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스터 배선접지
□ 발생일시: 2001.11.6(화) 08:27분
□ 발생장소:2호선 00역 외선승강장
□ 관계열차:제2135열차(265편성)
□ 개 요
00역 출발열차가 00역 진입시 전,후진절환스위치전자변(RV)코일을 보호하는바리스터 연결
선이 전자변의 가동철편에 의해 피복이 벗겨져 전기누전으로 열차인통회로차단기(TCN)가
떨어져 동력운전불능으로 후속열차와 구원합병함
□ 피 해 : 열차지장 21분
□ 사고원인
RV전자변 코일을 보호하는 바리스터 연결선이 전자변의 가동철편에 의해 피복이 벗겨져
전기누전으로 열차인통회로차단기(TCN)가 떨어져 동력운전 불능
□ 문 제 점
바리스터 피복이 벗겨지고, 취부시 주변기기와 간섭
□ 대 책
◦차상하 기기(MBS, RV) 바리스터 정비철저
․월상 및 중수선 검사시 각종 배선 및 절연부 점검 철저
․바리스터 리드선 위치를 전자변 아래쪽으로 변경
․바리스터 리드선에 절연튜브를 씌워 절연 보강
◦책임자 확인 점검 강화
․담당자 점검 ⇒ 주임 확인 ⇒ 차량대리 최종 확인
◦고장사례 교육시행 철저
차단기 전원선에 나사가 끼임
□ 발생일시: 2001.12.27(목) 20:36분
□ 발생장소: 3호선 00역 (상선)
□ 관계열차:제3398열차(304편성)
□ 개 요
열차가 00역 상선진입시 보조회로전원등(ASF등)이 점등되며 객실등이 소등되고 출입문 취
급이 안되어 확인결과 3704호 축전지회로차단기(BATN2)가 차단되어 복귀하였으나 복귀
불능으로 후속열차와 합병후 지축차량기지로 입고 조치
□ 피 해 :열차지연 29분
□ 사고원인
직류전조등차단기(HLN1) 전원선 단자와 차단기 취부볼트 사이에 나사가 끼여 접지되면
서 축전지회로차단기(BatN2)가 차단되어 직류전원 공급불능
□ 대 책
◦전동차 정비철저
․각종 주요기기 분해, 조립시 취부볼트, 너트, 탈락 유무 확인철저
◦효율적인 응급처치로 본선 장애 최소화
․승객 하차 후 자력운행 가능
견인전자 제어장치 동작
□ 발생일시:2002.3.8(금) 06:31분
□ 발생장소:4호선 00역 (상선)
□ 관계열차:제4006열차 415편성
□ 개 요
00역발 00행 열차가 00역 진입시 제동감소현상으로 정차위치를 94m 초과정차 하여 사령
통보후 되돌이 운전하여 승객 승차조치하고 동력운전 시도하였으나 불가하여 차장실로
이동하여 밀기운전으로 운행중(1/5출력) 오름기울기(29/1000)에서 출력부족으로 사령에 상
황 통보후 후속열차와 구원 합병하여 00역 인상선에 유치하고 기동검수원이 전자장치회로
제어차단기(CEN) on, OFF조치하니 정상 복귀되어 창동기지로 입고함.
□ 피 해 :제S4008열차 14분 지연
□ 사고원인
◦각 차량별 미끄럼 발생으로 감속도 신호가 설정치 이상 초과하여 전자장치로 입력되어
제동공기(BC)가 배출되며 열차가 밀리면서 정차된 것으로 추정
◦각 차량별 시차를 두고 심한 미끄럼에 따른 속도조사결함(Speed Probe Fault)발생되며 견
인전자제어장치(PE)동작 후 자동복귀 안되어 출력부족발생(1/5출력)추정
◦제동시 운행선로 이상조건에 따른 미끄럼 발생
□ 문 제 점
◦각 차량별 미끄럼발생으로 축간 설정치 이상 신호가 전자장치로 입력된 후 제동공기(BC)가
배출되어정상제동력부족 현상발생 추정
◦각 차량 미끄럼에 따른 속도조사결함(Speed Probe Fault)발생되어 4개차량 견인전자제어장치
자동복귀 안되어 출력부족 발생 추정
□ 대 책
◦미끄럼 발생에 따른 제동공기(BC)배출후 정상 제동력 미확보 원인규명 및 정상기능 대책
검토
◦속도조사결함(SpeedProbeFault)발생으로견인전자제어장치 자동복구 안될 시 정상복구기
능 검토
계전기 바리스터 접지
□ 발생일시:2002.5.27(월) 12:52분
□ 발생장소:2호선00역 외선 승강장
□ 관계열차:제2247열차(265편성)
□ 개 요
열차가 00역 출발시 열차인통선회로차단기(TCN)가 차단되며 비상제동이 풀리지 않아 기관
사가 앞, 뒤 운전실에서 응급조치를 하였으나 복귀불능으로 후속열차와 구원후 차량하부에
있는 제동공기콕크를 개방시키고 군자차량기지로 입고함
□ 피 해 :제2247열차 00역 20분 지연
□ 사고원인 :바리스터 배선과 전자변간 간섭으로 배선이 훼손
□ 문 제 점
◦전동차 검사시 각종 배선상태 정밀 확인소홀
◦바리스터 리드선 차체와 접지
□ 대 책
◦ 단기대책(경수선 검사시 시행)
∙ MBS,LK,IK바리스터 일제점검
∙ GEC전동차 MBS,RV바리스터 보완작업
◦ 장기대책(중수선 검사시 시행)
∙ 전차량 바리스터 및 배선 일제점검
∙ 전차량 바리스터 배선 절연보강
◦ 전동차 검사 및 정비점검 철저
∙ 전선류가 차체와 접지되지 않도록 이격
∙ 바리스터 리드선 절연보강
'안전관리 > 사고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전기 코일불량 (0) | 2017.01.11 |
---|---|
주공기 압력강하 (0) | 2017.01.11 |
저주파 검지장치 동작 (0) | 2017.01.11 |
직류피뢰기 절연불량 (0) | 2017.01.11 |
직류피뢰기 파손 (0) | 2017.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