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대레일
(장대레일의 부설)
이 작업은 가스압접, 장척레일운반, 레일교환, 테르밋트용접 및 정리작업의 순으로 선로정비지침 제10장 장대레일 관계지침에 의하는 외 다음 각호에 의거 시행하여야 한다.
1. 장대레일의 현장 운반 및 임시 배열은 다음사항에 의하여야 한다.
가. 운반경로, 방법 및 사용기기 등은 미리 계획을 제출하고 감독자의 승낙을 받는다.
나. 로라에 의할 경우 방향, 높이 및 성능을 고려하여 6m정도 간격으로 배치하고 감독자의 검사를 받는다.
다. 운반경로에 건널목․교량 등 지장요인이 있을 때에 세로 또는 가로방향으로의 변화에 주의하고 굴곡은 되도록 완화시킨다.
라. 장척레일은 상하차 및 운반시 휨 또는 손상이 없도록 취급하여야 한다.
마. 장척레일 배열시 열차에 저촉되지 않도록 곧게 정치하고 배열된 레일은 교환 전까지 온도변화에 따른 축압의 증가로 장출이나 레일버릇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자유신축 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2. 장대레일을 운반기에 의한 운반은 다음에 의한다.
가. 운반기기에 의한 운반방법은 미리 계획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낙을 받는다.
나. 운반용 장비는 사전에 기능점검을 하고 예비장비의 배치계획은 감독자의 승낙을 받는다.
3. 장대레일을 화차에 의한 운반은 다음 각호에 의한다.
가. 장대레일의 화차에서 내리기 및 배치작업은 장대레일 취급 작업책임자 및 작업원을 배치하고 시공한다.
나. 시공의 범위, 시기 및 방법에 대하여 미리 계획을 제출하고 감독자의 승낙을 받는다.
다. 지상의 준비작업은 도상자갈살포에 지장이 없도록 정리 설치하고, 레일받침대는 간격 및 구레일과의 거리를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설치한다. 또한 내리기 작업에 지장되는 건널목 등의 부설물은 지시에 따라 철거 또는 방호를 하고 감독자의 검사를 받는다.
라. 차상의 준비작업은 화차에 설치한 스피커, 마이크 및 전화기의 기능 확인, 중앙차 레일체결장치의 지시에 의한 늦추기, 필요할 때 조명장치의 기능 확인 등을 시행한 후 감독자의 검사를 받는다.
마. 내리기 작업에 대하여는 감독자의 입회 및 작업 중 관계자와 밀접한 연락으로 지시된 시간 내에 완료하고, 내린 레일은 스파이크로 임시 고정하여 장출사고를 방지한다.
바. 장대레일을 내린 후 뒷작업은, 중앙차의 레일조임 체결장치 및 차상적재물 상태 점검보고, 차상미끄럼대 복귀, 지상앵커 및 레일접속구의 운반, 임시 철거한 지장물의 복구 등을 시행한다.
사. 장대레일의 현장쌓기 작업의 경우는 지시된 시간 내에 완료하고 감독자의 검사를 받는다.
아. 장대레일 취급 작업책임자 및 장대레일 쌓기 작업책임자는 경험 있는 궤도작업책임자로 배치한다.
4. 곡선부에서는 기존선로의 곡율정정 작업을 시행한 후 장척레일을 교환하여야 한다.
5. 장척레일 부설시 레일축압이 잔류하지 않도록 전장에 걸쳐 차례로 설정하고 타이패드, 절연편 및 체결크립 등이 훼손 망실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6. 장대레일구간 절연레일 설치시 절연이음매는 궤간중심선에 직각되게 부설하여야한다.
7. 장대레일 부설후 궤도정정을 시행하되 특히 구 이음매개소의 뜬침목은 충분히 다지기를 시행하고 흩어진 도상자갈은 긁어모아 표면달고다짐을 시행하여야 한다.
8. 레일교환작업은 선로정비지침 등 관계지침에 의거 시행하여야 한다.
9. 시공 후에는 시공기록을 제출하여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기설레일의 현장용접에 따른 궤도정비)
기설레일의 현장용접에 따른 궤도정비는 다음 각호에 의하여야 한다.
1. 레일용접의 착수에 앞서 레일의 유간을 조정한다.
2. 레일용접에 따라 레일체결장치를 풀고, 레일을 올릴 경우에는 시공범위, 올림량, 임시받침방법 및 입회범위 등에 대하여 미리 감독자의 지시를 받는다.
3. 도상자갈은 레일용접 후 바로 정리하고 도상어깨를 다진다.
4. 시공후 시공기록을 제출하고 감독자의 검사를 받는다.
(장대레일등의 교환)
기설레일을 장대레일 등으로 교환할 때는 다음의 각호에 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1. 시공의 범위, 시기, 계획설정온도, 사용장비 및 방법 등에 대하여는 미리 계획을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낙을 받는다. 또한 입회범위에 대하여도 미리 지시를 받는다.
2. 장대레일 등의 배열에 있어서는 궤도의 양쪽에 건축한계를 지장하지 않는 위치에 배열하되, 열차진동에 의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철선 등으로 결박하고 배열상태에 대하여는 사전에 감독자의 검사를 받는다.
3. 장대레일교환은 일반 레일교환에 준하고, 완료한 뒤 자갈을 채우고 도상어깨를 다진 후 궤도를 정비한다.
4. 시공 후에는 시공기록을 제출하고 감독자의 검사를 받는다.
