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전선의 분기장치
1. 개요
급전선으로부터 전기를 전차선에 공급하기 위하여 접속하는 전선을 급전 분기선이라 한다. 급전 분기선을 시설하기위한 장치를 급전분기장치라 하며 급전 분기장치는 암식, 스팬선 식 및 브래킷식이 있다.
2. 종류
가. 암식 급전분기장치
직류구간 빔 개소에 설비되고 250[mm] 현수 애자를 사용한다.
나. 스팬선식 급전분기장치
교류구간 빔 개소에 설비되고 급전 분기선이 밸런서에 의한 스팬선의 신축에 적응하도록 취부하여야 한다.
다. 브래킷식 급전분기장치
주로 단독주에 설비되며, 가동브래킷의 회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급전 분기선 설치개소
직류구간에서는 전차선 전류 용량 부족에 의한 온도상승을 최고허용온도 90[℃]이하로 억제하도록 하기 위하여 분기선을 설치한다. 교류에서는 에어 섹션개소 및 급전 말단개소에 설치한다
4. 급전 분기선 간격계산 및 접속
가. 직류구간의 급전분기 간격
구배 곡선등 선로의 상태, 전기차 성능 그 선로구간의 표정 견인 톤수 및 열차 속도등 모든 조건을 고려하여 안전하게 집전이 가능한 전류값과 전차선 온도상승값을 고려하여 분기 간격을 결정한다.
나. 급전 분기 간격의 계산
열차 평균 속도 V[km/h]일때의 급전 분기 가경을 구하는 공식
D=V/3,600×t0 ---------------------(1) 식
급전 분기선의 굵기는 전류 용량과 기계적 강도를 고려하여 전차선 허용 전류값(조가선 CdCu 70, 전차선 Cu 110[mm2]일때 555[A])이상의 경동연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표 1 경동연선의 전류용량
선종 | 전류용량 | 선종 | 전류 용량 |
80[mm2] | 360[A] | 200[mm2] | 650[A] |
125[mm2] | 450[A] | 250[mm2] | 760[A] |
다. 급전 분기선의 접속
1) 급전 분기선에 인장력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2) 가고가 낮은 터널내에서는 가선의 이동을 고려한다.
3) 알루미늄과 동선을 부득하게 연결 할 경우 동선이 아래로 가게 하여야 한다. 이유는 동선에서 흘러내리는 부식 생성물이 알루미늄 연선을 부식시키기 때문이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전선의 설치 목적과 특성 (0) | 2017.04.14 |
---|---|
직류전기철도방식(DC 1500V) 에서의 절연협조 (0) | 2017.04.14 |
보안기 및 방전기(GP)의 동작원리 (0) | 2017.04.13 |
보호선과 레일을 연결하는 임피던스 본드 (0) | 2017.04.13 |
브래킷의 종류와 특성 (0) | 2017.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