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래킷의 종류와 특성
1. 서론
커티너리 가선 방식에서 전차선과 조가선을 지지하기 위하여 전주 또는 하수강에 설치한 외팔보를 브래킷이라 한다. 이들은 사용 목적과 구조에 따라 고정 브래킷, 가동 브래킷 등으로 구별한다.
2. 고정 브래킷
1) 개요
일반적으로 등변 ㄱ형강으로 외팔보를 만들어 사용하며, 지지물에 고정되어 있어 고정 브래킷이라 한다.
2) 구성도
3. 가동 브래킷
1) 개요
가동 브래킷은 브래킷 본체와 전주의 접합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자유로이 좌우로 회전하며, 조가선과 전차선이 온도 변화에 의해 신축함으로써 발생하는 전선의 이동에 따라 동시에 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은 장간 애자에 의해 전주와 절연되어 있다.
2) 가동 브래킷의 종류
가동 브래킷의 종류는 I형, O형, F형으로 분류하여 각 전주의 선로 조건에 따라 현장에서 제작하여 설치하는 방식과, 표준화하여 공장에서 제작하여 설치하는 방식이 있다.
① I형(In type)
곡선로에서 선로의 외측에 지지물을 설치하고 가동 브래킷의 곡선 당김 금구를 지지물 측에 설치하는 방법을 I형이라 한다.
② O형(Out type)
곡선로에서 선로의 내측에 지지물을 설치하고 가동 브래킷의 곡선 당김 금 구를 지지물의 반대측에 설치하는 방법을 O형이라 한다.
③ F형(Fault type)
에어섹션, 에어조인트 등 전차선의 평행 개소에서 전차선의 무효 부분에 곡선당김 금구를 사용하지 않고 곡선 당김 금구를 로드로 사용하는 방법을 F형이라 한다.
3) 가동 브래킷의 특성
① 온도 변화에 가선 구조가 흐트러지지 않으므로 고속 운전에 적합하다.
② 장력의 변동이 적다.
③ 하중에 의한 전차선의 경점을 적게 할 수 있다.
④ 조가선을 절연하지 않으므로 지지물 높이가 감소한다.
⑤ 지지점에서 풍압에 의한 편위의 변화가 적게 된다.
⑥ 가선이 경량화 된다.
⑦ 활선 작업시 안전도가 높다.
⑧ 장간 애자를 설치하므로 보호 설비 배선이 용이하다.
⑨ 허용 편위를 초과하면 전차선으로부터 팬터그래프의 이탈이 우려된다.
⑩ 가동 브래킷은 단주를 사용하므로 기초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⑪ 복잡한 역 구내에서는 사용 곤란하다.
4. 결론
커티너리 가선 방식에 사용되는 브래킷은 선로 조건 및 가선 구조에 의해 사용이 구분되며, 고정 브래킷은 저속용의 차량 기지 및 측선 등에 사용하고, 본 선로의 고속용으로 가동 브래킷을 사용한다.
직 선 구간에서는 I형, O형을 지그재그로 설치하며 곡선 구간에서는 전주 위치에 따라 I형이나 O형을 연속적으로 설치한다. 장간 애자는 자기제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고분자 계열의 애자가 사용되고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기 및 방전기(GP)의 동작원리 (0) | 2017.04.13 |
---|---|
보호선과 레일을 연결하는 임피던스 본드 (0) | 2017.04.13 |
섹션오버(section over) 보호장치 (0) | 2017.04.13 |
애자 섬락 보호 방식의 종류 및 특성 (0) | 2017.04.12 |
고속철도의 평행 건널선 장치와 기존 건널선(교차금구)장치를 비교 (0) | 2017.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