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상수 곱 (時常數,Time Multiplier)

배전선로 R/C에 구비되어 있는 T-C 커브곡선을 선로특성에 가장 적합하도록 사용자가 변경하는 기능으로, 기존 T-C 함수에 일정한 Multiplier(시상수)를 곱하여 기존커브를 위 아래로 수평이동 하는 구조로 하나의C 커브를 사용하면서 다른 커블를 사용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변전소 CBR/C간의 원할한 협조가 잘 되지 않는 경우 이기능을 이용하여 조정하면 협조가 가능해진다.

 

지연시간 부가 (遲延時間附加, Time Adder)

배전선로 R/C에 구비되어 있는 T-C 커브곡선을 선로특성에 가장 적합하도록 사용자가 변경하는 기능으로 T-C 커브에 일정한 시간을 더하여 원하는 커브로 변경하게 되며, 커브의 모양이 처음은 같이 진행되다가 PU값이 커질수록 일정시간씩 지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소차단시간(最小遮斷時間, Minimum Clearing Time)

선로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R/C가 선로를 차단하는데 소요되는 최소 동작시간(고장 판단시간+Trip 명령시간+차단부 동작시간+Arc 소멸시간)으로 약 45(2.7cy)이 소요된다. 따라서 T-C 특성곡선에 의해 계산된 차단시간이 45이하 이더라도 R/C는약 45이내에 동작하게 된다.

 

최소응답시간 (最小應答時間, Min Response Time)

R/CT-C 커브에 최소 동작 시간을 적용하여 R/C가 설정시간 보다 짧게 동작하는 것을 막는 것으로, 최소응답시간을 1sec로 설정한 경우 T-C특성곡선에 의한 계산시간이 1sec 미만 이더라도 R/C의 동작시간은 1sec가 된다. 주로 FUSE와의 보호협조가 어려울때 사용한다.

 

대전류 (大電流, High Current) Lockout

배전선로에 순간고장이 아닌 매우 큰 영구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R/C의 재투입으로 인한 고장의 확대 파급을 막기 위한 기능으로, 대전류 Lockout 기능이 On으로 정정된 경우 미리 설정된 대전류 Lockout 동작전류 이상의 고장전류 발생시 R/C는 다른 어떤 시퀀스보다 우선하여 대전류 Lockout 시퀀스는 동작한 후 Lockout 된다.

 

CLS 보호협조 (Closed Loop System 保護協調)

P2P 통신망

광통신망으로 CCD 상호간 Peer To Peer 통신을 한다.

 

POTT

(Permissive Overreaching Transfer Trip)

자단에서 방향비교 과전류방식에 의하여 고장전류 및 방향에 의거 픽업되고 상대단에서 TS(Trip Signal)을 수신하는 경우 차단을 시행한다.

 

Echo PT(Echo Permissive Trip)

POTT기능 중 트립제어신호를 상대단으로 부터 수령하고 트립제어신호(PT) 또는 트립잠금신호(BT)도 아닌 정상상태가 지연시간 이상 지속 될 경우 상대단에 트립제어 신호(PT)를 전송하여 차단을 시행한다.

 

DCB(Direction Comparison Blocking)

자단에서 방향비교 과전류방식에 의하여 고장전류 및 방향에 의거 픽업되고 상대단에서 BT(Blocking Trip)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차단시행

 

전류차동 모선보호 방식(87B)

외부선로 고장 및 기기정상 상태에서는 각회로별 전류의 합ÿ0이 되지만, 차단기 내부고장시에는 0이 아니고 고장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각 회로별 전류의 합이 일정수준 이상일 경우 차단을 시행한다.

 

분기선 보호(Lateral Protection)

과전류방식에 의하여 전원측 변전소(또는 CLS차단기) 및 분기선측 CLS차단기와 보호협조를 시행한다.

 

전류위상비교방식

외부고장과 기기정상상태와 기기내부 고장상태시에 전류의 위상이 다른 점을 활용하여 기기 내부고장시에만 차단을 시행한다.

 

차단실패보호(Breaker Failure Protection)

자단에서 방향비교 과전류방식에 의하여 고장전류 및 방향에 의거 픽업되어, 자단이 Trip 조건인데 자단이 Trip 안될 때 자단의 나머지 회로 Trip하고, 인접차단기에 Trip 명령을 내려 보호협조를 시행한다.

 

직접전송차단 (Direct Transfer Trip)

자단이 고장전류 픽업을 못했거나, 후비보호 대기시간 중에 상대단으로 부터 직접전송차단명령을 받아 자단을 즉시 Trip하여 보호협조를 시행한다

 

시간순차협조(Time Sequence Coordination)

시간 순차협조는 최근단 차단기가 차단에 실패할 경우 및 P2P통신망에 이상이 생길 경우 등 이상 시에 후비보호를 통하여 동작신뢰도를 보증할 수 있도록 동작시간의 차이를 두어 보호협조를 시행

 

Nzed (Next z-edition)

NzedDAS 운영 메인 소프트웨어로 계통 편집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계통 데이터 파일을 읽어 배전계통을 보여주고 정보를 조회하며 계측 및 제어 명령을 실행하고 결과를 표시하며 수행 작업에 대한 로그 작성과 현장개폐기를 감시 및 상태변경 시 알람을 발생시키며, 고장정보 수집 및 제어명령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계통편집프로그램 (系統編輯프로그램, NzedEditor)

계통편집프로그램은 DASNzed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2차원의 배전계통도 작성을 목적으로 하는 그래픽 편집프로그램이다.

 

단선도 프로그램 (單線圖 Program, AgOLD, Anygate one Line Diagram)

단선도 프로그램은 변전소 차단기로부터 선로의 말단까지 설비를 선로별로 선로의 연결관계, 배전지능화기기 투개방 상태, 고압수용가 등 선로운전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한 화면에 표현해 주는 소프트웨어로써 사용자의 별도입력 없이 기존의 데이터만으로 사용자가 알기 쉽게 단선도를 자동 생성하는 프로그램이다.

 

Off-DAS (Off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Off-DASDAS DB 자료를 추출좵활용하여 보호협조, 전압강하, 손실최적화 등 각종 기술검토를 수행하기 위한 오프라인용 배전기술 계산 프로그램이다.

 

미들웨어 (Middleware)

미들웨어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 운영체제 및 데이터베이스간 정보전달 등 연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하드웨어에 독립적으로 연결하여 주며 논리적인 연결을 가능케 하는 프로그램이다.

 

FA (Feeder Automation)

FA는 배전선로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어단말장치에서 전송된 고장정보를 활용하여 주장치에서 고장을 감지하고, 고장구간 분리 및 건전구간 송전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배전계통의 과부하감지 및 부하융통, 원상복구 기능 등이 있다.

 

호스트서버 (Hostserver)

호스트서버는 미들웨어의 응용소프트웨어로서 미들°웨어와 DAS 응용소프트웨어를 연결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암호화프로그램 (暗號化Program, AgCryptor)

암호화 프로그램은 실시간 발생되는 알람이력을 중 배전지능화 기기 투입 및 개방, 고장정보 등 주요 알람을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프로그램이다.

 

클러스터링 (Clustering)

클러스터링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여 컴퓨터 중 한 대가 고장이 났을 경우에도 시스템 운전이 중단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두 개 이상의 컴퓨터를 마치 하나의 컴퓨터처럼 서로 연결함으로써 병렬 처리, 부하 배분 및 고장대비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클러스터관리자 (Cluste 管理者)

클러스터관리자는 센터형 및 서버형 DAS에서 서버간의 시스템 소유권을 절체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AgFailOver

AgFailover은 슬림형 DAS에서 주로 사용하며 예기치 못한 어플리케이션 오류로 인해 주 서버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을 때 예비 서버로 즉시 그 임무를 넘겨주어 시스템의 기능들이 중단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원격감시하는 백업운전모드 프로그램이다.

 

DNP (Distributed Network Protocol)

DNPDNP 3.0 프로토콜 규격을 만족하는 통신 프로그램으로 전단처리장치의 DNP 디렉토리에 설치되며 빌드단위로 묶어서 각 개폐기의 통신데이터를 저장/관리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Currentlog

Currentlog는 이력관리서버 내에 설치되며 운영 중인 배전지능화 기기의 상전류를 설정된 시간마다 계측하여 DB에 저장하는 프로그램이다.

 

DSL-PRO Client

DSL-PRO ClientDAS-SCADA 연계를 위한 Client프로그램으로 HMI상에서 변전소 정보를 감시하고 변전소 CB 43RC 제어를 시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다.

 

Emulator

에뮬레이터는 PC를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하여 통신을 할 경우 PC를 호스트 컴퓨터의 단말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특정 프로그램을 수행시켜 주어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에뮬레이터라고 한다. 배전지능화용으로 는 노트북PC에 에뮬레이터 프로그램과 KeyLock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Simulator

DAS 시뮬레이터는 DAS를 오프라인에서 구현하여 배전선로 운전 및 고장복구 과정을 훈련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지며, 통신 에뮬레이터와 소프트에뮬레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 에뮬레이터

통신 에뮬레이터는 DAS의 통신 프로그램의 기능을 모의로 구현하는 프로그램이다.

소프트웨어 에뮬레이터

소프트웨어 에뮬레이터는 DAS의 감시, 제어 프로그램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Ngen (Multica)

Ngen은 배전계통도에서 사업소간 연계된 배전지능화 기기의 투입, 개방에 대한 상태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다.

 

AgWorks Server/Client

AgWorks Server는 주장치 또는 시스템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간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O&M Agent

O&M Agent는 사업소의 배전지능화 설비의 운영정보를 취득하여 통합O&M 서버로 전송하는 프로그램이다.

 

ApMng (Application Manager)

ApMng는 고장처리, 부하감시, 이력 등을 확인하는 프로그램이다.

 

Gensol

Gensol은 배전지능화 프로그램을 감시 및 재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 케이블 (Optic Cable)  (0) 2017.02.25
Hub (허브)  (0) 2017.02.25
순시와 지연  (0) 2017.02.25
무정전 전원장치  (0) 2017.02.25
지중인입 탐사  (0) 2017.02.25

 

 

에폭시절연부하개폐기(Epoxy 絶緣負荷開閉器)

에폭시절연부하개폐기는 22.9kV-y 지중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지중선로의 개폐, 구분 또는 인입개폐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에폭시 절연방식의 부하 개폐장치로서, 주회로의 절연 및 조작방식은 VI를 사용하고 접지회로는 식물유, 실리콘유, 기중절연방식을 사용한다.

 

Eco 부하개폐기 (Eco 負荷開閉器)

Eco 부하개폐기는 22.9-y 가공 배전선로에 설치하여 선로를 개폐, 구분할 수 있는 에폭시 절연방식의 진공 부하개폐 장치이다.

 

고장표시기 (故障表示器)

고장표시기는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고장전류가 흐르는 경우 Target을 표시함으로써 고장구간을 신속하게 분리하고, 장시간 정전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며, 기능별로 3상용과 단상용, 수동 복귀형과 자동복귀형이 있다.

 

수동개폐기 지능화장치(手動開閉器知能化裝置)

기존 수동개폐기 지능화운전을 위해 설치하는 장치로 계측용 CT로부터 고장정보 데이터를 취득하여 원격제어 단말장치(이하 단말장치)에 전달하고 주장치와의 통신을 통하여 수동개폐기를 제어, 계측하는 일체의 장치로 계측용 CT, 전원용 CT, 원격제어 단말장치, 통신모듈, 개폐 조작장치, 단말장치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계측용 CT

수동개폐기 전원측 선로에 설치되어 FI 및 전류를 검출하여 단말장치로 무선 전송

 

전원용 CT(지중용)

외부전원 공급이 어려운 지중개폐기에 설치하여 부하전류를 이용 단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원격제어 단말장치

취득된 데이터를 계측하여 주장치로 전송하거나, 주장치로부터 수신된 명령을 분석하여 조작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통신모듈

단말장치 내에 내장되어 주장치와 D-TRS Data 통신을 담당하는 장치

 

개폐조작장치

단말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수동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

 

단말장치함(가공용)

전원공급부, 원격제어 단말장치, 전원용TR, 축전지 및 기타 개폐기 원격제어에 필요한 장치를 수납하는 함체

 

OLS (Open Loop System)

일반적인 배전계통에서 지능화시스템을 활용하여 고장 발생시 제어단말장치간 통신으로 고장구간을 인지하고 보호기기(CB, 리클로져)의 재폐로 시간에 고장구간을 분리하고 건전구간을 송전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OLS 배전계통

일반적인 배전계통(Open Loop, 상시 절분점)에서 고장발생시 OLS용 제어단말장치에서 고장을 감지 후 보호기기 재폐로 시간내에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분리하고 건전구간을 송전하는 자가고장복구방식의 배전계통을 말한다.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파장분할다중방식 기반으로 광파장을 1,300ns1,500ns의 분리하여 단말장치와 주장치, 단말장치간 통신을 수행토록 하는 기기를 말한다

 

PC(Permissive Close)

투입 허용 요청

 

PT(Permissive Trip)

개방 허용 요청

 

BT/BC(Blocking Trip/Close)

개방/투입 불허

 

DTT(Direct Transfer Trip Signal)

자기단 Trip시 상대단에 직접개방 명령

 

CLS (Closed Loop System)

동일 변전소 동일 변압기에 인출된 2회선의 배전선로를 상시 폐루프로 운영하고, 고장발생시 CLS용 제어단말장치간 통신에 의해 고장구간을 인지하여 5Cycle내 고장구간을 분리하여 무정전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배전지능화시스템의 주장치와 통신망을 활용하여 배전센터에서 운영한다.

