체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응급조치를 하였으나, 불가하여 운전사령에 구원요청(08:07) 후 전차량의 공기코크를 수동
으로 개방하고 구원준비를 하던 중 보안제동이 걸렸음을 뒤 늦게 발견 보안제동을 복귀(공
기코크 원위치 포함)후 현장을 출발하여 정상운행 함.
□ 사고원인:보안제동 체결상태 확인조치 미숙
□ 문 제 점:승무원 기기 오취급(3081호 보안제동스위치 동작)
□ 대 책
◦기본적인 차량 조치법 숙지철저
◦각 제동작용 종류별 상태숙지(보안제동, 상용제동, 비상제동)
◦비상제동 표시등(BEL)에 점등되지 않고 제동이 풀리지 않을 경우 확인 및 조치사항 숙지
◦열차 운행과 직접 관련이 있거나 미룰수 없는 불가피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정차 후 기기
취급
기기 오취급
□ 발생일시:1996.12.28(토).14:35분
□ 발생장소:4호선 00역~00간. 교직사구간
□ 관계열차:제4437열차(ADV467)
□ 개 요
00행 4437열차 00~00간 교직사구간 진입시 교직전환스위치(ADS)취급한다는 것이 신호보안절
환스위치(ATC/ATS) 취급하여 사구간에 비상정차후 ADS를 절환하지 않은 채 교류구간에 진입
하여 직류피뢰기(DCArr) 및 주회로차단기(MCB)투입불능으로 견인력 상실
□ 사고원인 : 기기취급 부적정
◦교직절환스위치(ADS)를 취급하지 않고 신호보안절환스위치(ATC/ATS) 기기취급
□ 문 제 점
◦TGIS 확인소홀
◦교-직사구간 통과시 기기 오취급
◦구원연결 조치 미흡(12심 전기연결선 연결 및 ES취급)
□ 대 책
◦ 교직류 사구간 통과시 기기 작동상태 확인철저
(00 - 00간 사구간 전방 약 90M지점에 사구간 검지용 지상자 설치)
◦ 사구간 통과중 이례사태 발생시 취급요령 숙지 철저
∙MCB차단불능시 조치요령
∙MCB순차투입 불능시 조치요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