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e-type 지중화 (地中化)

개폐기는 지상에 변압기는 주상설치, 고압은 지중으로 저압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수요에 따라 유연히 대처가능하며 보도 협소개소에 시공가능하나 저압선의 가공시공에 따른 도시경관 저해 및 변압기 점검시 고소작업차가 필요하다.

 

지중 공급지역 (地中供給地域)

지중전선로가 이미 시설되어 지중으로 공급되고 있는 지역을 말한다.

 

지중배전 공급예정 지역 (地中配電供給豫定地域)

공업단지, 주택단지 조성 및 신도시 개발 등의 지역에서 사업주체, 입주자, 지방자치단체 등이 지중배전선로를 시설 요청하거나 법령에 따라 지중으로 공급예정인 지역을 말한다.

 

가공선로 지중화 예정지역 (地中化豫定地域)

가공배전선로를 지중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지중화 예정지역으로 선정공고된 지역으로서, 향후 지중화를 대비하여 신증설 고객을 대상으로 지상기기 설치공간 확보 및 인입구조물 등을 미리 설치하도록 하여야 하는 지역을 말한다.

 

가공선로 지중화 확정지역 (地中化確定地域)

지중화 계획공사의 기본설계서가 작성되고, 지중화 예산을 확보하여 당해 년도부터 지중화사업을 시행하는 것으로 확정공고된 지역 또는 이미 지중화사업을 시행해 나가고 있는 지역을 말한다.

 

블록 (Block /신규업무처리지침)

지중화 사업 시행범위를 정함에 있어서 도로(이면도로 포함)로 구분하여 획정된 구역을 말한다.

 

CNCV (Cross-linked polyethylene(XLPE)

insulated, Concentric Neutral Conductor and PVC sheathed power cable)

기존의 폴리에틸렌 절연체를 내열성, 내화학 약품성이 우수한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체로 전환하여 지중배전선로에 적용

 

CNCV-W(Cross-linked polyethylene(XLPE)

insulated, Concentric Neutral Conductor with water blocking tapes and

PVC sheathed power cable) 기존의 CNCV 케이블에 내외부 부풀음테이프를 적용하여 수밀성을 강화한

케이블

 

FR-CNCO-W (Flame Retardant type Cross-linked polyethylene(XLPE)

insulated, Concentric Neutral Conductor with water blocking tapes and halogen

free polyolefin sheathed power cable)

기존의 CNCV-W 케이블에 폴리올레핀 외피를 적용하여 난연성을 강화한 케이블로 전력구 등 화재에 취약한 곳에 적용

 

TR-CNCV-W

(water Tree Retardant type Cross-linked polyethylene(XLPE)

insulated, Concentric Neutral Conductor with water blocking tapes and

PVC sheathed power cable)

기존의 CNCV-W 케이블의 절연체를 트리억제형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체로 전환하여 수트리 고장을 예방한 케이블

 

TR-CNCE-W(water Tree Retardant type Cross-linked polyethylene(XLPE)

insulated, Concentric Neutral Conductor with water blocking tapes and

Extruded-to-fill polyethylene jacketed power cable)

기존의 TR-CNCV-W 케이블 내부 반도전층에 Supersmooth 반도전 컴파운드를 사용하고 난연성 외피에 중성선을 삽입하여 수밀구조를 향상시킨 케이블

 

TR-CNCE-W/AL(water Tree Retardant type Cross-linked polyethylene

(XLPE) insulated, Concentric Neutral Conductor with water blocking

tapes and Extruded-to-fill polyethylene jacketed Aluminum power cable)

기존의 TR-CNCE-W 케이블과 특성은 동일하나 도체에 Al을 사용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킨 케이블

 

가교 폴리에틸렌 (cross link polyethylene : XLPE)

폴리에틸렌은 선상구고의 분자 구조를 갖고 있어 고주파 특성은 대단히 좋지만 열에 약하다는 결점 때문에 방사선 조사 등을 통해 특성의 개선을 도모하고자 여기에 화학 첨가물 (유기과산화물)을 넣거나 전자선을 사용해서 가교(cross linking) 반응을 일으켜 입체 망상구조로 개선한 것으로 내열성, 내화학 약품성이 우수한 을 화학 가교 폴리에틸렌 또는 가교 폴리에틸렌이라고 한다. 주로 고압전력용 케이블의 절연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내부 반도전층 (內部半導電層, Inner Semiconducting Layer)

전력 케이블의 전계 완화 및 도체와 절연체 간의 공극을 메워 틈에서의 부분 방전을 방지하고 전계 분포를 고르게 함으로써 절연체의 절연 내력을 높여주며, 도체와 절연체간의 직접접촉에 의한 열화반응을 억제할 목적으로 케이블의 도체와 절연체 사이에 반도전성 콤파운드를 동심원상으로 균일하게 압출하여 형성한 것을 말한다.

 

외부 반도전층 (外部半導電層, Outter Semiconducting Layer)

절연체 위에 절연체와 동시에 반도전성 콤파운드를 동심원상으로 균일하게 압출하여 형성한 것으로 22.9kV CNCV 케이블 등에 사용하는 외부 반도전층의 두께는 0.5mm정도이다. 폴리에틸렌계의 플라스틱 절연체와 카본블랙(Carbon Black)이라는 도전체를 혼합하여 만든 재료로 절연층과 중성선 사이의 전기력선 분포를 고르게 하여 준다. 케이블 접속공사를 할때는 반도전층에 솔벤트 세척포를 문질러 반도전체의 구성재료인 카본이 세척포에 묻어나와 도전 성분이 없어지게 되어 사고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지중케이블 전기적 특성시험 (電氣的特 性試驗, Electrical Characteristic Test)

전력케이블의 수명을 결정하는 요소는 내전압특성으로 케이블에 인가되고 발생되는 전압에 대해 특성을 유지 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케이블 사용여부를 판정하는 기본사항으로 케이블 손실 특성을 파악한다

 

케이블 도체 직류저항 측정 (導體直流抵抗 測定, DC Conductor Resistance Test)

상온에서 휘스톤 브리지 법 또는 이에 준하는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고 20로 환산한 결과가 기준값 이하이어야 한다.