 

CLS 배전계통

동일 M.tr에서 인출된 지중 배전선로 2회선을 상시 폐루프로 운영하고, 고장발생시 CLS용 제어단말장치에서 고장을 감지 후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정전없이 Open-loop로 운전되는 자가고 장복구방식의 배전계통을 말한다.

 

CLS용 제어단말장치(CCD, Closed-loop Control Device)

Closed-loop 배전선로의 전용 차단기 제어함에 설치되어 선로 및 차단기의 고장 검출과 인접 차단기와 통신을 통하여 고장구간을 판단 후 고장구간만을 자동으로 분리 및 차단하고, 배전지능화시스템 주장치와 연계하여 지능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CLS용 에폭시 절연 다회로차단기

22.9kV-Y 지중 배전선로의 CLS에 사용되는 에폭시 절연4회로 4차단형 방식의 다회로 차단기를 말한다.

 

CLS용 가스 절연 다회로차단기

22.9kV-Y 지중 배전선로의 CLS에 사용되는 가스절연 4회로 4차단형 방식의 다회로 차단기를 말한다.

 

CLS용 과전류계전기

변전소 CLS 배전선로용 차단기(C.B, Circuit Breaker)의 과전류계전기로서 선로의 과부하, 단락 및 지락 고장전류를 검출하고, CCD1:1 통신 및 보호협조를 통하여 고장을 차단하는 계전기를 말한다.

 

CLSIED

디지털변전소 CLS 배전선로용 차단기(C.B, Circuit Breaker)의 과전류계전기로서 선로의 과부하, 단락 및 지락 고장전류를 검출하고, CCD1:1 통신 및 보호협조를 통하여 고장을 차단하는 계전기를 말한다.

 

무정전 고속도 전원절환 차단기

HSSB(High Speed Source Selection Breaker)

전원 공급선로가 고장시 무정전으로 예비선로로 절환시키고, 고객설비 고장발생시 차단되는 기기로서, 제어단말장치가 내장되어 배전지능화시스템 주장치와 연계로 지능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보호협조 (保護協調, Protection Coordination)

배전선로에는 변전소 릴레이와 1대 이상의 보호기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선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점에서 가장 가까운 전원측 보호기기만 개방되고 나머지 보호기기들은 투입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와같은 최적의 동작이 수행할 수 있도록 변전소 릴레이와 배전선로 보호기기들(1대 이상) 간에 동작시간을 정정하는 것을 말한다.

 

후비보호기기

보호협조 대상이 되는 보호기기 중 전원측에 위치한 보호기기

 

전위보호기기

보호협조 대상이 되는 보호기기 중 부하측에 위치한 보호기기

 

보호구간

배전선로에 설치된 보호기기 들을 기준으로 선로구간을 구분한 경우 보호기기의 부하측 구간을 해당기기의 보호구간이라 한다.

 

피보호구간

배전선로에 설치된 보호기기 들을 기준으로 선로구간을 구분한 경우 보호기기의 전원측 구간을 해당기기의 보호 구간이라 한다.

 

고장제거시간 (故障除去時間, Clearing Time : Tc)

배전선로 차단기가 선로의 고장전류를 감지하고 개방신호가 나간 뒤 실제로 차단동작을 수행하여 선로가 개방되는데 까지 시간으로 응답시간과 차단시간으로 구분된다.

 

응답시간 (Response Time : Tr)

배전선로의 고장을 감지한 때부터 개방신호를 발생시킬 때까지의 시간

 

차단시간 (Interrupt Time : Ti)

개방신호를 받고 실제로 선로를 완전히 구분시킬 때까지의 시간

 

TC 특성곡선 (Time Current 特性曲線)

입력전류와 동작시간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보호기기의 고유한 특성 중에 한가지로 보호기기의 종류에 따라 T-C 특성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어떤 보호기기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여러개의 T-C 특성곡선을 가지고 있다.

T-C 특성을 X-Y좌표에 나타내면 곡선이 그려지는데 이를 T-C 특성곡선(또는 특성곡선)이라 한다. 이때 X축에는 입력전류 요소를 그리고 Y축에는 동작시간 요소를 나타내는데 X, Y축 모두 Log축척(Scale)을 사용한다. Y축은 Sec 또는 Cyc을 단위로 사용하고 X축은 보통 PU(Pick Up)배수를 단위로 사용한다.

 

최소동작전류 (最小動作電流, Pick-up Current)

최소동작전류는 보호기기가 동작하게 되는 최소입력전류 값이다. 보호기기는 최소동작전류 이상의 전류를 고장전류로 인식함으로 최소동작전류 설정값은 설치지점의 최대부하전류보다 커야하며, 보통 안전계수를 계상하여 최대부하전류의 1.5배 이상으로 정정하고 있다.

 

Pick-Up 배수

Pick-Up 배수란 고장전류 값을 최소동작전류 값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최소동작전류가 400A로 정정되어 있는 보호기기에 4,000A의 고장전류가 흐르면 Pick-Up 배수는 4000 400 = 10(1,000%)가 된다. 최소동작전류를 Pick-Up 전류라고도 하니까 Pick-Up 배수는 고장전류가 최소동작전류의 몇 배인가를 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순시와 지연 (瞬時, 遲延)

배전선로용 R/C는 상, 지락 각각에 대해 2가지의 T-C 특성을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동작시간이 짧은 것을 순시(Fast), 긴 것을 지연(Delay)이라 하고 순시동작이 지연동작보다 앞선다.

 

구간협조장치 (區間協調裝置)

구간협조장치는 그림과 같이 선로에 2대 이상의 R/C가 직렬로 부설된 경우에 필요한 것으로 지연동작의 경우 동작시간이 길어 협조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순시동작의 경우에는 동작시간이 매우 짧아 보호협조를 위한 시간차를 내기가 어려워 순시동작에서는 두R/C가 동시에 동작하게 되어 R1R2사이(A2) 구간은 건전 구간임에도 순간정전을 경험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R/C에 구간협조 장치를 부착하면 순시동작에 한해 R/C가 고장을 경험한 경우 실제 동작은 되지 않았더라고 동작을 한 것으로 간주하여 다음 시퀀스로 넘어가게 된다.

 

돌입전류 억제 (突入電流抑制)

보호기기(R/C)가 투입될 때는 정상전류 이상의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르게 되는데 이를 돌입전류라 하며, 이런 전류에 의한 R/C의 동작을 억제하기 위한 기능을 돌입전류 억제기능이라 한다.

돌입전류에 의한 R/C의 동작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최소 동작전류를 돌입전류보다 크게 설정하거나 동작시간이 돌입전류의 지속시간보다 크게 설정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R/C의 지연곡선은 동작시간이 돌입전류의 지속시간보다 크므로 문제가 되지 않으나 순시곡선의 경우에는 동작시간이 짧아 돌입전류로 인해 동작하는 경우 가 발생할 수 있어 순시곡선의 경우에는 최소동작전류를 증가시켜 돌입전류를 억제해야 한다.

 

x 배수 (倍數)

돌입전류에 의한 R/C의 동작을 억제하기 위해 정정하는 값으로, 돌입전류를 최대부하전류의 10배 정도로 보고 최대부하전류에 10배를 곱하여 최소동작전류로 나눈 값보다 크도록 X배수를 정정한다. 즉 최소동작전류 정정치를 Is, 최대부하전류를 Im라 한다면, X배수(Xs) > (Im 10 /Im) 되도록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Hub (허브)  (0) 2017.02.25
단선도 프로그램  (0) 2017.02.25
무정전 전원장치  (0) 2017.02.25
지중인입 탐사  (0) 2017.02.25
지상변압기 이상가스 분석  (0) 2017.02.25

 

 

서버 (Server)

서버는 DAS의 데이터베이스, 미들웨어 등을 운영하기 위한 서버로 FEP을 통해 수신된 현장정보와 이중화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배전지능화기기 상태정보 등을 총괄관리하며 필요시 HMI에 알람, 이벤트 등을 송신한다.

 

전단처리장치 (前端處理裝置, FEP, Front End Processor)

전단처리장치는 배전지능화시스템의 통신을 전담하는 기기로 주장치와 제어단말장치간 신호전송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인간기계연결장치 (人間機械連結裝置, HMI, Human Machine Interface)

인간기계연결장치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배전지능화 감시제어계측 등의 모든 정보를 사용자 환경으로 제공하여 운영자가 용이하게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중화저장장치 (二重化貯藏裝置)

센터형 및 서버형 DAS에서 사용하고 데이터베이스 등저장 및 관리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서버 절체시(서버#1서버#2) 두 개의 컴퓨터를 하나의 컴퓨터로 사용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서버#1이 소유했던 데이터베이스를 서버#2로 소유권을 넘겨줌으로써 이중화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력관리서버(履歷管理서버, Log Server)

이력관리서버는 제어단말장치의 전류, 전압 등 아날로그 정보와 각종 통계정보 리포트 작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가공하는 장치이다.

 

연계용 케이트웨이 (連繫用 Gateway)

연계용 게이트웨이는 DASNDIS, SCADA 등 타 시스템간 정보연계를 위한 데이터 교환 장치이다.

 

전사통합 DAS 서버 (全社統合 DAS Server)

전사통합 DAS 서버는 지사, 지점의 배전지능화 정보를 배전센터 또는 본사에서 실시간 전달 및 조회를 할 수 있는 장치이며, TDM, CDM, OA DB장치, OA 게이트웨이로 구성된다.

 

TDM

(Total Database Management server)

TDM은 본사에 설치되며 전국 지사, 지점의 배전지능화 정보, DB, 실시간 알람이력 등을 수신하고, 저장 및 전달하는 장치이다.

 

CDM

(Center Database Management server)

CDM은 각 배전센터에 설치되며 배전센터 예하사업소의 배전지능화 정보, DB, 실시간 알람이력 등을 수신하고, 저장 및 전달하는 장치이다.

 

OA DB장치

OA DB장치는 CDM으로부터 수신된 배전지능화 정보, DB 등을 OA망과 연계하기 위하여 DB를 저장하고 OA 게이트웨이로 데이터를 넘겨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OA 게이트웨이

OA 게이트웨이는 배전지능화망과 외부망을 연계하기 위하여 설치한 설비로서 사이버 테러방지 등 보안강화를 위해 FA망과 OA망이 만나는 중립지대(DMZ, Demilitarized Zone) 안에 설치한다.

 

통합O&M 서버 (統合 Operation & Management Server)

통합O&M 서버는 210개의 사업소를 관할하는 배전센터 구축에 따른 관리 및 운영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사업소의 장애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배전센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운용상태를 실시간 감시와 장애 이벤트를 통합하여 수집, 저장, 분석,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기기조작관리시스템 서버 (器機操作 管理 System Server)

기기조작관리시스템 서버는 배전공사의 휴전작업, 기기 개폐 등 공사관리의 서류작업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DAS백업 시스템 (DAS Backup System)

DAS백업 시스템은 지사, 지점 및 배전센터의 물리적 소손 등에 의한 DAS DB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DAS의 계통정보, 설비정보, 이력정보(제어, 알람, 전류 등)를 백업하는 장치로, 지사, 지점은 DVD, 배전센터와 본사는 대용량 DB저장장치로 저장한다.

 

월 서버 (Wall Server)

월 서버는 배전센터에 설치되며, DAS 주장치, NDIS로 부터 정보를 받아 DLP에 표시해주는 장치이다.

 

통합컨트롤러 (Total Controller)

통합컨트롤러는 배전센터 내 설치되어 있는 DLP 큐브 및 환경설비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는 컨트롤러 PC를 말한다.

 

DLP 큐브 (Digital Lighting Processing Cube)

DLP 큐브는 배전센터에 설치되며 Wall Controller에서 제공하는 배전지능화 정보 및 각종 영상정보를 스크린에 표출하는 장치로 18면 또는 21면으로 구성된다.

 

SLS(SCADA Link Server)

SLS는 각 변전소의 SCADA 정보를 취합하여 DAS로 전송한는 장치를 말하며, DAS의 연계용 게이트웨이와 연결된다.

 

시각동기장치 (時刻同期裝置)

시각동기장치는 GPS로부터 표준시각을 수신하여 DAS 시각과 동기화하는 장치로 표준시각을 서버에 전달하면 각 서버는 다시 예하 사업소와 시각동기화를 하는 방식으로 전체시스템의 시각동기화를 시행한다. 또한 주장치와 현장에 설치된 제어단말장치간에도 주기적으로 시각동기화를 하고 있다.

