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동폐색구간


(도중 분기 선로전환기의 설치)

연동폐색구간의 도중분기 선로전환기 설치는 다음에 의하여야 한다.

1. 전기선로전환기로서 연동폐색장치와 상호 연동하여 설치된 도중분기가 정위상태가 아니면 폐색취급을 할 수 없어야 한다.

2. 연동폐색장치의 조작판에는 도중분기 선로전환기전환 취급버튼(레버 포함) 및 도중분기 선로전환기 방향표시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3. 도중분기 선로전환기에는 출발신호를 설치하고 연동폐색장치 및 도중분기 선로전환기와 상호 연동하여야 한다.

4. 도중분기 선로전환기에는 선로전환기표지(야광도료) 및 입환협의용 전화기(토크백 포함)를 설치하여야 한다.

5. 도중분기 측선에는 반전식 차륜막이를 설치하고 본선으로 차량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도중분기 선로전환기의 관리)

연동폐색구간의 도중 분기선로전환기 관리는 다음 각 호에 의하여야 한다.

1.도중분기 선로전환기 및 전화기 함은 잠금장치로 잠그고 선로전환기의 텅레일을 키볼트로 잠궈야 한다. 다만, 1일 평균 1회 이상 사용하며 원격제어가 가능한 분기로서 시설관리사무소장이 안전상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텅레일을 잠그지 않을 수 있다.

2. 관리역장의 책임으로 기능 및 사용상의 지장유무를 확인 점검하고 취급지정자 (이하 입환취급담당직원이라 한다)로 이를 취급한다.

3. 도중분기에 부속된 잠금장치는 관리역장이 관리하고 입환취급시 입환취급담당직원에게 해정 열쇠를 교부한다.

연동폐색구간의 도중분기 선로전환기 설치구간 및 관리역은 열차운전시행세칙에 따로 정한다.


(열차 또는 차량 진출입시 취급)

관리역과 도중분기 상호간에 열차 또는 차량을 취급할 경우의 취급은 다음의 각 호에 의하여야 한다.

1. 관리역장의 취급

. 입환계획 수립. , 차량입환 제한속도를 받지 않음

. 관제사승인

. 인접역장과 폐색 취급후 출발신호 현시

. 운전명령고지서 발행

. 입환취급담당직원에게 해정열쇠 교부

. 인접역장과 협의 후 열차폐색구간에 있음표찰 게출 (조작판상)

. 열차가 도중분기 측선에 완전히 진입하였음을 확인 후 본선으로 개통 필요시 폐색비상취소 취급

 

2. 열차가 관리역으로 돌아올 경우 관리역장의 취급

. 폐색취급은 상용폐색방식

. 인접역장과 열차운전협의(폐색취급)후 도중분기 출발신호 현시

. 개통취급은 폐색 비상취소취급

. 본선 지장입환 엄금

. 장내 수신호 취급 엄금

 

3. 인접역장의 취급

. 폐색취급 상용폐색방식

. 관리역으로 귀착 협의시 관제사에 확인

. 폐색비상취소 취급 협조

. 도중분기 전환협의 후 본선지장입환 엄금(개통취급 후 가능)

. 도중분기 전환협의 후 열차 폐색구간에 있음표찰 게출 (조작판상)

 

4. 입환취급담당직원의 취급

. 조작판 취급자와 입환협의 및 관리역장과 열차운전협의

. 열차 입환 주체 및 차장 없을 시 출발전호 현시

. 차장 및 기관사와 입환협의

. 선로전환기 취급 전 조작판 취급자에게 승인요구

. 선로전환기 취급 후 조작판 취급자에 선로전환기 상태 확인 및 입환승인 요구

. 선로전환기 취급 후 텅레일 밀착 및 잠금상태 확인

. 입환종료시 반전식 바퀴구름막이 및 잠금장치 확인

. 열차 도중분기 진입 후 본선지장 불가

. 열차 본선 진입전 도중분기 출발진행신호 확인

 

5. 조작판 취급자의 조치 (역장책임)

. 입환취급담당직원과 입환 협의

. 선로전환기 전환시마다 방향표시등 확인 후 전환 및 입환승인 또는 전환승인

. 도중분기 출발신호 진행현시 전 양끝역간 폐색상태 확인

 

6. 차장 및 기관사의 취급

. 입환취급담당직원과 입환협의

. 운전명령사항 내용확인

. 열차입환 보조 (차장 한)

. 반전식 바퀴구름막이 및 선로전환기 표지확인

. 입환종료 후 본선운전시 도중분기 출발진행신호 현시확인

. 본선 운전시 차량입환 제한속도를 받지 않음

 

7. 관제사의 취급

. 도중분기취급 요구 있을 시 타 열차 취급에 지장 없음을 확인 후 승인

. 열차 취급 전 양끝 역 사이에 열차 없음을 확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