 

케이블 절연저항 측정 (絶緣抵抗測定, Insulation Resistance Measurement)

상온에서 각 도체와 차폐간에 100V이상의 직류전압을 가하고 1분간 충전 후의 절연저항을 직편법 또는 초절연계 등으로 측정한 후 당으로 환산한 결과가 기준값 이상이어야 한다.

 

케이블 정전용량 측정 (靜電容量測定, Electrostatic Capacity Measurement)

상온에서 각 도체와 차폐간의 정전용량을 1,000교류 브리지법 또는 이에 준하는 방법에 의하여 측정한후 당으로 환산한 결과가 기준값 이하여야 한다.

 

케이블 교류내전압 측정 (交流耐電壓測定, AC Withstanding Voltage Measurement)

케이블 출하 전 제조 공정 중 발생한 절연체의 결함 유무를 확인하는 시험으로 52kV/5분에서 절연파괴가 없어야 한다.

 

케이블 유전정접(tanδ)측정 (誘電正接測定, Dielectric Loss Tangent Measurement)

케이블의 절연체에 직류전압을 인가하면 충전 흡수전류만 흐르나, 교류전압을 인가하면 케이블의 절연체 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여 절연체에는 충전전류(IC)와 손실전류(IR)의 합산전류가 흐르며, 이때의 손실각을 δ로 할 때 tanδdielectric loss로 정의하여 이를 측정한다. tanδ는 케이블의 손실정도 판정과 케이블의 절연 열화정도를 판정함.

 

케이블 부분방전 측정 (部分放電測定,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

케이블 완성품을 시험하여 절연체 제조 후 7일 이상 경과 후 측정하고 도체와 차폐간에 교류 전압을 52까지 서서히 전압 상승시킨 후 1분간 유지하며 측정하며 측정값이 5pC 이하여야 한다.

시험용 케이블의 단말부에서 코로나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처리 필요

 

케이블 인정시험 (認定試驗, Certificate Test)

초기개발 또는 자재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설계나 재료의 변경시 시행하며 인정시험에 대한 판정은 당사 또는 국제시험기관 인정기구협의회의 상호인정 협정에 서명한 인정기구로부터 인정받은 공인시험기관의 시험성적서에 의한다. 규격에 적합하게 생산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주기인정시험이라 한다.

 

케이블 검수시험 (檢收試驗, Inspectable Test)

인정시험에 합격한 자재에 한하여 자재납품시 시행하며 장기과통전시험 및 가속수트리시험은 최근 5년 이내의 시험성적서에 의한다.

 

케이블 참고시험 (參考試驗, Reference Test)

자재의 성능에 대한 기술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시험으로 인정시험과 동시 시행을 원칙으로 하며, 시험결과는 합격, 불합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케이블 성능확인시험 (性能確認試驗, Performance Verification Test)

당사에 납품중인 자재의 성능확인을 위해 당사에서 납품대기 또는 납품된 자재에서 임의 발췌하여 시행하는 시험이다.

 

절연열화 현상 (絶緣劣化, Insulation Aging)

절연체의 수명이란 열화(AGING)에 의하여 결정된다. 케이블의 열화요소로는 내부요소와 외부요소로 나눌 수 있는데 내부요소로는 케이블의 제조조건, 절연분자구조, 반도전층의 형태, 습기층, 압출방법, 잔여부산물, 반도전층 및 절연체의 불순물,사용온도 및 주기, 산화도와 부분 방전등이 있고 외부요소로는 절연체의 외상 접속불량, 기계적응력, 수분의 침투, 외부의 열방산 등으로 구분된다. XLPE케이블에 있어서 열적(熱的) 열화는 내부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절연체 내부 유전체 손실의 증가나 기계적 특성의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탄

소결합(carbon-chain) 산화로부터 발생되며 열화에 따라 발생되는 현상은 다음과 같다.

1)유전체 손실(tan δ)이 증가하고 물리화학적인 파괴가 일어난다.

2)절연체와 도체 및 절연체와 시스간의 분리가 일어난다.

3)부분 전하의 이동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케이블의 열화현상은 거의 단독요인으로는 발생하지 않고 대부분이 상호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겹쳐서 발생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트래킹(Tracking) 열화

절연물 표면에 전계가 존재할 때 연면 방향으로 탄화도 전로가 형성되는 현상이며 , 절연물 연면 방향의 절연 성능에 나쁜 영향을 준다.

도전전류의 Joule 열에 의하여 표면의 수분이 증발하면 도전로가 끊어지면서 미소 불꽃 방전이 발생되어 탄화생성물이 형성되고 연속 반복적인 방전에 의하여 절연체 표면이 침식되면서 결국에는 절연파괴로 이어진다.

 

수 트리 (Water Tree)

물과 전계가 공존하는 조건하에서 전극의 돌기나 상처 및 절연체 내부의 이물질 또는 보이드(void) 등에서 미소한 침식현상을 수반하는 열화형태를 말한다. 벤티드형과 보우타이형이 있다.

 

벤티드 수 트리 (Vented Water Tree)

절연체의 경계면(접촉면)에서 발생하여 절연체 중심부로 성장하는 트리를 지칭하며 1년에10~1,000정도 느리게 성장하기 때문에 수 년이 지나야 절연체의 바깥부분에 도달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 로 보우타이 트리와 비교하여 초기 성장은 느리지만 대부분의 경우 더 큰

크기로 성장하는 특징이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배 (勾配, Grade)  (0) 2017.02.24
곡률반경  (0) 2017.02.24
가섭선 (架涉線, Strung wire)  (0) 2017.02.24
가공지선  (0) 2017.02.24
시설물 이격거리   (0) 2017.02.24

 

인입선 클램프 (Clamps for Sercvice Drop Lines)

분기 인입선을 메신저 와 이어에 고정하고 인입용 인류애자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자재

 

전선퓨즈 (Cartridge Fuses for the Protection of Service Lines)

저압 가공 인입선의 주상측에 설치하여 과전류 등으로 부터 인입선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퓨즈를 말한다.

 

전선퓨즈 지지대 (Supporters for Cartridge Fuses)

인입용완철, 랙크 등에 전선퓨즈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자재로서, 수직형과 랙크걸게형이 있다.

 

가섭선 (架涉線, Strung wire)

전선(전압선, 중성선), 가공지선, 공가첨가 통신선 등 지지물에 가선되는 선류(線類)를 총칭하는 것을 말한다.