 

무정전 전원장치 (無停電電源裝置,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무정전 전원장치는 DAS에 정전압, 정주파수의 무정전 교류전원을 공급하고 정전시 직류 접속점에 연결된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단시간 공급하는 장비로서 정전압 정주파수 전원장치라고 불리기도 한다.

회로구성

- 정상상태 : 상용전원정류기인버터 및 축전지 충전동기절체스위치부하

- 정전상태(외부전원 정전시) : 축전지인버터동기절체스위치부하

- 바이패스 상태(과부하, 내부고장시) : 상용전원동기절체스위치(감지)부하

 

에뮬레이터 PC는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하여 통신을 할 경우 PC를 호스트 컴퓨터의 단말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특정 프로그램을 수행시켜 주어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에뮬레이터라고 한다. 배전지능화용으로는 노트북PC에 에뮬레이터 프로그램과 KeyLock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제어단말장치 (制御端末裝置, 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

제어단말장치는 배전지능화기기와 함께 가공 및 지중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상시 전류, 전압, 전력을 계측하고, 배전선로에 부하 전류 발생 및 사고 시 그 상태를 감지하여 주장치(배전센터, 사업소)로 전송하며, 주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 사고지점의 배전선로를 개방하여 사고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배전선로에서 발생되는 모든 이벤트를 저장하여 사고 원인분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원격에서 상태감시 및 배전지능화기기 제어를 처리한다. 종류는 일반형, 다기능 및 통합형 제어단말장치가 있다.

 

일반형 제어단말장치

일반형 제어단말장치는 배전선로의 전류, 전압, 전력을 계측하고, 배전선로의 사고 시 그 상태를 감지하여 주장치로 전송 및 주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받아 사고지점의 배전선로를 개방하는 등 기본적인 기능만 수행한다.

 

다기능 제어단말장치

다기능 제어단말장치는 일반형 제어단말장치에 품질관리, 섹션, 조류방향검출 등 기능을 추가한 제어단말 장치이다.

 

통합형 제어단말장치

통합형 제어단말장치는 일반

형 제어단말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내장하였으며, 기존 일반형 제어단말장치와 배전지능화 기기의 제어부를 통합하여 만든 장치로 Eco개폐기에 사용된다.

 

NMS (Net Management System)

NMS는 배전지능화망과 통신설비의 이상유무를 감시하고 관련 정보를 배전지능화시스템에 제공하는 설비이다.

 

자동재폐로차단기(自動再閉路遮斷器, Recloser)

자동 재폐로 차단기는 설치지점의 부하측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전류를 감지하여 지정된 시간에 과전류를 스스로 차단하고 자동으로 재폐로 동작을 되풀이하여 순간고장을 제거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선로의 정전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일시고장시 차단기는 정정된 횟수 만큼 동작한 후에 개방됨으로써, 고장구간을 자동분리하여 정전구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상적인 전류감지식 과전류 보호장치이다.

종류는 절연방식에 따라 가스절연과 고체절연(폴리머)방식 2종류가 있다.

 

다회로차단기 (多回路遮斷器, MCA)

지중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고장발생시 고장전류를 차단하는 기기로 4회로 중 2회로는 개폐부, 2회로는 차단부(2,3)로 운영된다. Recloser와는 달리 재폐로 기 능이 없고 1회 고장에 차단(Lock Out) 된다.

종류는 절연방식에 따라 가스와 에폭시 절연방식 2종류가 있다.

 

자동선로구분개폐기 (自動線路區分開閉器, Sectionalizer)

자동선로구분개폐기는 배전선로 부하 분기점에 설치하여 선로고장 발생시 전원측 보호기기와 협조하여 고장구간을 신속하게 개방하는 자동구간 개폐장치로서, 고장전류를 직접 차단할 수는 없고, 부하측 고장을 기억하고 있다가 전원측 보호기기가 개방되어 무전압 상태가 되면 비로서 개방동작을 수행한다.

 

고장구간자동개폐기 (故障區間自動開閉器, ASS, Automation Section Switch)

고장구간자동개폐기는 가공선로의 고객 인입점(책임 분계점)에 설치되어 고객설비 고장시 전원측의 보호기기(CB 또는 Recloser)와 협조하여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구분, 분리함으로써 파급고장을 방지하는 기기로서, 900A이하의 고장전류에서는 전원측 보호기기의 차단전에 동작하고, 900A 초과시는 보호기기 동작 후 무전압 상태에서 동작한다.

 

자동부하전환개폐기 (自動負荷轉換開閉器, ALTS, Automatic Load Transfer Switch)

자동부하전환개폐기는 주 공급 배전선로의 정전사고 발생 시 예비전원 선로로 자동 전환되는 3상 일괄 조작방식의 자동부하절환 개폐장치로서, 자체 내 내장된 PT에 의해 전원 측 전압을 감지하여 정전 또는 저전압 발생시 즉시 다른 전원으로 절체동작을 수행하며, 부하 측 고장시는 Lock회로를 동작시켜 다른 전원으로 절체 되는 것을 막아 2개의 전원이 동시에 정전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선로용 퓨즈 (Line Fuse)

선로용 퓨즈는 흔히 선로용 COS(Cut Out Switch)라고도 하며 배전선로 단상 분기선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 경제적인 과전류 보호기기로 외부 기기장치인 COS와 내부의 퓨즈링크(Fuse Link) 되며, 고장발생시 전원측 보호기기와 협조하여 퓨즈링크가 용단되면서 단상분기를 보호하며, 2대 까지 직렬로 설치가 가능하다.

 

가스절연부하개폐기 (Gas絶緣負荷開閉器)

가스절연개폐기는 배전선로나 고객 인입구(책임한계점)에 설치되어 선로를 개폐, 구분할 수 있는 SF6 가스 절연방식의 부하개폐장치로서, 가공용과 지중선로용이 있으며 조작방식에 따라 자동형과 수동형으로 구분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선도 프로그램  (0) 2017.02.25
순시와 지연  (0) 2017.02.25
지중인입 탐사  (0) 2017.02.25
지상변압기 이상가스 분석  (0) 2017.02.25
일반형 지상변압기  (0) 2017.02.24

 

Water Jetting Machine

강한 물분사 방식으로 해저케이블 매설 및 해저면 평탄화 작업 등을 하는데 이용하는 장비를 말한다.

 

SSS (Side Scan Sonar)

측면주사 음탐기라고 하며, 해저면의 상태를 2차원의 영상으로 나타내는 장비를 말한다.

 

MBES (Multi-Beam Echo Sounder)

다중빔 음향측심기라고 하며, 다중빔 및 수면하의 음속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위치 및 수심측량에 사용되는 장비를 말한다.

 

지상변압기 순간압력 저감장치

변압기의 내부 탱크 상단에 설치하여 변압기의 정상적인 사용시 생기는 정압력에는 동작치 않고 변압기의 내부단락등 순간적으로 급격히 상승하는 에너지가 발생 될 때 일정 작동압력에서 순간적으로 파열되어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탱크의 폭발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인적 및 물적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한것으로 동작특성은 아래와 같다.

- 동작압력 : 1.05 ± 0.21kg/cm²

- 방 출 량 : 140m³/min

 

지상개폐기 과압방출장치

가스절연 개폐기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지상에 설치된 가스절연 개폐기용 고압팽창가스 방출장치로, 내부단락등 순간적으로 급격히 상승하는 에너지가 발생될 때 일정 작동압력에서 순간적으로

파열되어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탱크의 폭발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인적 및 물적 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한 것이다.

 

활선 누전점 탐사장비 (신기술 56)

지중저압선로 활선상태에서 지상변압기 2차 저압중성선 붓싱단자와 접지단자를 통하여 고객의 전자기기에 영향이 없는 비대칭 구조의 저압 AC펄스신호를 송출하고, 수신기를 통하여 이 신호를 탐지함으로써 누전점을 찾는 기술

 

더블브레이드 로프와 3드럼 선출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공법

더블브레이드 로프를 케이블 당김용 로프로 사용하여 케이블 설치 시 뒤틀림현상 방지, 3드럼 일체형 케이블 선출장치 및 장력/속도계 설치형 케이블풀러를 활용하여 시공의 편의성 및 시공품질을 향상시키며 인력시공의 기계화 전환에 따른 약 20%의 시공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술이다.

더블브레이드 로프의 경량/가요성은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로프 형태상 편측꼬임이 없는 구조로 장력인가시 회전특성이 없어 케이블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금구 및 U-Clevis 불요하다. 해당 로프의 가요특성은 장력측정용 Load Cell 장착이 용이하므로 시공기준에 준하는 포설장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로프의 낮은 경도 및 표면마찰력은 파형관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차량탑재 3드럼 일체형 선출장치는 공사현장에서의 케이블드럼 상하차 및 케이블 선출대의 개별 설치가 필요 없는 트럭 일체형으로 제작돼 드럼의 수직배열상 태에서 케이블이 설치되므로 관로 내 케이블 Kink현상 방지효과가 있으며 드럼 회전속도 감속장치로 포설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자기마커를 활용한 위치탐사 기술

자기마커(Active Magnetic Marker)20m간격으로 관로상단에 설치(2) 후 지표면에서 자기탐지기를 이용 설치된 자성체의 자기장 탐지를 통하여 심도 및 경과지 확인하는 기술

측량방법

- 관로상단에 자기마커 설치 후 개거상태로 실측량

- 측량정확도(심도 3m이하)는 위치 및 심도오차 ±10

탐사방법

- 자기탐지기내 내장된 도면 및 GPS에 측량위치 DB

측량위치 즉시확인 : 자기마커 도달시 자동 표시

- 도로, 지형 변화시에도 별도 위치확인을 위한 측량불요

 

소형윈치와 차량탑재형 포설장치를 이용한 전력구(공동구)내 케이블 기계화 포설공법

케이블 3드럼 선출장치와 소형윈치, 슈퍼맥스 로프를 이용하여 전력구 및 공동구 내 케이블의 기계화 설치공법으로 3상 케이블 동시설치 및 가이드롤러에 의해 케이블 행거 위 직접 설치 가능함

포설방법

- 3상 동시 기계화 포설

- 작업시간 단축 및 시공비 절감 효과

풀링 제어시스템

- 윈치부의 모터 구동 및 로드셀을 통해 장력 및 속도를 감지

- 풀링 제어장치와 연동하여 케이블드럼 장력 및 포설속도 균일제어

- 비상시 로프절단, 전원차단, 공기압 노즐고장 등 장력의 급격한 감속시 자동 정지

- 제어통신선을 50m 간격으로 설치하여 비상정지 및 인터폰 연락기능 수행

 

구동롤러를 활용한 전력용 합성수지파형관 기계포설공법

파형관 기계포설장비(회전풀기장치, 열풍추진장치, 가대)를 활용하여 전력용 합성수지파형관을 포설하는 공법

회전풀기장치

파형관을 집어 들어올리고 구동력으로 파형관을 푼다.

열풍추진장치

파형관 가열 및 구동롤러의 추진력으로 파형관 포설

가대

열풍추진장치를 백호의 블레이드에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이며 열풍기와 발전기를 적재

 

지중인입 탐사 (地中引入探査)

전력선 통신(PLC)의 특성(Zero Cross Point에서 Data 전송)을 활용 지상변압기와 고객간 신호를 송수신하여 공급변압기와 상 정보를 취득하는 탐사장비

탐사방법

- 지상변압기에 송신기를 설치하고, 지중고객에서 수신기로 해당 변압기 확인

- 송신기 설치시 상별로 신호를 보내 수신기에서 상확인 가능

제품 특징

- 전력선 통신(PLC)방식 사용

- 전자기장, 전자파의 간섭이 거의 없음

- 지중변압기의 상(A,B,C)별 측정이 가능

- 양방향 측정 가능(송신기 수신기) 지상변압기

 

 

배전지능화 (配電知能化, Distribution Automation)

배전지능화는 광범위하게 산재되어 있는 배전설비를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을 이용하여 배전센터에서 집중 원격 감시제어하고, 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검출 및 최적 계통전환 등 배전계통 운영업무를 선진화하는 것을 말한다.

 

배전지능화시스템 (配電知能化System, DAS,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배전지능화시스템은 배전지능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관련 요소를 조합한 집합체로서 주장치, 배전지능화기기, 제어단말장치, 통신설비, 부대설비로 구성된다.

 

센터형 DAS (Center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DAS는 센터형, 서버형, 슬림형으로 구분된다. 센터형은 배전센터에 설치되어 DAS 본래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배전센터 예하 사업소의 DAS 정보를 수신하여 사업소 DAS의 상태감시, 제어 등을 통합하여 수행한다.

 

서버형 DAS (Server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서버형은 배전지능화기기 200대 이상을 운영하는 규모가 큰 사업소에서 설치운영되며 서버, FEP, 이중화저장장치 등이 분리되어 있는 타입을 말한다.

 

슬림형 DAS (Slim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슬림형은 배전지능화기기 200대 미만의 소규모 사업소에서 설치운영되며 서버에 FEP과 이중화저장장치 기능을 탑재하여 통합 운영되는 타입을 말한다.

