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제동기 사용법
(자동제동변의 위치)
열차운전 중 자동제동변은 제동을 사용하는 경우 이외에는 항상 운전위치에 두고 제동관은 소정압력을 유지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제동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두어야 한다.
(열차의 제동취급)
①열차의 제동은 상용제동에 의하는 것으로 한다. 다만, 열차를 급히 정차시킬 필요가 있을 때 또는 단행기관차의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②제1항에 의해 정차 후 출발할 때는 먼저 제동관의 충기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정차열차의 제동상태)
정차하고있는 열차는 제동이 체결된 상태로 하여야 한다. 다만, 정차시간이 적은 여객열차는 예외로 한다.
[주] 정차시간이 적은 여객열차라 함은 정차시간 3분 이내를 말한다.
(단독제동변의 취급)
①동력차 제동장치중 단독제동변이 설치된 경우 동력차만의 제동을 사용하려 할 때는 단독제동변을 필요한 제동위치로 이동하여야 한다.
②제1항에 의하여 제동을 완해시킬 때는 단독제동변을 운전위치로 하여야 한다.
③열차의 제동취급중에 단독제동변으로 기관차만의 제동통압력을 증감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1회에 0.2Kg/㎠이내로 하여야 한다. 다만, 정차직전에는 이를 피하여야 한다.
[주] 정차직전은 정차위치 약 1m앞을 말한다.
(상용제동취급)
①상용제동을 사용할 때는 속도, 견인차수, 편성의 상태, 기후 및 선로조건등을 고려하여 자동제동변 (동차의 보조공기제동변 포함)핸들을 상용제동위치로 하여 필요한 감압을 한 후 Lap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경우에 최초의 감압은 0.4Kg/㎠이상으로 하고 누계 감압량은 다음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제동주관 압력 5Kg/㎠의 경우 1.5Kg/㎠
․제동주관 압력 6Kg/㎠의 경우 1.7Kg/㎠
③전동차 및 P.P동차가 상용제동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1항 및 제2항에 불구하고 전동차는 30°- 80°, P․P 동차는 1 - 7단위치로 제동변핸들을 이동하여야 한다.
[주] 상용제동취급중 여객열차는 계단완해, 계단제동이 가능하나 화물열차는 추가제동은 가능 하나 계단완해가 불가능함
(비상제동취급)
①열차운전중 맨앞에 연결한 동력차 (보조기관차 포함)에서 비상제동을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는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취급하여야 한다.
1. 디젤전기기관차 : 자동제동변핸들을 비상제동위치로 할 것
2. 전기기관차 : 비상제동 풋쉬버튼을 누르거나 부득이한 경우 비상제동변 콕크 (8001 - 8066)를 잡아당길 것
3. 신형전기기관차 : 제동핸들을 비상위치로 잡아당기거나 비상핸들을 위로 잡아당길 것
4. 동차 : P․P동차의 경우 전공제동 사용시에는 제동변을 7단위치 또는 EMS를 누르고, 공기제동 사용시에는 ME23제동변을 비상제동위치 또는 EMS를 눌러야 하며, P․P동차 이외의 경우에는 제동핸들을 비상제동위치로 하거나 비상변을 잡아당길 것
5. 전동차 : 제동변핸들을 비상제동위치로 하거나 비상변을 잡아당길 것
②제1항의 경우 모래를 적재한 차량으로서 자동살사장치가 없는 동력차는 열차가 정지할 때까지 수동살사를 하여야 한다.
(맨앞 동력차 이외에서의 비상제동취급)
열차운전중 맨앞의 동력차 이외의 동력차(운전실이 2개 있는 경우 뒤운전실 운전포함)에서 비상제동취급을 하여야할 경우에는 다음각 호에 의하여야 한다.
1. 디젤기관차
가. 6BL형이 설치된 기관차는 중련콕크를 견인위치로 한 후 자동제동변 핸들을 비상위치로 할 것
나. “가”목 이외의 기관차는 자동제동변 핸들을 비상제동위치로 할 것
2. 전기기관차 : 비상제동 풋쉬버튼을 누르거나 부득이한 경우 비상제동변 콕크 (8001 - 66)를 잡아당길 것
3. 신형전기기관차 : 제동핸들을 비상위치로 잡아당기거나 비상핸들을 위로 잡아당길 것
4. 동차 : P․P동차는 EMS를 누르고, P․P이외의 동차는 제동변핸들 비상제동위치 또는 비상변을 잡아 당길것
5. 전동차 : 제동변핸들을 비상제동위치 또는 비상변을 잡아당길 것
(제동완해시 자동제동변의 위치)
제동을 사용한 후 완해할 때는 자동제동변핸들을 운전위치로 하고 전기기관차는 완해위치로 이동하였다가 충기완료 후 핸들을 놓아 중립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구배선구간의 제동취급)
①열차가 급구배선을 운전하게될 때는 구배선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공기압력계의 지시상태를 확인하여 제동에 잘못이 없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②열차가 장대한 하구배선 구간을 운전하는 경우 속도의 조절은 열차 및 선로의 상태에 따라 적당한 상용제동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감압을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하며 제동을 완해할 때는 충기시간을 감안하는 등 제동관의 압력유지에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③2Km이상에 걸쳐 10/1000 이상의 하구배구간을 운전할 경우 곡선반경 400m이하 또는 구배 변환지점에서는 제동기의 사용을 피하도록 고려하여 운전하여야 한다.
④동력차로서 발전제동을 사용중인 경우 필요에 따라 공기제동기를 병용할 수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차자동정지장치 (A.T.S) (0) | 2017.05.26 |
---|---|
보조기관차 및 회송기관차 (0) | 2017.05.26 |
차량의 분리․연결 (0) | 2017.05.26 |
열차무선전화 사용 기준 (0) | 2017.05.25 |
무선입환 취급 (0) | 2017.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