 

병가 (倂架)

2회선 이상의 가공전선 또는 전압이 상이한 가공전선 및 그 부속물 등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것을 말한다.

 

공가 (共架, Joint use)

가공전선과 가공약전류전선, 가공광섬유케이블 등(전력보안통신용 약전류전선 제외)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것을 말한다.

 

첨가 (添架)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전력보안 통신선 및 그 부속물을 가설하는 것을 말한다.

 

조영물 (造營物, Structures)

토지에 정착한 시설물 중 지붕 및 기둥 또는 벽이 있는 시설물을 말한다.

 

조영재 (造營材)

조영물을 구성하는 부분을 말한다.

 

상부조영재 (上部造營材)

지붕, 차양(遮陽), 옷 말리는 곳 기타 사람이 올라갈 우려가 있는 조영재를 말한다.

 

보안공사 (保安工事)

배전설비를 타 시설물에 접근하여 시설하는 경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반 공사보다 강화한 것을 보안공사라 하며 전압별로 저압보안공사, 고압보안공사, 특고압보안공사로 나눈다.

 

저압보안공사

저압가공전선이 교류전차선, 고압가공전선, 특별고압 가공전선 등과 접근, 교차하는 경우에 시행하는 보안공사

 

고압보안공사

고압가공전선이 건조물, 도로, 횡단보도교, 철도, 궤도, 삭도, 가공약전류전선, 가공광섬유케이블, 안테나, 교류전차선, 저압가공전선, 다른 고압가공전선, 시설하는 전기철도용 통신선 제외)과 동일 지지물에 시설되는 경우에는 시행하는 보안공사

 

접근상태 (接近狀態)

가공전선이 다른 시설물의 위쪽 또는 옆쪽에서 접근 및 병행하는 경우의 상태를 정의한 것으로서 다른 시설물의 아래쪽에서 접근하는 경우와 교차하는 경우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들의 접근상태에 대해서 정의를 하는 목적은 가공전선과 다른 시설물이 접근 또는 교차하는 경우의 안전기준을 명확하게 하기 위함이다.

 

(1) 1차 접근상태 : 가공전선이 다른 시설물과 접근(병행하는 경우를 포함하며 교차하는 경우 및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를 제외한다)하는 경우에 가공전선이 다른 시설물의 위쪽 또는 옆쪽에서 수평거리로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의 지표상의 높이에 상당하는 거리 안에 시설(수평 거리로 3m 미만인 곳에 시설되는 것을 제외한다)되므로서 가공전선로의 전선의 절단, 지지물의 도괴 등의 경우에 그 전선이 다른 시설물에 접촉할 우려가 있는 상태를 말한다.

 

(2) 2차 접근상태 : 가공전선이 다른 시설물과 접근하는 경우에 그 가공전선이 다른 시설물의 위쪽 또는 옆쪽에 서 수평거리로 3m 미만인 곳에 시설되는 상태를 말한다.

 

무정전공법 (無停電工法)

무정전공법이란 배전활선작업과 임시송전공법 및 직접송전공법을 이용하여 정전 없이 작업을 시행하는 공법을 말한다.

 

배전활선작업

고압이상의 전압이 인가된 선로나 기기에서 배전활선 전공이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작업을 시행하는 간접공법과 활선작업차의 버킷에 승탑하여 고무장갑 등의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선로를 직접 작업하는 직접공법이 있다.

활선간접공법에는 인하선 연결, 분기점퍼선 연결, 현수애자 교체, 할입주 신설 및 전주 교체와 같이 5개 공법이 있으며, 현재는 주로 활선작업차가 진입이 안 되는 장소에만 국한하여 시행하고 있다. 활선직접공법에는 인하선 연결, 분기점퍼선 연결, COS 교체, 현수애자 교체, 전주 교체, 장주 변경 및 개폐기 신설과 같이 7개 공법이 있다.

 

임시송전공법

가공배전선로에서 배전활선작업 대상설비 이외의 설비에 대하여 정전 없이 작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바이패스케이블공법, 공사용개폐기공법, 이동용 변압기 공법, 공사용발전기공법, 임시연계선공법, 등을 말한다.

 

직접송전공법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공법과 가지지장치를 이용한 공법 등을 말한다.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공법으로는 전주교체, 전선교체, 단상선로 삼상화 및 경과지 변경 작업을 시행할 수 있으며, 가지지장치를 이용한 공법으로는 1, 2 회선 직선주 교체, 직선 내장주 교체, 직선 내장 분기주 교체 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배전공사용 다기능 다가선 공법

배전선로 전선 가선 시 3상을 동시에 가선 할 수 있는 장치 및 공법으로써 전선을 땅에 닿지 않게 시설하므로 전선의 표면손상 및 킹크(Kink) 발생을 방지하여 시공품질을 높임과 동시에 작업의 효율성 등을 높여 경비절감을 제고시킨 공법

 

전선이선기구 이용 무정전 공법

무정전 배전 공사 시 바이패스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전선 이선기구를 이용하여 작업 공간을 확보한 후 기존 활선전선을 이선함으로써 신구 전선을 바이패스시켜 순차적인 전기의 분리연결에 의한 무정전 배전공사를 시행하는 직접송전공법

 

위상변환 바이패스장치 이용 무정전공법

위상변환 바이패스 장치을 이용한 저압무정전 변압기 공법은 기존 변압기 3대중 2대의 변압기 2상 전원을 3상전원으로 변환하여 교체하고자 하는 변압기에 2차측 저압 바이패스 연결하여 무정전 상태에서 변압기를 교체하는 공법

 

전선로 가지지 장치이용 무정전공법

오가크레인에 별도로 제작한 가지지장치를 장착하여 전선로를 가지지한 상태로 직접 송전하면서 무정전 배전공사를 시행하는 공법

 

원형근가 이용 지선공사 공법

기존 장방형 근가를 대체한 원형지선근가를 확장형 스크루를 장착한 오거크레인을 이용하여 확장된 구덩이에 설치하는 기계화 지선공법

 

아치형 전주근가 공법

기존 장방향 전주근가를 대체한 아치형 근가를 확장형 스크루를 장착한 오거크레인을 이용하여 확장된 구덩이에 설치하는 근가 공법

 