 

배전센터 (DCC, Distribution Control Center)

배전센터(Distribution Control Center)는 지역본부 직할 또는 지사에 위치하며, 210개의 관할 사업소 내 22.9이하의 배전계통에 대한 감시, 제어, 정전복구 등을 주관하여 시행하는 장소를 말한다.

 

배전계통운전원 (配電系統運轉員)

배전계통운전원은 배전센터에서 DAS를 운영하는 직원을 말하며, 1개 배전센터에 4개조가 있고, 배전설비 규모에 따라 1개조에는 23명이 근무한다.

 

배전지능화실 (配電知能化室)

배전지능화실은 배전센터 및 사업소의 DAS가 설치된 별도의 공간을 의미하며, 설비의 최적 운영상태 유지를 위하여 항온항습을 시행하며 보안규정에 의하여 제한구역으로 운영된다.

 

서버(Server) 및 클라이언트(Client)

서버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또는 사람을 의미한다. 인터넷에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와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와 상응하는 용어로 클라이언트가 있는데 이것은 서비스를 받는 것 또는 사람을 의미한다. 인터넷에서는 서비스를 받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을 의미하게 된다.

 

호스트 (Host)

컴퓨터 네트워크와 원거리 통신에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파일을 다른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중앙 집중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를 말하며, 인터넷에 서는 인터넷에 바로 연결되어있는 컴퓨터를 말한다.

 

FA(Factory Automation)

FA망은 공장자동화의 의미이나, 현재에는 DAS망과 같이 외부망과 분리된 특정 시스템을 운용하는 전용망을 말한다.

 

OA(Office Automation)

OA망은 사무실 내의 업무를 효율화하기 위해서 컴퓨터를 비롯하여 전자기술을 응용한 각종 사무기기에 의해서 사무작업의 자동화를 기하는 것을 의미하나, 통신에서는 여러 시스템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통신망을 말한다.

 

중립지대 (中立地帶, DeMilitarized Zone)

중립지대는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 중복되는 지역으로 외부 사용자가 DAS의 정보를 담고 있는 내부 서버에 직접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 사용자가

DMZ 호스트의 보안을 뚫고 들어오더라도 DAS의 정보는 유출되지 않는다.

 

주장치 (主裝置)

주장치는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내장하여 DAS를 운영하는 중앙제어장치로서 배전센터(사업소)에 위치하여 배전지능화선로 운전관련 정보를 배전계통운전원에게 제공하며, 배전계통운전원이 배전지능화기기 조작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장치를 말한다. 종류로는 서버, 전단처리장치(FEP), 인간기계처리장치(HMI), 이중화저장장치가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시와 지연  (0) 2017.02.25
무정전 전원장치  (0) 2017.02.25
지상변압기 이상가스 분석  (0) 2017.02.25
일반형 지상변압기  (0) 2017.02.24
방재설비  (0) 2017.02.24

 

지상변압기 이상가스 분석

전기절연유중에 용해되어 있는 가스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장치(가스크로마토그래프,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가스의 종류와 농도를 정성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이상진단(Fault Diagnosis)

전기절연유의 가스분석 결과(가스량, 가스 Pattern, 특정가스발생 여부 등)로부터 변압기의 이상유무 및 그 정도를 추정하는 것을 말한다.

 

시료채취(Sampling)

변압기의 시료채취용 밸브로 부터 분석용 절연유를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가연성가스(Combustible Gas)

유입(油入) 기기 내부에서 운전 중 접촉불량, 국부과열, 부분방전 또는 아-크 등과 같은 이상발생으로 전기절연유나 고체절연물이 열분해하여 발생된 가스를 말하며, H2, CH4, C2H6, C2H2, C2H4, C3H8, 등이 있다.

 

가연성가스 총량 (TCG : Total Combustible Gas)

전기절연유의 열분해시 발생되어 분석된 가스중 O2, N2, CO, CO2, 가스를 제외한 모든 가연성가스의 총량을 말한다.

 

총 가스량(Total Gas)

전기절연유의 열분해시 발생되어 분석된 모든 가스 (O2, N2, CO, CO2 포함)의 총량을 말한다.

 

정 상(Normal)

변압기가 정상운전 상태에 있어 계속 운전이 가능한 상태

 

관 심(Concern)

변압기 내부에 이상(異常)징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추적분석 (1/1)을 통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는 상태

 

요주의(Caution)

변압기 내부에 이상(異常)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추적분석(1/3개월)으로 변화추세를 면밀히 관찰하여 필요시 교체 또는 여과를 할 수 있는 상태

 

이 상(Abnormal)

변압기 내부에 이상(異常)이 있는 것으로 확실시되어 계속 운전시 고장을 유발시킬 수 있는 경우로, 운전 정지 후 변압기의 교체 또는 여과를 시행 할 수 있는 상태

 

환경친화형 지상기기 방호대

(環境親化形地上器機防護臺, Guard pole for Padmounted Equipment)

지상기기(개폐기, 변압기 등)에 대해 차량 등 외부충격으로부터 설비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방호대로 종류는 I자형과 L자형이 있다.

방호대는 지지대와 충격흡수부로 구성되며 충격흡수부 상부에는 반사시트가 부착되어 있으며 지지대는 KSD 3507(배관용 탄소 강관)의 기계적 성능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다.

 

불법광고물 방지설비 (不法廣告物防止設備)

지상변압기 및 지상개폐기(이하 지상기기라 함)를 운영함에 있어 환경 친화적 지중설비를 구축하기 위하여 불법광고물 부착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설비이다.

- 방 지 판 : PVC 합성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EPDM고무 재질의 판

- 방지시트 : 플렉스(Flex) 또는 동등이상의 재질로 된 원단

- 방지도료 : 액상 우레탄 계열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재질로 된 도료

 

절연부싱 (Insulated standoff Bushing)

유지 보수 작업 등으로 엘보접속재를 분리할 경우 절연 및 지지용으로 사용한다.

 

절연캡 (Insulated Cap)

가압상태의 부싱에 끼워 절연 및 차폐용으로 사용한다.

 

조작핀 (Assembly Tool)

스틱형접속재 엘보분리시 사용하는 공구.

 

검전핀 (Test Rod)

스틱형개폐기의 검전에 사용하는 공구

 

바이패스 붓싱 (Feed-Thru)

변압기 선로 바이패스를 하기 위한 연결장치이다.

 

접지엘보 (Grounding Elbow)

접지 비내장형 지살개폐기 및 변압기의 접지 또는 충전전류 방전시 사용하는 공구

 

엘보 활선분리

연결장치 지상변압기 엘보를 활선상태에서 분리, 연결하는 장치

 

지중저압선 (地中低壓線, Low-voltage for Underground line)

지중용 변압기 저압측으로부터 말단 분기점(배전함 포함) 또는 가공선로 지지물까지의 지중전선로(지상의 입상부분 포함)을 말한다.

- 저압 간선 : 변압기로부터 저압선로의 중간 또는 말단까지 주된 부하의 공급을 담당하는 전선로

- 저압 분기선 : 저압간선에서 분기하여 저압 인입선에 이르는 전선로

 

저압인입선 (地中引入線, Low-voltage Service wire)

지중전선로의 접속개소로부터 전기사용장소의 연결점이나 인입구에 이르는 전선로

 

지중저압 T인입방식

수지상(radial)으로 구성된 지중 전 선로에서 인입선을 분기하여 공급하는 방식

 

지중저압 π인입방식

지중저압선로를 양전원으로 환상(loop) 구성하고 선로의 한 지점을 상시 개방하여 공급하는 방식

 

인입구배선 (引入口配線)

인입선 연결점(수급지점)부터 전기사용장소 내의 고객소유 인입개폐기에 이르는 배선

 

저압접속함 (低壓接續函, Low-voltage joint box for Underground line)

지중 저압케이블을 지중에서 접속하거나 분기하는 장소에 매설하여 사용하는 구조물로 간선용과 인입용이 있다.

 

저압분전함 (低壓分電函, Underground Low Distribution Box)

중저압 배전선로(인입선 포함)의 중간에 설치하여 분기선 또는 인입선의 분기 및 고장구간 분리를 위해 사용되는 보호장치이다.

 

저압보호함 (低壓保護函)

입상 케이블과 인입선과의 접속개소에 대한 보호가 필요한 경우에 벽체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금속제 함

 

지중저압 입상관 (地中低壓立上管, Protection for Rising Cable)

지중저압케이블 고객측 입상용 자재로 건물벽면에 앵커볼트 3개로 고정

 

조립식 접속장치 (組立式接續裝置)

핸드홀 등 대형구조물 및 다회선 다분기 개소의 저압선로를 접속하는 조립식 접속재로 분기 및 종단장치가 있음.

- 분기접속장치 : 조립식 구조물 벽면에 부착하여 저압케이블을 접속하는 장치로 핸드홀 등 구조물의 다회선 다분기 개소에 적합하다.

 

- 종단접속장치 : 지중저압 입상개소 인입접속(분기) 장치

 

사방분기형 접속재 (四方分岐形接續材)

지중저압케이블 접속용 자재로 방수형 모선에 분기용 접속구가 4개인 구조개소에 사용하며 입상용과 구조물용으로 구분

 

레진형 저압 접속재 (Resin Type Cable Connection-Kit)

접속개소에 플라스틱 케이스를 덮고 래진을 주입하여 경화시켜 절연 확보

 

실리콘 충진형 저압 접속재 (Silicone Type Cable Connection-Kit)

접속개소에 실리콘이 충진된 케이스로 접속개소를 덮어 절연을 확보

 

지상설치형 저압케이블 접속장치

지상에 설치하는 지중 저압케이블의 접속장치로 직선 및 분기접속에 사용접속재(본체, 접속탭, 접속스리브, 카바)와 절연외함(절연외함 카바, 절연외함 지지대, 패킹)로 구성되어 있으며 4회로까지 인출가능

 

홀소() 드릴 (hole saw drill)

접속함에 관로 연결을 위한 구멍뚫기 장비

 

해저케이블 (Submarine Cable)

해저케이블 입상주에서부터 해저케이블 양륙(揚陸) 지점을 거쳐 해저구간에 포설된 케이블을 말한다.

 

해저케이블 보호구역(Submarine Cable Protection area)

전기사업법에 의해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보호구역으로 고시한 지역을 말한다.

 

항로표지 (航路標識, sea route beacon)

항로표지법 제 2조 및 동법 시행령 제 2조에 의한 등부표, 등주, 부표 등 선박으로부터 해저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경과지를 표시한 설비를 말한다.

 

해저케이블 시험 (Submarine Cable Test)

Test Van

TDR, ARM 시험을 위한 장비와 DC Burner, 상세구간 고장점 탐지용 Digiphone 등 고장점 탐지장비를 탑재한 차량을 말한다.


Murray Loop 시험

휘스톤 브리지의 원리를 이용하여 고장점을 탐지하는 방법을 말한다.


TDR(Time Domain Reflectometer)

레이더의 원리를 사용하며, 케이블에 펄스를 주입하여 고장점 (임피던스 변화점)에서 반사되어 오는 펄스의 시간차를 측정하여 고장점까지의 거리를 탐지하는 시험 방법을 말한다.


ARM(Arc Reflection Method)

고저항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고전압 펄스를 인가하여 반사되는 펄스의 시간차를 측정하여 고장점까지의 거리를 탐지하는 시험 방법을 말한다.


Digiphone

고장점에 주기적인 방전전압을 인가하여 고장점에서 누설되는 자계와 음향의 시간차를 측정해 육상구간 고장발생시 고장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비를 말한다.

써칭코일

케이블에 시험전류를 주입하고 이때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의해서 케이블 주위에 형성되는 자계를 측정하여 케이블의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고장점 탐지 및 매설심도를 확인하는 장비를 말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정전 전원장치  (0) 2017.02.25
지중인입 탐사  (0) 2017.02.25
일반형 지상변압기  (0) 2017.02.24
방재설비  (0) 2017.02.24
지향성 압입공법   (0) 2017.02.24

 

기기 기초대 (器機基礎臺, pad mount)

지상이나 지중선로용 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기초 구조물로 개폐기용과 변압기용이 있다.

 

가스절연 지상개폐기

(Gas Insulated Load Break Switches for Underground Line)

22.9-y 또는 22-지중 배전선로에서 지상 또는 지중선로에 설치하여 선로분리 및 구분용으로 사용하는 SF6 가스절연 다회로 방식의 수동형 또는 자동형 부하개폐기로 지상형 4회로 4스위치 데드브레이크형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에폭시 몰드절연 지상개폐기

(Epoxy Molded Load Break Switches for Underground Line)

지중 배전선로에서 지상에 설치되어 선로분리 및 구분용으로 사용되는 에폭시 몰드 절연 다회로 진공차단 방식의 수동형 또는 자동형이 있다.

 

5~6회로용 가스절연 지상개폐기

22.9-y 지중 배전선로에서 지상에 설치하여 선로분기, 선로구분용으로 사용하는 SF6 가스 절연 다회로 방식 수동형 또는 자동형 부하개폐기이다

 

지중 설치형 개폐기 (地中設置形開閉器)

맨홀과 같은 지하 구조물에 설치하는 지하설치형 기기로 현재는 차량 주차 및 맨홀 뚜껑동결 등으로 상시 출입이 곤란한 경우가 있어 설치하지 않고 있다.