(장대레일 재설정)
장대레일의 재설정은 다음 각호에 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1. 재설정 작업시 다음사항을 유의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가. 시공방법, 사용장비 및 계획설정온도 등에 대하여 미리 계획을 제출하고 감독자의 승낙을 받는다.
나. 재설정은 선로차단이 필요하므로 감독자의 입회를 받는다.
다. 레일체결장치의 풀기는 시공 시․종점에서부터 차례로 풀고 분실되지 않도록 정리한다.
라. 체결장치를 해체한 레일은 바로 올려 6m간격의 로라 또는 굴림봉을 넣어 자유신장상태로 임시 배열한다.
마. 레일온도가 지시된 설정온도의 범위 내가 되었을 때, 로라 또는 굴림봉을 레일 중앙에서 단부로 차례로 제거하고 레일을 체결한다.
바. 가열이나 냉각이 필요로 할 때에는 미리 감독자의 승낙을 받는다.
2. 레일긴장기를 이용한 장대레일 재설정은 다음에 의거 시행하여야 한다.
가. 레일긴장기의 긴장력 및 굴림봉의 배치간격은 감독자의 지시에 의한다.
나. 레일체결장치는 레일을 일단 긴장한 다음 레일긴장기로부터 차례로 양끝을 향하여 풀며 분실하지 않도록 정리한다.
다. 레일체결장치를 풀고 레일과 침목사이에 굴림봉을 넣는다.
라. 레일을 소정의 힘으로 긴장하면서 레일복부를 충격하여 충분히 신장시키고, 차례로 굴림봉을 제거하고 레일을 체결한다.
마. 레일긴장기는 감독의 지시에 의하여 철거한다.
바. 레일용접에 따른 궤도정비는 제69조에 준한다.
3. 시공 후에는 시공기록을 제출하여 감독자의 검사를 받는다.
(신축이음매)
이 작업은 침목배열, 상판설치, 이동레일, 텅레일설치, 침목계재설치, 도상자갈보충, 용접 및 정리작업의 순으로 다음 각호에 의거 시행하여야 한다.
1. 시공장소, 시기 및 방법 등에 대하여는 미리 계획을 제출하고 감독자의 승낙을 받는다.
2. 시공시에는 선로차단이 필요하므로 감독자의 입회를 받는다.
3. 편측 텅레일 신축이음매는 열차진행 방향에 대하여 배향으로 부설하여야 한다.
4. 신축이음매의 설치는 다음 방법에 의한다.
가. 신축이음매 현장부근에서 궤광을 조립하여 옆 또는 길이방향으로 밀어넣는 방법
나. 현장 궤도에 직접 침목을 삽입하고 레일을 체결하는 방법, 이 경우 신축이음매용 침목상판의 설치 및 이동레일의 접합 등 부분조립은 본 작업에 앞서 시행한다.
5. 신축이음매의 재료 및 설치는 별도로 정한 정규도에 의한다.
6. 스트로크 설정시는 당시 레일온도를 측정하여 중위온도(25℃~30℃)일 때는 텅레일 끝단을 이동레일 0점 위치에 맞추어 놓고 중위온도에서 5℃이상 차이로 설정할 때는 차이온도 1℃에 대하여 1.5mm의 비율로 정정하여야 한다.
7. 침목계재는 천공작업을 한 다음 나사스파이크를 체결하여야 한다.
8. 신축이음매 부설후 궤간 G₁,G₂,G₃를 측정하여 별도로 정한 정규도에 의한 궤간 확인은 물론 텅레일의 밀착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9. 시공 후에는 시공기록을 제출하여 감독자의 검사를 받는다.
(장대레일 부설, 교환 또는 재설정 등의 기록)
① 장대레일 등의 부설, 교환 또는 재설정 등을 시행하였을 때에는 다음 사항에 의한 기록을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 부설, 교환, 또는 재설정 등을 완료할 때마다 시공시의 기후, 기온, 설정온도 및 레일번호 등의 기록
2. 부설, 교환 또는 재설정 등이 끝난 후 1주일 이내에 체결구를 정비하고 지시된 일시에 신축이음매의 신축상태와 양쪽 끝 및 중앙지점의 복진량을 계측한 기록
② 부설, 교환, 또는 재설정 등이 끝난 다음 설정온도는 지시에 의해 표시한다.
③ 장대레일의 양단 및 중앙부에 지시하는 위치에 기준말뚝을 설치하고 소정의 위치에 기준을 표시한다.
(궤도정비)
장대레일부설 구간의 궤도정비는 일반구간에 의하는 외 다음 각호에 의하여야 한다.
1. 도상저항력을 감소시키는 작업 또는 레일체결력을 감소시키는 작업 등의 시공은 미리 감독자의 지시를 받는다.
2. 면맞춤, 도상다지기 등 도상관계 작업 후에는 지시에 의해 밸러스터콤팩터 등에 대한 도상달고다지기를 한다. 또한 교량, 하수 및 건널목 등 구조물 전후에서 도상다지기 및 도상달고다지기는 특히 주의한다.
3. 신축이음매의 활동부분 지지침목의 다짐은 성실히 실시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궤도 용접작업 (0) | 2017.05.26 |
---|---|
궤도절체 (0) | 2017.05.26 |
전기동차용 A.T.S (속도조사식) (0) | 2017.05.26 |
A.T.S의 기기 및 취급 (0) | 2017.05.26 |
A.T.S 관리 (0) | 2017.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