중공 스크루로드를 이용한 접지전극 동시 매설공법

중심부가 비어있는 중공 스크루로드의 최하단에 코어를 부착하고 그 코어의 중심부에 봉형접지전극을 직렬(2 4)연결하여 중공스크루로드가 장착된 오거크레인을 회전시켜 땅 속으로 중공스크루로드가 삽입되면 중공에 가압된 물을 주입하면 코어에 강한 수압이 작용하여 코어가 중공스크루로드와 분리되어 봉형접지전극이 땅 속 깊은 곳에 위치하게 하는 공법

 

지중전선로 (地中電線路, Underground Electric Cable Line)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이와 유사한 곳과 전기사용 장소에서 상호간의 전력공급을 위해 매설된 지중설비를 총칭한다. 지중선로는 가공설비에 비해 약20배의 투자비가 소요되며 잦은 굴착이 곤란하고 고장시 복구가 어렵기 때문에 초기 시설검토에 유의해야 한다. 지중전선로는 전기설비기술기준 등 관련법규의 제한을 받거나 발변전소 인출구 등 회선수가 많아 가공선로 시설이 곤란한 경우에 적용한다.

 

특고압 지중배전 계통

(特高壓地中配電系統, High Voltage Underground Distribution System)

변전소에서 인출된 간선은 고장시 부하전환이 가능토록 다중연계 선로로 구성하며 지중변압기 및 고압 수전 고객은 지상개폐기로 분기선로를 구성해 공급한다. 간선 케이블의 규격은 200, 325, 600를 사용하며 변압기 공급분기선로는 60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간선에 사용하는 개폐기는 4회로용, 인입용은 3회로용을 사용하며 이를 초과하는 다분기 개소는 56회로용 개폐기를 사용한다.

 

저압 지중배전 계통

(低壓地中配電系統, Low Voltage Underground Distribution System)

저압선은 변압기로부터 전기사용장소까지 수지상 계통으로 구성하되 공급신뢰도가 요구되는 고객(지역)은 변압기를 달리한 개방환상방식으로 공급가능하며 지중인입선은 T인입방식 구성을 원칙으로 한다. 지중저압 배전방식은 34선식 220/380V를 원칙으로 하며, 동력부

하 사용전망이 없고 전등부하의 부하전망이 75kW 미만일 경우는 단상 2선식220V를 적용할 수 있다. 단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33선식 220V 동력은 접지계통에서는 단상변압기 2대로 역V결선하고, 비접지 계통에서는 V결선 변압기로 공급한다.

 

지자체요청 지중화

(地自體要請地中化, Construction Underground Distribution System)

전기사업법(이하 이라 한다) 72조의2(가공전선로의 지중이설) 가공배전선로의 지중이설사업 운영기준고시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이하 지자체장라 한다)의 요청에 따라 가공배전선로 및 법 제20조 제2항에 따라 설치한 전기통신선로(이하 가공배전선로 및 전기통신선로라 한다)를 지중화하는 사업으로 가공배전선로의 지중화사업 평가기준에 따라 심사점수 평가하여 지자체의 50%이상의 비용부담이 있을 경우 시행한다.

 

지중시설물 (地中施設物, Underground Facilities)

케이블 및 그 부속재를 설치하기 위한 관로, 맨홀, 핸드홀, 덕트, 전력구, 배전스테이션, 공동구 등을 포함한 구조물을 말한다

 

배전 스테이션 (Distribution Station)

다수의 지중배전기기를 집합설치하고 건물(지하구조물)에 수납하여 시설하는 대용량 배전전력공급 시스템을 말하며 옥내형, 지하형, 옥내 복합형이 있다.

옥내형은 차단기, 건식변압기, 저압차단기 등의 배전설비를 전용건물 내부에 설치하고, 지하에 케이블 처리실을 두어 스테이션을 출입하는 케이블을 처리하는 구조를 갖는 형태로, 기기설치 위치에 따라 지상형과 지하형으로 세분할 수 있다.

지하형은 차단기, 건식변압기, 저압차단기 등 배전설비를 건물이 아닌 도로(공원) 등 지하에 구축한 구조물에 설치하고, 전력구 또는 관로를 연결하여 스테이션을 출입하는 케이블을 처리하는 구조를 갖는다.

옥내복합형은 옥내형과 유사한 형태로서 스테이션 이외의 다른 용도(사무실, 오피스텔, 상가, 아파트 등)로 도 이용할 수 있는 복합용도의 건물내에 배전설비를 설치하는 형태로 옥내형과 지하형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률반경  (0) 2017.02.24
절연열화 현상   (0) 2017.02.24
가공지선  (0) 2017.02.24
시설물 이격거리   (0) 2017.02.24
지선밴드 (Bands for Guys)  (0) 2017.02.24

 

특고압용 COS (Cut Out Switch)

과전류 차단 기능을 가지고 있어 변압기 1차측 또는 단상 분기선로 의 개폐 및 보호장치로 사용되는 자재이다. 과전류에 의해 퓨즈 용단시 퓨즈 홀더가 자동 탈락하는 구조이며, 퓨즈링크의 용단특성은 ANSI/NEMA에서 K(Fast) T(Slow) Type으로 구분하는데 한전에서 는 K Type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퓨즈링크는 변압기의 과부하 보호보다는 내부의 혼촉 사고 시 계통으로 부터 고장을 분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COS 몸체 재료로 자기제를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 폴리머를 사용한 COS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고압 퓨즈링크 (Fuse Link for 22.9kV)

COS 퓨즈홀더에 삽입하여 변압기 권선단락과 같은 고장 발생와 과부하시 용단되도록 만든 것이다. 변압기 용량에 적합한 사양의 퓨즈링크를 사용하여야 한다. (퓨즈링크 정격전류 1, 2, 3, 5, 8, 10, 15A)

 

내오손용 결합애자 (耐汚損用結合碍子)

염진해 오손지역에서 특고압 COS 또는 피뢰기의 절연성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이들과 완철 중간에 설치하는 애자를 말한다. 재질에 따라 자기제와 PVC제 결합애자로 구분한다.

 

분기고리 (Stirrup)

고압 및 특고압 배전선과 변압기 1차 인하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전력선에 압축 접속하

는 자재이다

 

활선클램프 (Live-Wire Clamps)

특고압 배전선으로부터 주상 변압기 1차 인하선을 분리 및 연결시 활선작업이 가능토록

분기고리에 설치하는 클램프를 말한다.