 

가스절연 다회로차단기 (Gas Insulated Multi-Way Fault Interrupters)

22.9-y 지중 배전선로에서 지상에 설치되어 고장구간 자동차단, 선로 및 분기 선로 구분 등으로 사용하는 SF6 가스절연 다회로 방식의 수동 또는 원격 조작형 차단기(4회로 중 2회로)

 

에폭시 몰드절연 다회로차단기

(Epoxy Mold Insulated Multi-Way Fault Interrupters)

22.9kV-Y 지중배전선로에서 지상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에폭시 절연 다회로방식의 수동 및 원격조작 차단기

 

자동부하전환 개폐기

(自動負荷轉換開閉器, ALTS, Automatic Load Transfer Switches)

22.9-y 접지계통 지중 배전선로에서 중요설비의 주예비전원을 상시 확보하여 주전원이 정전될 경우 예비전원으로 자동전환이 가능한 개폐기

 

고속도 전원절환 다회로차단기

(高速度 電源切換多回路遮斷器, HSSB, Epoxy Insulated Hi-speed)

ALTS 고객 설치 단순 절환기능 사고차단 기능 개폐기2, ALTS1

HSSB 당사 설치 복합기능 고속절환,사고차단,원격감시 HSSB

 

원형Type 일체형 지상기기 (圓形一體形地上器機)

지상개폐기 및 변압기 집합설치로 보차도 공간 다수 점용에 따른 통행불편 및 고객민원 발생개소에 적용하고 개폐기와 변압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원형의 지상 기기로 외함에는 옥외광고가 가능하다.

 

퓨즈부 SF6 다회로 고장구분 개폐기

고객 구내파급고장 방지를 위해 고압고객 책임분계점에 설치하는 3회로용 다회로 개폐기로 고장전류 900A 이상에서 퓨즈가 융단되는 특성이 있다.

 

배전선로용 한류기 (配電線路用限流器)

지중배전선로에 연결하여 전력계통에서 단락, 지락과 같은 고장이 발생 시 수 ms 이내에 고장전류를 적정값 이하로 낮추어주는 장치로서 기기의 기계적, 열적 스트레스 경감을 통한 보호 및 계통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일반형 지상변압기

(一般形地上變壓器, General Type Pad Mounted Transformers)

지중배전선로 지상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유입 자냉식 단상(13,200/230V, 50,100,200KVA) 및 삼상(22,900/400/230V, 75,150,300,500KVA) 표준변압기

 

슬림형 지상변압기 (Slim Type Pad Mounted Transformers)

22.9kV-y 지중배전선로에서 지상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유입자냉식 단상(13,200/230V, 50,100,200,300KVA) 및 삼상용(22,900/400/230V, 75,150,300,500 KVA)변압기로서 H종 절연재료를 사용하여 타 지상변압기에 비하여 부피가 작음, 절연유는 폴리 염화 비페놀(Poly Chlorinated Bipheny : PCB)이 함유되지 않은 실리콘유 사용

 

부하개폐형 지상변압기

(負荷開閉形地 上變壓器, Load Switching Type Mounted Transformers)

22.9kV-y 지중배전선로에서 지상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유입자냉식 상(22,900/400/230V, 300KVA) 변압기로서 고압 측 전원 선택 및 저압 측 과부하, 고장전류 차단 기능을 가짐

 

지중 매설형 고체절연변압기

(地中埋設形 固滯絶緣變壓器, Submersible Solid

Insulation Distribution Transformer)

에폭시 고체절연방식으로 지중매설 및 수중운전이 가능한 구조로 맨홀 내 단상 3대 설치하여 최대 500kVA 공급 가능

 

저소음 지상변압기 (低騷音地上變壓器)

대도시지역은 부하밀도가 높아 전력설비가 주거지역에 가까이 위치하여 소음이 새로운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부 국외 전력사의 경우에는 국제기준에서 제시된 소음기준이 높아 제조자에게 보다 낮은 기준으로 제조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주거지역에서 소음관련 민원이 끊이지 않아 변압기를 이설하거나 새로운 변압기로 교체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주민생활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저소음 지상변압기가 개발 되었으며 개발제품은 변압기의 주요 소음원인인 철심의 떨림소음 및 전달소음 차단을 위해서 철심에 철밴드 및 내열성테이프로 고정하고 흡음재와 NBR 패킹을 내함 접촉부분에 삽입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저소음 지상변압기는 도심 부하밀집 지역에서 소음으로 인한 민원 발생이 예상되는 개소, 아파트단지 내 설치된 변압기로 변압기소음 환경기준 초과예상 변압기 교체에 사용되고 있다.

 

스틱 조작형 엘보접속재

엘보커넥터, 부싱인서트 또는 접속플러그, 절연캡, 케이블 어댑터, 접속단자, 방수테이프, 보조부싱으로 구성되며 검전, 접지, 상확인 작업은 스틱형접속플러그 (LRTP : Load-break Reducing Tap Plug)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데드브레이크형 엘보접속재 (Dead-Break Type Elbow Joint)

엘보커넥터, 절연플러그 및 절연캡, 붓싱익스텐드, 접속플러그, 케이블 어댑터, 접속단자, 방수테이프로 구성되며 접속플러그(LRTP)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접속, 운전되며 제반작업(검전, 접지, 상확인 등)시에만 스틱형 접속플러그의 기능을 가진 데드형 접속 플러(K650 LRTP-HAK)를 사용한다.

(주의) 반드시 용량성검전기를 사용하여 검전작업을 실시하며 데드형 접속플러그를 설치한 이후의 작업은 스틱조작형 작업방법과 동일하다.

 

지상변압기 후비보호용 한류퓨즈

(地上變壓器後備保護用限流, CL휴즈, Current Limiting Back-up Fuse)

1차부싱과 1차권선에 연결되는 이중소자퓨즈사이에 직렬로 연결하여 변압기 내부고장(단락사고등)시동작하며, 변압기 1차선로측으로 사고파급억제 기능

 

지상변압기 이중소자퓨즈 (Dual Element Bay-o-net Fuse)

CL퓨즈와 1차 권선 사이에 연결하며 퓨즈홀더(Fuse Holder)에 이중소자 퓨즈링크(Dual Element Bay-o-net Fuse)를 삽입하여 변압기 내부에 설치, 2차선로(구내, 저압간선등)의 단락고장 및 과부하로 인한 절연유 온도상승(140)에 의해 동작하며 변압기 2차측 고장 및 과부하 보호기능

 

지상변압기 스위치타입 보호장치

바이오넷 휴즈 대용으로 개발된 장치로 휴즈와 동일특성을 보유하고 저압측 고장 및 과부하 차단이 가능하고 부하상태 또는 고장상태에서 외부에서 투개방 조작 가능하며 저압측 고 장발생시 외부 시그널에 의한 차단유무 식별 가능한 장치

 

지상변압기 보호장치 구성도

지상변압기 내부 한류 및 이중소자휴즈 결선도

 

용량성 검전기

AC 5~35kV 케이블의 T접속재나 개폐기(4W 4S Dead Front) 단말의 검전에 사용하는 것으로 케이블 도체에 직접 접근 시키는 것이 아니고 절연물의 Test Point 에만 접촉시켜 검전을 시행하는 기기

 

지상기기용 상측정기 (Phasing Tester)

케이블 상확인 작업은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실시하므로 특히 안전에 유의하고, 충전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접속점 또는 PAD switch 엘보에서 발생되는 누설 전계를 탐지하여 상벡터 차이점에 의한 상판별과 검전 확인 등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측정기

 

지상개폐기 부분방전(PD) 진단장비 (Ultra TEV Plus+)

기기 내부의 결함발생시 부분방전 전자파 발생하며 개폐기 표면을 통해 전달되는 방전량을 검출하여 내부 방전은 TEV(과도대지전압) 센서활용 진단, 표면방전은 초음파 센서를 활용해 진단한다. (전압 : , 상승시간 : n)

 

지상변압기 운전정보 원격감시시스템

(Monitoring System for the Pad Mounted Transformer)

IT기술을 활용한 변압기 운전정보(전압, 전류, 온도)를 원격 측정 및 감시하여 변압기에 이상 발생시 경보 발생 및 운영자에게 메시지 전송기능을 가진 시스템으로 감지부 + 단말부(통신장치) + 감시부로 구성되어 있다.

 

지상변압기 엘보접속 검사용 절연자

지상변압기 신설 및 교체시 엘보 접속상태에 대한 검사를 위한 장비로 엘보접속 검사기구 몸체의 측정부리를 지상변압기 특고압부싱 인서트 바닥면에 밀착하고 엘보접속 검사기구 이동체의 측정부리를 엘보 바닥면과 밀착하여 부싱인서트 바닥면과 엘보 바닥면까지의 거리를 측정

 

지상변압기용 이상가스 검출장치

지상변압기 방압변에 가스검출장치를 연결하고 공간가스를 분석하여 이상가스(아세틸렌, 메탄, 에탄, 프로판, 에틸렌, 수소 등) 총량을 표시하고 외부(원격)에서 실시간 이상가스 측정값과 상태확인이 가능한 장치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중인입 탐사  (0) 2017.02.25
지상변압기 이상가스 분석  (0) 2017.02.25
방재설비  (0) 2017.02.24
지향성 압입공법   (0) 2017.02.24
구배 (勾配, Grade)  (0) 2017.02.24


전력구 (電力溝, Tunnel for Underground Power Cable)

전선로 전용 설비 여부와 관계없이 다회선의 케이블및 부속재 등을 수용하고 케이블의 접속공간을 겸하는 기능을 가진 사람이 내부에 통행할 수 있도록 만든 상부가 막힌 형태의 지하구조물을 말하며 시공 공법에 따라 개착식 전력구와 터널식 전력구로 구분한다.

 

개착식 전력구

도로를 계획된 심도(深度)까지 굴착하여 전력구를 설치하고 되메우기하는 형태의 전력구를 말한다.

 

터널식 전력구

도로를 굴착하지 않고 지하에 터널로 시공하는 형태의 전력구를 말한다.

 

전력구 규모(전력케이블 325기준)

 

케이블 설치

간선시설시 FR CNCO-W 케이블 325를 원칙으로 한다.

 

공동구 (共同溝, Tunnel for Public facilities)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9항에 규정된 시설물로 미관의 개선, 도로구조의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전기, 통신, 상하수도, 난방등 동일구조물 내에 소유주가 다른 2이상의 시설물을 설치하여 공동으로 수용하며 지방자치단체장이 관리하는 구조물로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공동구 수용설비 (共同溝收用設備, Public facilities in the Tunnel)

필수 수용설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지정한 전선로, 통신선로, 수도관, 열송수관, 중수도관, 쓰래기송수관을 말한다.

 

임의 수용설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지정한 가스관, 하수관, 그 밖의 설비를 말한다.

 

덕트 (DUCT)

중량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소에 케이블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하여 상부 전체가 개폐되는 형태의 지하구조물을 말한다.

변전소 구내 등의 장소에서 중량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관로 또는 전력구로 시설하기가 곤란 하거나 기술적경제적으로 유리한 경우에 적용하며 닥트는 지하 구조물의 상부 슬라브 대신 지표면에서 철판뚜껑을 덮는 형태로, 스위치 야드(switch yard)에서 흔히 적용하는 방식이며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은 그 내부 양벽측에 시설한다.

 

수직구 (垂直溝, Vertical Tunnel)

터널전력구 시공을 위하여 작업구로 사용한 후 완성한 수직 구조물을 말하며, 전력구 구조물에 포함한다.

 

분기구 (分岐溝, Divided Tunnel)

케이블을 인, 출입할 수 있도록 전력구의 단면 또는 형태를 변화시킨 부분을 말하며, 전력구 구조물에 포함한다.

 

환기구 (換氣口, Ventilating Opening)

자연환기구

전력구내 공기(空氣)를 자연적으로 외부와 순환시킬 수 있도록 시설된 구조물을 말한다.

 

강제환기구

전력구내 공기(空氣)를 기계장치에 의하여 외부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물을 말한다.

 

집수정 (集水井, Collecting well)

전력구내에서 양수작업을 위하여 양수기가 설치된 장소에 물이 고이도록 만들어진 구조물을 말한다.

 

전력구 종합감시시스템 (戰力溝綜合監視, Total Supervisory System)

배전 전력구의 관리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배전전력구 원격감시제어를 위한 설비로 주장치와 단말장치 및 기타 설비로 구성되어 감시, 출입구 원격개폐, , 수위측정, 조명 등으로 구성된 제 장치를 말한다.

