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선과 레일을 연결하는 임피던스 본드


1. 서론
보호선과 레일의 연결은 보호선용 접속선으로 임피던스 본드의 중성점에 연결되며,  레일은 신호 설비의 궤도 회로와 전차선의 귀선 전류를 공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2. 궤조 방식
1) 편궤조 방식
편궤조 방식은 1선의 레일을 신호 회로로 이용하고, 다른 1선의 레일은 전차선의 귀선 전류를 변전소로 귀환하는 회로로 이용된다.

2) 복궤조 방식
복궤조 방식에서는 양측 레일을 임피던스 본드를 이용하여 신호 전류와 전차선의 귀선 전류가 동시에 흐르도록 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보호선용 접속선을 임피던스 본드의 중성점에 접속하고 있다.


3. 임피던스 본드 회로


전철 구간에서는 전차선의 귀선 전류와 신호 전류가 동일 궤도를 공용한 전기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 전류는 1개 구간의 궤도 회로에만 흐른다.

전차선 귀선 전류는 변전소까지 연속적으로 회로가 구성 되어야 한다.

신호 전류는 차단시키고 귀선 전류는 흐르게 하는 임피던스 본드를 복궤조 궤도 회로의 경계점에 설치한다.

 

4. 임피던스 본드의 구조 및 원리



위의 그림과 같이 전차선 전류는 변전소까지 회로가 구성되어 있고, 신호 전류는 1개의 궤도 회로 내에만 전류가 흐른다.

전차 전류는 코일의 반반씩 반대 방향으로 흐르므로 철심은 자화하지 않는다.

신호 전류는 코일이 감겨진 방향으로만 흐르므로 임피던스의 저하를 가져온다.

임피던스 본드는 신호 전류에 대하여 영전위의 중성점을 상호 접속하여 인접 궤도 회로로부터 서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임피던스 본드의 중성점과 보호선을 접속하여 귀선 전류를 보호선으로 흐르게 한다.


5. 결론

레일은 전기차의 귀선 전류와 신호 전류를 함께 사용하지만 복궤조 방식에서 임피던스 본드를 설치하여 전차 전류는 변전소까지 흐르게 하고, 신호 전류는 1구간의 궤도 회로에만 흐르게 함으로써 양쪽 레일을 전차 전류와 신호 전류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설비로, 임피던스 본드 중성점을 흡상선 또는 보호선용 접속

선으로 부급전선 및 보호선에 연결하여 귀선 전류를 변전소로 귀환 시킨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