 

배전용 자동 전압조정기 (Distribution Step Voltage Regulator)

22.9-y 장거리 배전선로의 중간에 설치하여 배전전압을 자동 조정함으로써 선로 말단 전압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주상용 기기를 말한다.

 

식물성절연유 (Natural Ester, Vegetable Oil)

, 옥수수 등 식물씨앗에서 추출한 천연에스터로 90년대 중반부터 개발되어 주로 북미지역 전력회사에서 사용중에 있으며, 기존 광유(Mineral Oil)에 비하여 생분해도가 높아 환경친화적이며 발화점/인화점이 높아 난연성능이 우수함

생분해도(Biodegradation) : 세제, 비누 등 유기질이 무기질(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정도를 나타냄

 

극성시험 (極性試驗, Polarity test)

변압기의 극성을 확인하는 시험으로 변압기의 극성에는 감극성과 가극성이 있으며, 감극성을 표준으로 한다.

 

변압비(권수비) 시험

변압비 시험은 변압기 1, 2차 코일의 권수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디지탈 권수비 오차 시험기를 사용하여 전압 Tap별로 측정한다. 변압비의 허용오차는 지정 변압비의 ±1/250 이다.

 

무부하전류 및 무부하손실

(無負荷電流, 無負 荷損失,No-load current & No-load loss)

변압기의 손실은 부하전류의 대소에 관계없는 무부하손과 부하전류에 관계되는 부하손이 있다. 무부하손은 철심중의 히스테리시스손이나 와전류손 즉, 철손과 여자전류에 의한 저항손과 절연체 중의 유전체손이 있으나 대부분이 철손이다.

부하손은 부하전류에 의하여 권선에 발생하는 저항손 즉, 동손과 누설자속에 의하여 권선, 조임금구, 외함 등에서 발생하는 표류부하손이 있으며, 동손이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다. 이때 철손과 동손을 제외한 손실은 매우 작기 때문에 철손과 동손의 합을 전손실 이라 한다. 변압기에 전압을 가하면 변압기 철심에는 교번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한 여자전류가 흐른다, 자속의 방향이 반대방향때마다 철심 내에 남아있는 잔류자기를 없애기 위해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된다. 이 손실의 유효분이 무부하손에 대응되며, 그의 대부분이 철손이다. 또한 무효분은 철손의 자화에 대응되며, 이것이 히스테리시스 손실이다. 이히스테리시스손의 크기는 자성체의 히스테리시스 곡선(Hysteresis loop)내의 면적과 같다. 변압기의 무부하손

중에는 실제로 철손 이외에 동손과 유전체손도 포함되어있으나 이 손실은 대단히 작다. 5%의 여자전류에 의해서 생기는 동손은 순환전류가 없는 것으로 한다면, 전부하시에 있어서 1차 권선의 0.25%정도로 무시할 정도이다.

 

누유 시험 (漏油試驗, Oil leak test)

온도가 충분히 상승된 상태(포화상태)에서 압력을 가하여 내부압력 0.5/상태로 누유여부를 시험하는 것으로, 상부카바와 외함사이, 1차붓싱과 카바사이, 2차붓싱과 외함사이의 패킹부분등에 대하여 관찰한다.

 

단락강도 시험 (短絡强度試驗, Short circuit strength test)

변압기 부하측 단락(short)고장 발생시 고장전류에 의한 변압기 내부의 기계적, 전기적 강도 유지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절연유 시험 (絶緣油試驗, Insulating oil test)

변압기 탱크에서 절연유를 발췌하여 화학적으로 분석하는 시험이다. 절연유는 폴리염화비페닐(Poly Chlorinated Biphenyle : PCB)이 함유되지 않아야 한다.

 

접지동봉 (接地銅棒, Ground Rods)

접지를 위해 땅 속에 묻는 금속봉을 말한다. 단순한 강봉에 동피막을 입히고 나동선을 스리브로 접속하여 사용한다. 동봉과 리드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재료비의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대지저항률이 낮은 지역에서 매우 좋은 성능을 발휘하는 장점이 있다. 단점은 대지저항률이 높은 지역이나 암반지역에서는 시공시 접지봉이 부러지거나 구부러져 시공이 매우 어렵고, 아주 많은 수의 접지봉이 사용되며, 접지 성능도 크게 저하된다. 또한 부식에 의한 접지봉의 손상이 빠르게 진행되므로 접지의 수명이 매우 짧다.

 

심타용 용융아연도금 접지봉 (Hot Deep Galvanized Ground Rods)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땅속 깊이 심타 시공이 가능하며, 암석지역에서 더욱 작업성이 용이하게 만든 접지봉을 말한다. SM45C 기계구조용 탄소강재를 채택하여 충분한 강도가 확보되며 굵기는 25로 봉이 휘어지지 않는 최적의 굵기로 산정하고, 길이는 800로 하여 암석과 접촉시 기계장치로 타격하여도 봉이 휘어지지 않는 길이이다. 접속부는 기존 커플링방식에서 나사식으로 부식되지 않도록 수밀형의 도전성 컴파운드로 충진되어 부식에도 강하다.

기초부 리드단자 타격용 핀

 

도전성 콘크리트 접지봉((The Conductive Concrete Ground Rod(Plate))

또는 형상으로 고강도 시멘트에 도전성이 우수한 재료(접지저항 저감제 등)를 균일하게 혼합 제작한 것으로, 접지동봉에 비해 고가(봉 은 9.9, 판은 6.3)이며, 암반지역을 제외한 일반적인 장소에 장비(오가크레인 등)를 이용하여 굴착 시공한다.

 

완철접지 클램프 (Grounding clamp for Steel Crossarms)

배전선로용 완철에 접지선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자재로서, 접지선을 삽입하고 너트를 완전히 조인다.

 

접지저항 저감제 (接地抵抗低減劑)

접지공사시 접지저항을 저감시켜주는 것으로 무공해성 저감제와 고강도 저감제가 있다. 무공해성 저감제의 조성재료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분산제(무기충전제), 도전성 탄소분말 또는 탄소섬유, 반응 조정제(무기염)이며, 고강도 저감제의 경우 세골재(규사)를 추가한다.