 

박락/박리 (剝落/剝離, Flaking)

기기 외함에 발라놓은 칠이 벗겨지거나 구조물의 콘크리트 표면이 벗겨져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맨홀 (Manhole)

주로 관로식에서 케이블의 인입, 인출, 접속 등의 공사 및 점검, 기타 보수작업을 쉽게 하기 위하여 지중선로의 중간이나 말단에 설치하는 상부에 출입구(뚜껑 2)를 가진 지하구조물로 A,B,C,D,E형이 있다. 맨홀의 설치간격은 케이블 포설장력이 케이블의 허용장력 및 허용측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되 직선구간의 경우 250m를 표준으로 한다.

 

핸드홀 (Handhole)

맨홀과 용도는 같으나 규모가 적은 비교적 소규모의 뚜껑이 1개인 지하 구조물을 말한다. 종류는 차도설치형(원형뚜껑 Φ918mm)과 보도 및 주택가설치형(사각뚜껑 880×360mm)이 있다.

 

맨홀 원격감시시스템 (遠隔監視, Remote Supervisory System)

배전 맨홀의 관리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맨홀 내부설비 운전정보 원격감시 및 경보를 위한 시스템으로 맨홀뚜껑 무단개방, 침수여부, 온도 감지를 위한 센서 등으로 구성된 제 장치를 말한다.

 

구조물 평가 (構造物評價, Structure Assessment)

구조물의 외관을 조사하여 결함의 정도를 포함한 구조물에 대한 상태를 평가하는 상태평가, 현장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하고 설계도서 및 기존의 안전점검정밀안전진단 실시결과를 참고하여 구조물의 내하력 등 안전성을 평가하는 안정성평가, 구조물 상태 평가와 안전성평가 결과에 의하여 구조물의 안전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종합평가가 있다.

 

구조물 안전점검 (構造物安全點檢, Structure Safety Check)

경험과 기술을 갖춘 자가 육안 또는 점검기구 등에 의하여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시설물에 내재 되어있는 위험요인을 조사하는 행위를 말한다.

 

구조물 정밀안전진단 (構造物精密安全診斷, Structure Exact Safety Check)

지중시설물에 대하여 물리적기능적 결함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하기 위하여 구조적 안전성 및 결함의 원인 등을 조사측정평가하여 보수보강 등의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일액형 접착제 (一液形接着劑, one Component Adhesive)

조립식 지중 구조물의 상,하부 조립시 사용하는 접착제로 상오경화 방열 기능이다.

 

지지대 (支持臺, Supporter)

앵글형 지지대

지중 구조물내 케이블 포설을 위해 시설하는 벽체붙이용 자재로 1경간은 1.5m를 기준으로 세트앵커볼트 3개를 이용하여 직각으로 설치한다.

 

강관형 지지대

맨홀, 전력구 등의 구조물 내에서 벽체와 이격된 곳에서 케이블(접속재 포함)을 지지한다.

 

행거 (Hanger)

지지대에 설치하여 케이블 거치를 위해 시설하는 자재로 꽂이형, I, , 가변형이 있으며 4~5경간마다 형행거를 사용하여 케이블을 고정시킨다. 행거간은 상하 250mm, 최하단 행거와 바닥과는 300mm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행거규격은 260mm(1회선용), 370mm(2회선용), 590mm(3회선용)가 있고 곡선 개소나 굴곡이 있는 장소에는 가변형을 사용한다.

 

받침형(고정형) 크리트

행거에 케이블을 거치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자재로 고정형은 꽂이형, , 가변형 행거에 사용하고 받침형은 꽂이형, I형행거에 사용한다. 이때 고정형받침대와 행거간의 볼트를 확실히 조여 케이블 떨림현상을 방지해야 한다.

 

방재설비 (防災設備, Emergency Equipment)

전력구내 화재에 대비하여 설치하며 송수설비는 500m이상의 경우 반드시 설치해야 하며 350m이상은 필요시 설치할 수 있고 종류로는 소화설비, 자동화재탐지 설비, 송수설비가 있다. 소방관이 화재 진압을 위해 물을 주입하는 구멍을 송수구라 하며, 소방관이 송수구에 주입한 물이 공동구에서 살수 되는 구멍을 살수구라 한다.

 

연소방지설비 (燃燒防止設備, Flame Proof Equipment)

화재시 화염의 진행을 막고 소방대의 소화활동을 돕기 위해 연결송수관과 방수헤드를 설치하여 소방차를 이용한 살수막으로 냉각,수막효과를 내는 소화활동 보조설비를 말한다.

 

방화벽 (防火壁, Fire Wall)

화재확산을 막기 위하여 전력구내에 시설하는 벽으로 철근콘크리트 또는 벽돌을 쌓아 구획을 나눈다.

 

방화문 (防火門, Fire Door)

화재 발생시 연기확산 방지 및 화재 전이를 차단하는 시설

 

비상유도등 (非常誘導燈, Exit Sign)

유사시 공동구 내부의 작업자나 순찰자를 위해 환기구 및 재료반입구의 출입구 주변에 설치하여 피난장소를 알려주는 설비

 

감지선형감지기 (感知線型感知器, Heat Sensitive Type Sensor)

공동구내 화재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여 화재의 발생을 수신기에 통보하는 장치

 

국부 자동소화장치 (局部自動消火裝置, Local Automatic Sprinkler System)

화재에 의하여 생기는 열, 연기 및 불꽃 등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소화를 행하는 고정된 소화장치를 말한다.

 

가스탐지기 (探知器, Gas Detector)

전력구 및 맨홀 내부의 유해가스 검출 및 산소농도 측정용 장비

 

가스제거기 (除去器, Gas Removal)

전력구 및 맨홀 내부의 유해가스 제거용 장비

 

거푸집 (Mould)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정한 형태나 크기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물 또는 재재

 

동바리 (Supporting Post)

거푸집을 고정하기 위하여 괴는 짧은 기둥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상변압기 이상가스 분석  (0) 2017.02.25
일반형 지상변압기  (0) 2017.02.24
지향성 압입공법   (0) 2017.02.24
구배 (勾配, Grade)  (0) 2017.02.24
곡률반경  (0) 2017.02.24


 

합성수지 파형관 (合成樹脂波形管, Polyethylene corrugated Pipe)

지중 배전선로용 관재는 합성수지파형관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며, 합성수지(PE) 파형관은 종래 파상형합성수지관 또는 합성수지주름관이라 하였으나, 가급적 쉅게 모양을 즉시 연상할 수 있는 우리말로 고친 것이다. 그러나 KS규격에는 동일 형태의 금속관 명칭이 주름관으로 표기되어 있다.

관로규격 선정은 케이블의 최대외경, 장래의 용량증가,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특고압선로용 관로는 합성수지(PE) 파형관 지름175 를 표준으로 사용하며 저압 선로용 및 정보통신용 관로는 합성수지(PE) 파형관 지름100를 표준으로 사용한다.

규격은 100mm(60m), 125mm(50m), 150mm(40m), 175mm, 200mm(30m)가 있다.

 

합성수지 직관 (合成樹脂直管, Polyethylene Pipe)

합성수지 본당 길이가 짧아 취급이 용이하고 고무링으로 접속하므로 접속방법이 간편하며 관간격 유지가 용이하나 파형관에 비해 접속개소가 많아지며 굴곡개소에는 시공이 불가하고 부등침하 시 불리한 등 단점이 있어 통신용 관로, 교량시설 및 지하공간이 협소하여 파형관의 시공이 곤란한 특수개소에 사용한다. 규격은 100mm, 150mm, 200mm가 있다. (표준길이 6m)

 

강관 (鋼管, Steel Pipes for Underground Power Cable)

주요도로 및 철도 횡단개소, 압입공법 적용개소, 도로굴착으로 관의 손상이 우려되는 지역, 매설깊이가 부족하여 중량물의 압력을 받는 개소로서 합성수지관 매설깊이가 0.6m이하인 경우 등에 사용한다. 배전용 강관은 200mm로 단위길이가 6m이며 강관스리브를 사용하여 접속한다.

 

합성수지 고강도 파형관

(合成樹脂高强度 波形管, High Strength Polyethylene corrugated Pipe)

차도 및 중량물의 압력을 받는 장소에 설치하는 관로중 매설깊이 부족 및 기타 외압 등으로 일반 파형관으로 시공시 관의 손상이 우려되는 개소에 사용한다. 파형관의 내경은 175mm, 외경은 230mm로 기존 파형관과 연결이 가능하나 파형관 및 이음관의 색이 오렌지색 계열이다.

 

조립식 관로 이음관

(組立式管路接續管, Prefabricated Connector for the Corrugated HDPE Pipes)

파형관 이음용 관으로 규격은 175mm200mm가 있다.

 

파형 관로 이음관 (波形管路接續管, Connecting Device for PE Corrugated Pipe)

합성수지 파형관 종단 덮개용 관으로 규격은 100mm, 125mm, 150mm, 175mm, 200mm, 175mm(고강도용)이 있다.

 

관로 스페이서 (Spacer)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시 관로간 일정간격 유지를 위한 자재로 175mm 관로용만 있다.

 

지중선로 표지기 (地中線路標識器, Underground Line Route Indicator)

지중배전선로 경과지에 사용하는 지중선로 표지기는 케이블의 접속점 및 매설위치를 알 수 있도록 매설위치 바로위에 설치하여, 각종 굴착작업 등으로 인한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재질은 KS D6024의 황동주물 3, KS D 5101 C3712또는 동등이상으로 하며, 핀은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2KS D3503SS400 또는 기계적 성질이 동등이상의 재료를 사용한다.

지중선로표지기 설치장소는 케이블의 접속점 및 매설위치를 가장 잘 알 수 있는 거리로 정하였으며, 직선 구간은 매 10마다 설치하며, 시작점, 종점, 굴곡점, 분기점, 접속점은 매개소마다 설치한다.

 

지중선로 표지주 (地中線路標識柱, Pole type Underground Line Route Indicator)

사리도, 잔디밭 등 비포장도로 설치하는 지중선로표 지주는 케이블의 접속점 및 매설위치를 알 수 있도록 매설위치 바로위에 설치하여, 지방지역은 50, 도시지역은 20, 곡선부위는 5 ~ 10간격을 원칙으로 설치한다.

 

케이블 보호시트 (Protecting sheet for underground cable)

관로 매설을 표시하기 위하여 관로상단에 시설하는 주황색의 표시시트로 규격은 50mm()×30m(길이) 이다.

 

케이블 보호판 (Protecting plate for underground cable)

관로 매설을 표시하기 위하여 관로상단에 시설하는 노랑색의 플라스틱 판넬로 규격은 1000×1000×5(mm), 1000×700×5(mm), 1000×500×5(mm) 이다.

 

도통시험도통시험 (道通試驗, Continuity Test)

관로내 토사유입 및 관로손상, 지반침하 등으로 인한 관로의 기능저해 여부를 확인함으로서 전력케이블을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며, 케이블포설은 관로 도통시험을 거처 관로상태를 확인한 후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관로건설 시기가 짦고 관로내 토사유입, 관로손상 및 지반 침하 등의 위해요인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합성수지용 관로의 도통상태를 점검하는 도통시험기의 규격은 100mm, 150mm, 175mm용으로 길이는 400mm 이다.

 

관로 곡률반경 측정장치

(管路曲律半徑 測定裝置, Measuring Instrument for radius of curvature)

지중관로 도통시험과 더불어 거리와 관로 폭을 이용하여 곡률반경과 측압을 계산하고 케이블포설 최대장력을 산출하여 공사 대상구간의 기설관로 가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 케이블 포설이 예상되는 활용예정 기설관로에 적용한다.

 

관로구 (管路口, Pipe Entry)

관로구는 맨홀, 전력구 등 지중구조물과 관로가 만나는 곳의 관로 끝부분을 말한다.

 

코아드릴 (Core drill)

지중 구조물에 관로구 신설을 위하여 사용하는 회전형 천공기이다.

 

합성수지용 관로구 몸체

지중 구조물에 시설하는 관로연결용 자재로 규격은 150mm, 175mm, 200mm가 있다.

 

파형관용 어댑터

합성수지용 관로구 몸체와 관로를 연결하는 자재로 규격은 100mm, 150mm, 175mm, 200mm가 있다.

 

조립식 관로구 덮개 (Cover of Pipe Entry)

케이블 포설을 하지 않은 미사용 관로구를 막는데 사용하는 덮개

 

초정밀 위치탐사장비 (EW-500)

자기마커 시설 배전선로, 송전선로 등 지하 전력시설물(신설, 기설) 탐사장비로 신규 매설배관은 물론, 기존 매설배관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관로추진공법 (압입공법/管路推進工法, 壓入工法, Press-in method)

관로추진 공법은 개착공법이나 일반터널공법을 적용 할 수없는 장소에 파이프를 밀어넣어 땅속을 관통하는 추진공법으로서 장비(타격식, 유압식, 오거식등), 구경(소구경,대구경) 및 관재질(강관, 흄관) 등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고, 공사방법이 다르다.

현재 지중배전관로 매설용으로 적합한 압입공법은 강관을 사용하여 수평방향으로 압입하는 강관압입공법과 지상에서 굴진방향 및 깊이를 조정할 수 있는 지향성 압입공법이 있으며, 철도, 도로, 하천 등 주요 구조물 아래를 지중으로 통과할 때 개착공법 이나 일반 터널공법을 적용하기 곤란한 장소에 적용하고 있다.

