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기 및 방전기(GP)의 동작원리
1. 개요
교류 전차 선로용 보안기는 교류구간이 역구내 등에서 가공지선을 설치하는 경우에 가공지선과 부급전선과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다. 보안기는 역구내 등에 섬락보호선을 시설할 때 섬락보호지선과 부 급전선간에 설치하는 것으로 그 구조는 일정한 방전간극이 있으나 피뢰기와는 달리 특성요소가 없다.
2. 보안기
가. 동작원리
애자 섬락사고 등에 의하여 부급전선에 이상전압이 발생하여 어느 값 이상의 전압이 보안기에 가해진 경우 방전 간극이 동작하여 그 에너지를 가공전선을 통하여 대지로 방전시킨다.
나. 기능구조
1) 전극, 애자, 단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 전극의 방전간극은 쉽게 조정할 수 있고 조정 후에는 볼트 조임으로 쉽게 이완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3) 전극은 일정한 방전간극을 갖도록 조정하여 사용되나 피뢰기와는 달리 속류 차단 능력은 없다.
[그림 1]보안기 상세도
다. 보안기의 설치
1) 보안기는 대부분 전주에 설치되어 있다.
2) 동작이 불확실하면 사람에 위험을 미치게 되므로 1개소에 2개 병렬로 설치한다.
3) 지표상 3.5[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한다.
4) 배선용 리드선은 38[㎟] 이상의 경동연선 또는 이것과 동등 이상의 성질을 가진 전선을 사용한다.
라. 보안기 시설규정(제141조)
보안기는 다음 각 호에 각선별(급전방면별)로 시설한다.
1) BT 구간 정거장 구내 홈 양쪽 흡상선이 설치된 가장 가까운 장소에 보안기를 설치하여 부급전선에 접속하고, 섬락보호지선을 통하여 대지와 접속한다.
2) BT 구간 정거장간에는 흡상변압기에 보안기를 설치하여 부급전선과 연결하고 1종 접지로 대지와 접속한다.
3) AT 구간 정거장 구내 보호선용 접속선이 설치된 가장 가까운 장소에 보안기를 설치하여 보호선에 접속하고, 1종 접지로 대지와 접속한다.
4) AT 구간 정거장간에 설치된 보호선용 접속선으로부터 1[Km]마다 보안기를 설치하여 보호선에 접속하고, 1종 접지로 대지와 접속한다.
5) 설치 높이는 지표상 3.5[m] 이상으로 하고 보안점검이 용이한 위치에 시설한다.
6) 약 1[Km]마다 구분 접지한 섬락보호지선의 대략 중앙점에 시설한다.
7) 보안기와 전차선로의 가압부분, 고․저압 가공전선 및 통신선 등 병가전선과의 이격거리는 0.6[m] 이상 이격한다
3. 방전기(GP)
가. 동작원리
전기철도의 전력회로에 지락사고 발생 시 지락점 전위상승의 억제, 레일 전위상승의 억제 및 사고 전류의 금속체 회로 구성을 목적으로 다음의 그림과 같이 동작 원리도를 나타낸다.
[그림 2] 방전기(GP)보안기 상세도
나. 기능
피뢰기와 같은 속류 차단기능은 없으며 방전 전압도 실효값으로 표시된다.
다. 서지전압이 빈번히 방전하는 경우 C 또는 CR 서지 흡수장치를 방전 갭과 병렬로 접속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류전기철도방식(DC 1500V) 에서의 절연협조 (0) | 2017.04.14 |
---|---|
급전선의 분기장치 (0) | 2017.04.14 |
보호선과 레일을 연결하는 임피던스 본드 (1) | 2017.04.13 |
브래킷의 종류와 특성 (0) | 2017.04.13 |
섹션오버(section over) 보호장치 (0) | 2017.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