 

접지몰딩 (Ground Moulding)

접지선 노출 시공 시 접지선을 보호하기 위한 자재로 밴드고리를 이용하여 전주에 부착한다.

 

내뢰혼 (Current Limiting Arcing Horn)

배전계통에서 낙뢰 및 서지로부터 절연전선 섬락단선 및 LP 애자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자재이다. 본체는 ZnO 한류소자를 내장하고 Polymer Rubber로 밀봉하였으며, 링혼은 본체와 연결되어 전선과 본체 방전 전극간의 섬락경로를 형성한다. 고정부는 본체를 완철하부에 취부하여 대지에 방전경로를 형성시킨다.

 

피뢰기 (避雷器, Lightning Arrester)

교류 전력계통에서 뇌 또는 회로개폐에 의한 과전압을 제한하며 속류를 차단하는 보호장치를 말한다. 배전용 피뢰기는 정격전압 18kV급이 사용되며, 재질에 따라 자기제와 폴리머 피뢰기로 구분된다. 자기제 피뢰기의 공칭방전전류는 2.5kA, 폴리머 피뢰기는 5.0kA이다. 특성요소로 ZnO 소자를 사용한 Gapless형 피뢰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폴리머 피뢰기는 오손등급 B급 이상의 염진해 지역에 사용한다.

 

가공지선 (架空地線, Overhead Ground Wires)

뇌로부터 배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체 위쪽에 배전선과 평행하게 가설한 금속선을 말한다. 배전용 가공지선에 는 일반적으로 아연도강연선 22이 사용되며, 염진해 지역에서는 나경동연선 22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가공지선의 차폐각은 45°이며, 가공지선 지지대에 설치된다.

 

가공지선 지지대 (架空地線支持臺, Supporter for Overhead Ground Wires)

배전선로에서 전주의 상단 끝부분과 결합하여 가공지선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자재로서,

사용용도에 따라 일반형과 편출용으로 구분한다. 편출용 가공지선 지지대는 전주의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500mm 이상 이격 될 수 있는 구조이다.

 

가공지선용 인류클램프 (Deadend Clamps for Overhead Ground Wires)

내장주 또는 인류주에서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고정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자재

이다.

 

인입선 (引入線, Service Wire)

전선로의 지지물 등으로부터 전기사용장소의 인입선 접속점에 이르는 전선을 말한다. 인입선은 전압에 따라 고압인입선과 저압인입선으로 나누어지고, 시설방법에 따라 가공인입선과 지중인입선으로 분류된다. 가공인입선으로 옥외용 비닐절연전선(OW전선), DV전선, 600V CV 전력케이블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600V CV 전력 케이블 (Cross linked polyethylene insulated cable for 600V)

경동선에 가교폴리에틸렌의 절연재와 비닐보호피재로 피복한 저압용 전선으로, 저압 지중선용 또는 가공저압배전선로 및 복잡한 인입선정비를 위하여 활용하며 가공인입선의 경우 다심케이블을 사용하고 지중인입선의 경우 단심 케이블을 사용한다. 내열성 및 내약품성, 내유성이 우수하다.(공칭단면적 종류 25, 35, 70, 120, 240, 300)

 

인입선완철(Polyvinyl Chloride Insulated Drop Wires)

가옥 측 인입점에서 인입선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완철로서, 길이 500, 1000, 1500mm를 사용한다.

 

인입용 PVC 인류애자 (Polyvinyl Chloride Strain Insulators for Drop Wires)

주상 및 가옥 측 인입선 완철에 설치하여 가공 저압인입선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애자를 말한다.

 

인입선 걸이 (Hooks for Service Drop Lines)

인입선을 메신저 와이어에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자재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연열화 현상   (0) 2017.02.24
가섭선 (架涉線, Strung wire)  (0) 2017.02.24
시설물 이격거리   (0) 2017.02.24
지선밴드 (Bands for Guys)  (0) 2017.02.24
지선 (支線, Guy Wire)  (0) 2017.02.24


 

소켓크레비스 (Socket Clevises)

가공 배전선로에서 전선로의 수직각도가 15˚이상일 경우 경완철용 볼쇄클과 소켓아이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자재

 

볼아이 (Ball Eyes)

전선로의 수직각도가 15˚ 이상일 경우 현수애자와 인장 클램프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자재

 

스트랍 (Straps)

저압 가공배전선이나 인입선의 인류애자 지지에 사용하는 자재로 서, 인입선용과 저압선용 2 종류가 있으며 인장하중은 600kg이다.

 

인류스트랍 (Terminal Straps)

특고압 중성선인 알루미늄전선을 저압인류애자와 조합하여 고정시키는데 사용한다. 인장하중이 1,200kg이므로 장경간 등 하중이 많이 걸리는 장소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동 전선 (Copper Conductors)

도전재료로 동을 사용한 전선을 말한다. 동 전선의 종류로는 경동연선(WO전선), 옥외용 비닐절연전선(OW전선), 저압 수밀형 비닐절연전선(OW-W전선), 특고압 수밀형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동전선(OC-W전선), 인입용 비닐절연전선(DV전선) 등이 있다.

 

경동연선(WO전선)

경동선으로 된 여러 가닥의 소선을 꼬아서 합친 전선으로 염해지역 특고압 중성선, 도심지의 특고저압 공용중성선에 사용된다. (공칭단면적 종류 22, 38, 60, 100, 150)

 

옥외용 비닐절연전선(OW전선)

경동선을 도체로 하여 폴리염화비닐수지(PVC)로 피복한 절연전선을 말한다. 저압 전압선 및 주상변압기 2차인하선으로 사용된다. (공칭단면적 종류 22, 38, 60, 100, 150)

 

저압 수밀형 비닐절연전선(OW-W전선)

빗물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체와 도체의 틈, 도체와 절연체의 틈을 컴파운드로 충진한 절연전선을 말한다. 공단 등 오손지역 저압 전압선으로 사용되고 있다. (공칭단면적 종류 22, 38, 60, 100, 150)

 

특고압 수밀형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동전선 (OC-W전선)

절연체로 가교폴리에틸렌(XLPE)를 사용하고, 빗물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체와 도체의 틈, 도체와 절연체의 틈을 컴파운드로 충진한 절연전선을 말한다. 개폐기 인하선, 염진해지역 특고압 전압선으로 사용된다. (공칭 단면적 종류 38, 60, 100, 150

 

인입용 비닐절연전선(DV전선)

600V 이하의 주로 가공 인입선에 사용하는 염화비닐수지로 피복된 다심의 절연전선을 말한다. 대부분 소선직경 3.2mm를 사용하며, 접지측은 녹색, 전압측은 흑색, 청색, 회색으로 구분한다.