 

강관압입 (鋼管壓入, Steel pipe Press-in)

강관압입에는 추진방법에 따라 타격식, 유압식, 수력 굴착식이 있다.

 

타격식(충격식)

지중에 직접 강관(Φ200~800mm)을 램해머(ram hammer) 로 타입하는 방법으로 가장 단순한 공법이며, 점토, 실트질 지반에 효과적이지만 시공오차가 큰 편이다.

 

유압식

유압 잭(jack)에 의해 관을 땅 속에 추진하는 공법으로 점토, 실트, 사질토층에 적당하다.

 

수력굴착식

케이싱(casing)

파이프 선단에 절삭기를 취부하고, 파이프에 송수하면서 모터에 의한 로드(rod)의 회전절삭을 하므로 경질지반의 천공도 가능하다.

코어튜브(core tube)

로드(rod) 선단에 절삭기를 취부하고 로드에 송수하면서 회전 절삭하고, 천공 후 강관을 유압잭으로 압입한다.

 

지향성 압입공법 (指向性壓入工法, Directivity Press-in method)

현재 지중관로 매설공사는 노면 터파기를 통한 개착식 공법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개착식 공법을 적용할 수 없는 철도횡단, 하천횡단, 하수박스 및 복잡한 도심지의 도로횡단 등에는 비개착 공법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5년 미국의 Horizontal Directionnal Drilling 공법을 국내에 도입하여 지중화공사중 비개착압입부분에 적용하여 지상의 방향조정기(Locator)로 지중의 굴착Drill Head 의 굴착방향조정이 가능한 관로시공 신공법으로 지향성압입공법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어 왔다. 다만, H.D.D는 타공법에 비해 교통지체, 도로점거, 환경처리, 민원감소 등의 사회적 비용절감과 안전성확보에 우수하여 국내외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공동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국내의 여건상 1회 시공을 통한 다공의 전력관매설시에는 지반안전성에 대한 위험과 벤토나이트 사용량 증가에 따른 하천오염과 폐기물 처리시설비용 등에 대한 사전 검토가 필요하다.

 

케이블 입상관 (立上管, Standpipe)

전주에 입상하는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부설하는 원형 또는 덮개형의 자재

 

조립식 반할관 (半割管, Splited pipe)

케이블 입상개소의 관로와 입상관 사이 곡선구간에 시설하는 연결용 자재

 

이형철근 (異形鐵筋, Deformed bar)

콘크리트와의 접착이 양호하도록 철근표면에 리브 (rib)와 마디가 있는 것이고, 없는 것을 원형철근이라

 

슬럼프 시험 (Slump Test)

콘크리트의 반죽질기(consistency)를 파악하여 물-시멘트비를 조절하여 시공성(workability)을 좋게 하고, 성형성(plasticity) 및 마무리(finishing)의 용이성을 가름하여 소정의 강도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는 시험이다.

슬럼프 측정방법은 KSF 2402(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에 따라 높이 30, 밑변 안지름 20, 윗변 안지름 10의 절두 원추형 슬럼프 콘(cone)에 콘 용량의 1/33(17, 216높이)으로 매층마다 25회씩 다져 넣고, 원추형 콘을 빼내었을 때 콘크리트가 무너져 내린 높이를 측정한 것이 슬럼프 값이 된다. 따라서 물이 많아 반죽질기가 심할 경우 슬럼프 값이 커지기 마련이다.

규격화된 레미콘에 물을 추가하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양생과정에서 균열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현장에서 임의로 물을 추가해서는 안 된다.

 

모래다짐도 측정기 (Measuring Instrument for Sand Compaction degree)

관로 매설후 되메우기한 모래의 다짐도를 측정하여 기준이상의 다짐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침하를 방지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형 지상변압기  (0) 2017.02.24
방재설비  (0) 2017.02.24
구배 (勾配, Grade)  (0) 2017.02.24
곡률반경  (0) 2017.02.24
절연열화 현상   (0) 2017.02.24


 

특고압 케이블 다분기 접속장치

(多分岐接續裝置, Contact devices for several divide)

특고압 케이블 접속재로 최대 4회로(전원측 포함) 접속 가능한 장치

 

보통토사 (普通土砂, General earth and sand)

보통상태의 실트 및 점토, 모래질 흙 및 이들의 혼합물로서 삽이나 괭이를 사용할 정도의 토질(삽 작업을 하기위하여 상체를 약간 구부릴 정도)

 

경질토사 (硬質土砂, Hard earth and sand)

견고한 모래질 흙이나 점토로서 괭이나 곡괭이를 사용 할 정도의 토질(체중을 이용하여 23회 동작을 요할 정도)

 

풍화암 (風化岩, Weathered Rock)

일부는 곡괭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암질이 부식되고 균열이 110정도로서 굴착 또는 절취에는 약간의 화약을 사용해야 할 암질

 

연암 (軟巖, Sedimentary Rock)

혈암사암등으로서 균열이 1030정도로서 굴착 또는 절취에는 화약을 사용해야 하나 석축용으로는 부적합한 암질

 

보통암 (普通岩, General Rock)

풍화상태는 엿볼 수 없으나 굴착 또는 절취에는 화약을 사용해야 하며 균열이 3050정도의 암질

 

경암 (硬岩, Hard Rock)

화강암, 안산암 등으로서 굴착 또는 절취에 화약을 사용해야 하며, 균열상태가 1m이내로서 석축용으로서 쓸 수 있는 암질

 

암판정 (岩判定, Judgement Type of Rock)

토공의 절취, 구조물 기초 터파기 등의 작업중 나타나는 암질과 암반선을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행위를 말한다.

 

일축압축강도 (一軸壓縮强度,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시험편의 장축방향으로 압축 하중을 가했을 때 시험편이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을 하중 방향으로 수직인 시험편의 초기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점하중강도 시험 (点荷重强度試驗, Point Load Test)

시추코아와 같이 성형된 정형시료뿐만 아니라 무정형시료에 점하중을 가하여 시료내에 인장강도가 발생하게 하여서 암석을 깨뜨려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슈미트 해머시험 (Schmidt Hammer Test)

미리 압축한 스프링에 축적된 힘을 해방시킴으로써 해머가 암반표면에 부딪칠 때 그 반반력(탄성적인 튀어오름)을 측정함으로서 반발경도로 암석, 암반의 강도나 탄성계수를 추정하고자 하는 것으로 슈미트 해머의 반발치 (Rebound value) R는 해머의 튀어오르는 거리가 해머가 충격을 주기전에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움직인 거리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다.

 

탄성파 속도 측정 (彈性波速度測定, Seismic Velocity Measurement)

시험편을 탄성파가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탄성파인 P파와 S파의 전파 속도를 구하는 비파괴 시험이다. 시험편을 계기에 연결된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끼우고 적당한 힘으로 가압하여 탄성파가 송신자로부터 시험편을 거쳐 수신자에 이르는 데 소요된 시간을 계측하여 시험편의 길이를 소요된 시간으로 나누어 탄성파 전파속도를 결정한다.

 

RQD : 암질지수 (Rock Quality Designation)

시추코어중 10이상되는 코아편의 길이의 합을 시추길이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한 값으로서 암지르이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한다. 이때 코아의 직경은 NX 규격이어야 한다.

 

TCR : 회수율 (Total Core Recovery)

단위 시추길이에 대한 회수된 코어의 길이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값

 

인공골재 (人工骨材, Artificial Aggregates)

자연상태에서 채취한 골재가 아닌 인공적인 가공을 통해 만들어진 골재를 말하며 친환경 정책에 따라 되메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순환골재와 재생골재로 구분된다.

 

순환골재

건설폐기물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과정 등을 거쳐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35(순환골재 품질기준)의 규정에 의한 품질기준에 적합하게 한 골재

 

재생골재

골재의 형태로 있는 것을 재활용해서 다시 재사용하는 골재

 

토량환산 계수

(土量換算係數, Conversion Factor for earth volume calculation)

토공에 있어 토질을 시험하여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소량의 토질인 경우에는 표준품셈의 토량환산 계수표에 따를 수 있다.

 

토목 재료의 할증 (土木材料割增, Extra Charge of civil material)

재료의 다짐과 손실을 반영하기 위하여 토목재료에 대해 할증을 적용한다.

 

지중배전 토목설계 별표 (地中配電土木 設計別表, Attached Form)

기계화시공으로 설계할 경우 현장여건에 적합한 장비를 선정하고 시공량에 대한 장비의 비용(재료비,노무비,경비)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장비의 능력(시간당 작업량)산정을 별표라 하며, 또한 복합공정이나 여러단계로 진행하는 작업으로 직접 비용을 산출 할 수 없는 경우에도 각각의 단위능력을 산출하여 별표를 작성한다.

 

지중배전 토목설계 부표 (地中配電土木 設計附表, Attached Tag)

기계화 시공시 사용 기계의 단위시간당 소요되는 재료비(잡재료비), 운전사, 기계손료 및 기타(소모품)을 계산하여 기계의 시간당 작업량(별표)에 적용함으로써 작업량에 대한 기계의 사용금액을 산출하기 위한 시간당 기계경비(재료비, 노무비, 경비)를 계산하는 방식을 말한다.

 

백호 (掘削機, Backhoes)

굴착장비로 규격은 0.12 2.0이 있으며 추가로 브렉카(깨기), 크러셔() 기능이 있다

 

로더 (Loader)

토사류 소운반 장비로 0.255.0이 있다.

 

커팅기 (Cutting Machine)

AS CON'C 커팅장비로 320400가 있다.

 

플레이트 콤팩터 (Plate Compactor)

모래 및 토사류 다짐기로 규격은 1.5ton이다.

 

래머(Rammer)

모래 및 토사류 다짐기로 규격은 80이다.

 

진동로라 (Vibration Roller)

모래 및 토사류 다짐기용 장비

 

콘크리트 믹서 (Concrete Mixer)

래미콘 운반용 장비

 

콘크리트 진동기 (Concrete Vibrator)

콘크리트 다짐용 장비

 

구배 (勾配, Grade)

지표면에서 토사를 굴착할때 지반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굴착면이 경사지도록 굴착하는 방법으로 굴착깊이 1m에 대한 경사면의 기울기(구배)를 말한다. 따라서 기울기가 1:0.2 라하면 굴착 깊이(X: 굴착저면으로부터 의 높이)1m일 때 구배폭(Y)0.2 m 라는 것이다. 만약, X1.5m라면 비례식으로 Y0.3m가 된다.

[, 1:0.21.5(X):0.3(Y)]

구배의 적용기준은 지방 자치 단체의 조례에 따라 0.1 0.5 까지 다르게 적용하고 있으며, 서울시의 경우는 0.1을 적용하고, 지방에서는 대체로 0.2를 적용하고 있으나, 해당지역의 도로관리청의 굴착허가 조건에 따라야 한다.

 

지중관로 (地中管路, Pipe for Underground Cable)

지중 전선로, 지중 약전류 전선로, 지중 광섬유 케이블 선로, 지중에 시설하는 상하수도관, 가스관 및 이와 유사한 것과 이들에 부속하는 지중함 등을 지중에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차량 및 기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관으로. PE직관, 합성수지파형관 등이 있으며 이들 관재로만 구성된 관로를 “A형 관로라 하고 관재 주변을 콘크리트 및 이형철근으로 보강한 관로를 “B형관로라 한다.

지중배전선 시설을 위한 관로포설의 경우 허용전류는 관로공수 증가에 따라 감소하고, 그 감소비율은 토양열 저항율(토양열저항은 전기저항과 같은 개념으로 열이 토양을 통하여 발산이 될 때 얼마나 열전달을 잘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임) 및 손실율이 클수록 증가하며, 케이블의 단면적이 클수록 도체의 전류밀도가 많이 줄어드는데 이는 도체의 표피효과 뿐만 아니라, 금속Sheath손실이 많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로공수와 허용전류와의 관계를 고려한 지중배전선로의 시설기준은 다음과 같다

 

1) 관로식은 지중배전선로의 대표적인 시설방법으로 도로굴착 후 필요한 관로공수를 배열하고 되메우는 방식으로 평균 관로길이 250m마다 맨홀을 설치하여 관로내에 케이블을 시설하여 맨홀 내에서 접속하는 방식이다

 

2) 배전선로 최종 회선수가 8회선 이하인 경우에 적용한다. 다만, 관로공수는 예비공을 감안하여 9공까지 시설할 수 있으며, 통신 및 저압선로용 관로는 관로공수 산정대상에서 제외한다.

 

3) 지중배전선로 최종 회선수가 9회선 이상일 경우 도로 양측 또는 편측으로 나누어 시설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력구보다 경제적으로 유리한 경우에 적용한다.