 

강심 알루미늄 연선 (ACSR)

알루미늄 선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중심에 강선 또는 강연선을 넣은 전선이다. 기계적 강도는 강심에 의해, 전기의 전도는 알루미늄에 의해 이루어진다. 주로 가공 송전선, 배전선로 특고압 중성선으로 사용된다. (공칭단면적 종류 32, 58, 95, 97, 160, 240)

 

알루미늄피복 강심 알루미늄 연선(ACSR/AW)

알루미늄으로 피복된 강심을 사용한 전선으로 ACSR 전선과 규격 및 인장하중 등은 동일하며, 전기저항이 ACSR 전선에 비해 양호한 특성을 갖는다. (공칭단면적 종류 32, 58, 95, 97, 160, 240)

 

특고압 강심 알루미늄 절연전선(ACSR-OC)

ACSR 전선을 가교폴리에틸렌(XLPE)으로 피복한 절연 전선을 말한다. (공칭단면적 종류 32, 58, 95, 160)

 

알루미늄 피복 강심 알루미늄 절연전선 (ACSR/AW-OC)

ACSR/AW 전선을 가교폴리에틸렌(XLPE)으로 피복한 절연전선을 말한다. ACSR-OC 전선과 가격이 거의 동일한 반면 내부식 특성이 우수하고 손실감소효과가 있어 특고압 배전용 전선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공칭단면적 종류 32, 58, 95, 160, 240)

 

트래킹억제형 수밀 알루미늄피복 강심

알루미늄 절연전선(ACSR/AW-TR-OC) 절연층과 외피를 분리한 2중구조를 채용하여 절연 성능과 트래킹 성능을 기존전선에 비해 향상시켰으며, 도체의 수밀구조 채용으로 수분침투에 따른 단선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전선이다. 트래킹 성능 약 2, 절연성능50%정도 향상된 제품으로 오손등급 B이상 및 트래킹발생 우려지역의 특고압 전선으로 사용된다. (공칭단면 적 종류 58, 95, 160, 240)

 

전선 소요량 (電線所要量)

전선을 가선시 실 소요량은 선로가 평탄할 때 선로긍장과 전선조수의 곱에 10%를 가산하며, 장경간이거나 선로의 고저가 심한 경우 등 특별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전선 철거시에는 선로긍장과 전선조수의 곱으로 산정한다.

 

전선 이도 (弛度, Dip)

전선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수직거리를 말한다.

 

알루미늄선용 분기스리브

장력이 걸리지 않는 개소의 알루미늄전선 상호간 또는 알루미늄전선과 동선의 접속개소에 사용되는 자재이다. 주로 사용되는 개소는 본선과 장력이 걸리지 않는 잠바선 또는 분기선의 접속, 알루미늄 저압본선과 변압기 2차 인하선의 접속, 기기류의 리드선 접속, 알루미늄 중성선과 완철 접지선의 분기 접속 등이다. 알루미늄전선과 동선을 접속할 경우 동선은 알루미늄전선 하단에 위치시켜 접속하여야 한다.

 

알루미늄선용 보수스리브

알루미늄전선 표면에 경미한 손상(전체 소선 중 10% 미만 소선절단)을 받았을 때 전선강도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자재이다. 보수스리브에는 도전성 컴파운드가 내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컴파운드를 충분히 도포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압축형 이질금속 스리브

장력이 걸리지 않는 개소의 알루미늄전선과 동선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재이

.

 

분기 접속용 동스리브

장력이 걸리지 않는 개소에서 동선과 동선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재이다.

 

알루미늄 접속 컴파운드 (Compound)

내열성이 높은 광유계의 그리이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전기적, 기계적 접속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속 입자와 마찰강화제, 산화방지제 등 무기물로 제조된 제품이다. 컴파운드를 사용함으로써 접촉면의 산화피막 생성을 방지하고, 접속부 접촉저항을 감소시켜 도전성을 향상시키며, 수분침투를 방지하여 전선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컴파운드를 바르기 전에 알루미늄전선의 산화피막을 알루미늄 브러시로 제거하여야 한다.

 

절연관통형 커넥터 (Insulation Piercing Connector)

저압 가공선로의 장력이 걸리지 않는 피복동선 사용개소에서 절연피복을 벗기지

않고 본선과 본선, 본선과 분기선을 직접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자재이다. 절연관

통형 커넥터 사용 시 저압선의 간편한 접속시공 및 접속개소의 완벽한 절연보강이 가능하다. 주상변압기 2차 인하선과 저압선(OW전선)과의 접속점, 저압선과 인입선의 접속점, 기타 분기개소 접속점에 사용된다.

 

이중절연 자기융착 테이프 (Two-layer self bonding insulating tape)

가공 및 지중 배전선로의 전선 및 케이블의 접속부에 절연이나 방수용으로 사용하는 테이프이다. 재질은 점착성있는 부틸고무와 폴리에틸렌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인드리스 LP카바

22.9-y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절연전선을 라인포스트애자에 고정 시 바인드선 대신에 사용하는 절연커버로서 염진해지역, 태풍다발지역 등에 사용된다.

바인드레스 LP커버 밴드 볼트 절연연결관

 

충전부 절연커버 (Insulated cover for charging part)

절연전선을 사용한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충전부의 절연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자재이다. 재질은 폴리에틸렌 혼합물 및 합성고무 혼합물이며, 건조 내전압 30kV/1, 주수 내전압 20kV/1, 흡수율 0.01% 이하, 내한성 및 내열성, 내트래킹성, 내후성이 양호한 특성을 갖는다. 절연커버 종류 및 적용개소는 아래표와 같다.

 

시설물 이격거리 (離隔距離, Separation distance)

기상, 이도 등 예상되는 최악 조건하에서 전선로와 다른 시설물 또는 식물 등과 이격되어야 할 규정된 최단거리를 말한다.