 

직매식 관로 (直埋式管路, Pipe for Burial)

케이블을 트러프 등의 보호물로 보호하여 지 중에 매설하는 것을 말한다. 트러후는 U자형 의 긴 구유통 모양으로 된 구조물로 이 안에 케이블을 지중배전선로 회선수가 2회선 이하이고, 도로 재 굴착이 용이한 장소에 적용하며, 도로굴착 후 케이블 보호재인 트라프(trough)내에 전력케이블을 시설하고 직접 되메우는 방식이며, 우리나라 지중배전선로 도입 초기에 주로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인력시공에 의한 인건비 부담, 트러프 생산의 중단, 정전 시 선로 복구곤란 등으로 거의 적용하고 있지 않다.

 

교량첨가 관로 (橋梁添加管路, Pipe along the Bridge)

지중관로가 하천, 철도, 고가차도를 횡단하는 경우 교량을 이용하여 횡단하는 것으로 교량 첨가식과 전용 교식이 있다.

교량첨가식은 신설교량의 경우 설계시부터 참여하여 관로의 소요단면을 교량상부 구조물에 확보 첨가하는 방법과 첨가대를 제작하여 상부 스라브 콘크리트 타설전 설치하고 기설교량의 경우에는 교량구조, 소요케이블을 포함한 하중, 교량노후도 등을 조사하여 교량의 안전에 대한 응력 검토와 홍수시 통수단면 등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도로관리청과 충분히 협의하여 허가를 받아야 한다.

부득이하게 교량첨가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전용교량을 설치하여 횡단하며 이를 전용교식이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재설비  (0) 2017.02.24
지향성 압입공법   (0) 2017.02.24
곡률반경  (0) 2017.02.24
절연열화 현상   (0) 2017.02.24
가섭선 (架涉線, Strung wire)  (0) 2017.02.24


 

보우타이 수 트리 (Bow-Tie Water Tree)

절연체의 내부에 생성된 트리로서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성장하는 두 개의 작은 벤티드 트리를 보우타이트리라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절연체에 포함된 화학적 이물질 등에 의하여 절연체 중간부분에서 발생하고 도체 방향과 중성선 방향의 양방향으로 성장하되 전형적

으로 0.5까지 성장하고 트리생성 개시 후 짧은 시간 동안 최종 길이까지 도달하며 성장이 멈추는 특징이 있다.

 

전기적 트리 (Electrical Tree)

절연체의 부분방전에 의해 탄화점이 발생하고 이 탄화점에서의 지속적인 부분방전은 절연체 재질의 부식을 촉진시키면서 전기트리로 성장한다. 전기트리는 절연파괴가 발생하기 전 열화의 마지막 단계로서 벤티드 트리나 보우타이 트리의 첨점에서 부분 방전(PD) 발생, 탄화채널 생성과 함께 전기트리로 전이되어 성장하는 특징을 가지며 일단 탄화채널이 생성이 되면 전기트리의 발생 후 절연파괴로의 진전은 급속도로 진행한다.

 

화학적 트리 (Chemical Tree)

케이블 포설주위에 유화수소와 같은 유화물이 존재하면 이 유화물이 케이블시이즈 및 절연체를 투과해서 동도체에 도달하면 동과 유화물이 반응해서 유화동을 생성한다.

 

케이블 부분방전 (Partial Discharge)

부분방전이라 함은 작은 공간 내에서 외부전계에 의해 발생하는 국부적인 Flash over를 뜻한다. 케이블의 XLPE 절연체에는 반도전층의 돌기(protrusions),내부의 공극(voids), 불순물(inclusions) 등이 있어 이 부분에 전계가 집중되고 시간이 경과하면 부분방전이 발생한다.

 

케이블 열화진단기술 (Diagnostic Method)

비파괴적인 방법으로써,케이블을 파괴하지 않고 양호/요주의/불량 등으로 열화수준을 구분해 주며 시험이 끝난 후에 다시 운전을 할 수 있다.

 

등온완화전류 (IRC, Isothermal Relaxation Current) 측정

케이블 심선에 전압을 인가하여 충전 한 후 이를 단시간 내 방전, 이 후 발생하는 잔여전류량을 측정하여 케이블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원론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수트리가 존재하는 케이블에 전압을 인가한 경우 심선과 중성선의 전계에 의해 심선의 전하(또는 전자)가 수트리에 충진(트랩 (Trap)이라 표현함)된다. 다음 단계로 심선을 방전시키면 심선의 충전전하가 단시간 내 케이블에서 빠져나가고 이 후 수트리에 트랩되어 있는 전하가 심선의 전하보다 늦게 빠져나오는 현상을 착안하여 수트리의 트랩 전하량을 측정함으로써 수트리 여부를 판별하는 진단법.

 

VLF tanδ (Very Low Frequency-tanδ) 측정

VLF라 함은 시험전압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로 0.01Hz ~ 1Hz 사이의 주파수 범위를 지칭한다. VLF는 기본적으로 낮은 주파수 특성을 가진 교류전원을 지칭하는 공식용어이며 DC시험전압의 결점인 절연체 내 공간전하 축적의 문제가 없는 것을 최대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또한 VLF 전원으로 tanδ를 비롯한 Partial Discharge, VLF 내전압시험 등 다양한 종류의 시험에 적용이 가능한 호환성을 가진다.

tanδ는 유전정접이라는 용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탄델타라 칭한다.

tanδ의 기본원리는 케이블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압 위상과 전류 위상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 값에 의해 케이블의 열화 여부를 판별하는 진단법이다.

공간전하(Space Charge)

- 물체 내의 어떤 일정 영역에 공간적으로 정 또는 부로 대전되는 현상

- 물체의 양단에 전위차가 인가될 경우 물체 내 다른 물질과의 계면에 인가된 전극의 반대 극성의 이온(전하)가 집중되는 현상

 

VLF PD (Very Low Frequency- Partial Discharge) 측정

순수한, 부분방전이 없는 정현파 0.1Hz 파형을 케이블의 상-대지간 유효전압의 2배까지 전압을 인가하여 절연체 결함 부분에서 부분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VLF PD 측정은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절연체 결함의 위치와 심각한 정도를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진단기법이다. VLF와 상용주파에서 측정된 PD의 특성은 서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케이블 절연보강 (絶緣補强, Cable Cure)

열화된 케이블의 도체 소선사이에 특수실리콘액 (Silicone Fluid)을 주입하여 절연강도를 350% 향상(매일 0.5%2년동안)시켜 수분침투에 의한 수트리 예방으로 케이블 수명을 약 20년정도 연장하는 공법

 

케이블 절연내력 시험 (絶緣耐力試驗, Dielectric Strength Test)

AC전압을 정류 회로를 이용, 고압의 DC전압으로 변성하여 측정코자 하는 케이블에 가압하는 것으로 전류계를 측정 회로에 연결시키느냐에 따라 내압시험과 열화시험으로 구분 측정할 수 있다. 케이블 내압시험은 직류 46kV10분간 인가하여 상태를 판정한다.

 

케이블 상용주파시험 (常用周波試驗, Power Frequency Test)

계통에서 사용하는 주파수의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시험하는 방법으로 실제 운전조건에 상응하는 스트레스를 절연체에 인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신품 케이블과 접속재같은 악세사리 등을 공장에서 시험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

법이다.

 

머레이 루프 테스터 (Murray's Loop Tester)

고장점의 거리를 측정하는 계측기로 Wheatstone Bridge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측정 가능한 고장은 케이블 단선 고장을 제외한 모든 접지고장으로 건전한 1상이 있어야 한다.

 

펄스 반사파 측정 (TDR)

레이다 원리와 같이 케이블상에 펄스에너지를 인가하고 케이블에 문제가 되는 지점에선 케이블의 임피던스가 변화되므로 이 지점의 반사에너지를 반사하여 반사 에너지가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거리로 변환시켜 문제 지점을 가리키는 원리로 고장점을 찾는 계측기이다.

 

케이블 페이스 트레이서 (Phase Tracer)

케이블 상 계측기로 DC 30V 30A 이하의 전류를 각상별로 3개의 파형을 송출, 회전수가 많은 맨홀이나 전력구 등에서 사선상태의 케이블을 찾는 사활구분이나 케이블의 상 측정에 사용한다.

 

비접촉식 온도 측정기 (非接觸式溫度測定器, Contactless Thermometer)

열을 방출하는 모든 지중설비의 열에너지를 적외선으로 감지하여 온도의 값을 수치로 나타내는 계측기이다.

 

케이블 설계 여유장 (設計餘裕長, Margin length for Cable Design)

실제 현장에서는 고저차 등의 영향으로 소요되는 케이블의 양이 도면과 차이가 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여유장을 산정한다. 접속단위 구간별 케이블 길이는 케이블 시설긍장 + 긍장 여유장 + 접속 및 옵셋트 (off-set)여유장으로 접속단위 구간의 절대길이(케이블시설긍장)에 각각의 여유장을 합한 것이다.

긍장 여유장은 케이블 공사 설계시 케이블 시설 경과지를 따라 케이블 길이를 산출하지만, 시설단계에서 굴곡이나 지하 장애물, 측정오차 등을 감안하여 거리 산출 긍장에 긍장 여유장 1%를 추가하는 것이다. (실측 긍장은 0.5%) 접속 여유장은 케이블 시설시 풀링아이나 풀링그립이 취부된 케이블 끝부분은 어느 구간보다도 과도한 장력이 걸리게 되므로 케이블 접속에서 그 부분을 제외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접속여유장을 반드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직선접속 2m(단 곡형 구조물 3m), 종단/기기접속 1.5m

 

옵셋 (off-set)

케이블은 주위온도, 부하에 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을 하게 되며, 이 열신축으로 케이블의 금속씨스, 접속함의 연공부, 절연체 등에 피로가 가중되어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케이블의 신축량을 곡률변화에 의해 흡수되도록 맨홀 내에서 관로구로부터 접속부에 이르는 케이블을 곡선 형태로 설치하는 것을 off-set이라고 한다.

off-setoff-set폭과 off-set길이의 2개의 요소로 이루어지며, 면과 바닥면에 투영된 길이를 각각 말한다.

 

풀링그립 (Pulling Grip)

케이블 포설을 위해 케이블 전단부를 잡아주는 장비로 설치시 끝을 넓게펴서 케이블을 밀어넣고 케이블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균등한 하중이 분포되도록 풀링 그립의 철선을 고르게 펴야 한다. 풀링그립 삽입길이 1m마다 강철선1.6mm 또는 2.0mm 동선으로 바인드하

여 풀링그립이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풀링아이 (Pulling Eye)

케이블 전단부 도체와 압축접속하여 인장용 철선과 연결하는 접속장치

 

허용측압 (許容側壓, Allowable Lateral Pressure)

허용측압(Kg/m)이란 케이블을 잡아당길 때 관로 내벽과 케이블 외피간에 작용하는 저항력으로 케이블을 당기는 장력과 관로가 이루는 곡률반경의 크기에 좌우된다.

 

곡률반경 (曲律半徑, Radius of Curvature)

곡선이나 곡면의 휨정도를 나타내는 변화율로 활 모양의 굽은 만곡부에서 원의 중심점까지의 길이를 말하며 케이블을 포설하거나 접속하기 위하여 구부리는 경우 케이블에 외상을 주지 않으며 굴곡부에서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곡률반경을 케이블의 허용 곡률반경이라 하고 22.9kV 특별고압선로의 CNCV 단심 케이블에서는 외경의 10배를 적용한다.

 

케이블 허용 곡률반경 (許容曲律半徑, Radius of Curvature for Cable)

케이블 허용곡률반경이란 케이블을 구부릴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케이블을 과도하게 구부릴 경우 절연체에 물리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져 케이블 절연파괴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케이블 굴곡개소에서 케이블이 그리는 원호의 반지름을 곡률반경이라 하고, 이때 유지해야 할 최소의 반지름을 허용곡률반경이라 하며 특고압 단심케이블 외경의 10배 이상으로 한다.

 

조립형 케이블 접속재 (組立形 Cable 接續材, Cable Termination and Joint Kits)

정형화된 몰드타입의 접속재로 직선접속과 종단 접속에 사용한다.

 

자기수축형 케이블 접속재

(自己收縮形 Cable 接續材, Self contracted Cable Joint Kits)

완전수축하려는 메모리 특성의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실리콘 고무재질 튜브를 이용한 접속재로 토오치 등 특수한 공구가 필요하지 않고 설치시간을 최소화 시켰으며 염해,분진등 특수한 환경에서도 우수한 내구성이 있고 완전 방수가 된다.

 

KP-Plug 접속재

변전소 GIS CB와 배전선로 특고압케이블을 연결하는 접속재

 

케이블 피박기 (皮剝器, Tool for Skinning Cable sheath)

케이블 외피 및 절연체 피박용 장비

 

반도전층 피박기

(半導電層皮剝器, Tool for Skinning Semi-conductor Layer)

케이블 반도전층을 제거하는 장비로 칼사용시 절연층 흠집발생을 방지한다.

 

접속재 난연카바 (Flame Retardant Covers for Cable Splice)

접속재 열화로 인한 화재 발생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재 외부에 씌우는 카바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향성 압입공법   (0) 2017.02.24
구배 (勾配, Grade)  (0) 2017.02.24
절연열화 현상   (0) 2017.02.24
가섭선 (架涉線, Strung wire)  (0) 2017.02.24
가공지선  (0) 2017.0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