 

보호선 및 보호망 (Guard wire & Guard net)

특고압, 고압 또는 저압 가공전선이 가공약전류전선이나 광섬유케이블, 안테나, 삭도, 교류전차선 또는 가공송전선과 교차접근하는 경우에 전선이 튀어오르거나 늘어짐으로써 발생하는 혼촉에 의한 위험전압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설하는 것을 말한다. 보호선은 인장강도 8.01kN 이상의 것 또는 지름 5mm 이상의 경동선을 사용한다.

 

주상변압기 (柱上變壓器, Pole Transformers)

전주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변압기를 말하며, 1차정격전압 13,200V, 2차정격전압 230V의 변압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변압기의 내부구조는 철심, 1차권선, 2차권선, 탭 절환기 등이 있으며, 외부에는 방압밸브와 방열판, 부싱단자, 접지단자 등이 있다. 철심은 일반적으로 규소 강판을 사용하며, 권선용 도체는 전기동, 절연유는 광유를 사용하고 있다.

 

아몰퍼스 주상변압기 (Amorphous Core Type Pole Transformers)

아몰퍼스 변압기는 지금까지의 변압기 철심소재인 방향성 규소 강판을 사용하여 제작하던 방식을 탈피하여 철(Fe), 붕소(B)와 규소(Si)의 혼합물을 용융 후 급속 냉각으로 불규칙한 원자배열 구조를 갖는 Amorphous Metal을 철심 소재로 사용하여 전력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도 발생하는 무부하 손실을 기존 규소강판 변압기에 비해 1/5수준으로 줄인 획기적인 제품이다. 아몰퍼스변압기는 저손실 변압기 대비 철손을 70% 감소시킬 수 있는 반면 가격은 약 30% 더 비싸다.

 

보호장치 내장형 주상변압기 (Self Protected Type Pole Transformers)

보호장치 내장형 변압기를 흔히 CSP변압기라고 부르며. 특고압 가공케이블 ABC가 시설된 지역에서 사용하는 변압기로 내부에 유중피뢰기 및 1차측 차단기가 내장되어 있고 이물질이 접촉되어도 고장이 발생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종류로는 접속함식과 단말처리식이 있으며 접속함식은 1차인하선 2.5m 을 별도로 접속하고, 도심지에서 주로 사용하며, 단말식은 산악지 등에서 1차인하선 또한 변압기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주상변압기 행거밴드 (Hanger Bands for Pole Transformers)

변압기를 전주에 설치하는데 사용하는 자재로 상부용과 하부용이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섭선 (架涉線, Strung wire)  (0) 2017.02.24
가공지선  (0) 2017.02.24
지선밴드 (Bands for Guys)  (0) 2017.02.24
지선 (支線, Guy Wire)  (0) 2017.02.24
위상변이 연산  (0) 2017.02.24


 

지선밴드 (Bands for Guys)

지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전주에 설치하는 자재이다. 지선밴드의 종류로는 2, 3, 4방용이 있으며 주로 2방용 지선밴드가 사용되고 있다.

 

지선그립 (Grips for Guys)

전주와 지선, 지선 상호간, 지선과 지선로드를 쉽게 연결하기 위해 5개의 소선을 꼬아

만든 자재이다.

 

아연도 강연선 (Galvanized Steel Wire Strands)

부식방지를 위해 아연도금 된 2개 이상의 강선을 꼬아 만든 선을 말한다. 배전설비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지선용 구형애자 (求刑碍子, Ball type insulator)

전주의 지선 중앙에 설치하여 전압선과 지선 접촉 시 지상의 인체에 대한 감전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절연용 애자(내전압 15kV/1분간)

 

지선로드 (Anchor Rod)

전주의 지선과 지표면하에 매설되는 지선용 근가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자재이다.

 

지선커버 (Covers for Guys)

전주에 설치된 지선의 표시 및 방호용으로 사용되는 자재

 

지선캡 (Caps for Guys)

야외지역 배전선로의 지선에 설치하여 식물이 지선을 타고 기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하는 원뿔 모양의 자재

 

지선용 근가 (根枷, Concrete Anchor Blocks for Guys)

지선에 연결되는 지선로드를 지표면하에서 고정 및 지지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말한다.

 

지주 (支柱, Stay Pole)

전선로를 지지하고 있는 본주에 또 다른 전주를 빗대어 시설하는 전주이다. 지주는 사용목적에 따라 보통지주와 지선주로 구분한다.

 

지선주

장력의 반대방향으로 약 80° 경사시켜 말구로부터 25cm 되는 곳에 장력과 반대측 방향으로 보통지선을 시설한 전주이다.

 

장주 (裝柱, Pole Fittings)

배전선로의 지지물에서 전선로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장치들(전선을 제외한다)을 장주라 한다. 장주에 사용되는 대표적 부속자재로는 완철, 랰크와 애자가 있다. 배열에 따라 보통장주, 창출장주, 편출장주로 구분하며,

형태에 따라 인류장주, 내장주, 핀장주로 구분한다.

완철

경완철,형 완철 ,단일형내장완철

완철밴드

육각 볼트너트

암타이

암타이 및 랙크밴드

편출용 D형 랙크

1선용 랙크

 

배열에 따른 구분

보통장주, 창출장주, 편출장주

 

형태에 따른 구분

인류장주, 내장장주, 핀장주

 

완철 (腕鐵, Steel Crossarms)

가공배전선로의 전주에서 전선 지지용 애자 및 각종 기기 등을 설치하기 위한 사용되는 자재를 말한다. 완철의 종류에는 경완철, 형완철, 단일형내장완철이 있다.

 

경완철(Square Type)

4각형 모양을 갖는 완철로서 길이는 9002,400mm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장주공사에 사

용한다.

 

• ㄱ(L Type)

자 모양을 갖는 완철로서, 배전선로에서는 경완철 규격이 없는 3,200mm의 완철이 필

요한 특수한 개소에 사용한다.

 

단일형 내장완철 (Unified Strain Crossarm)

조류둥지 조성 우려가 있는 겹완철 시공개소에 사용하는 완철로서, 길이는 2400mm

, 용도로는 보통장주용과 편창출장주용이 있다.

 

완철밴드 (Bands for Steel Crossarm)

배전선로의 미관개선 및 작업의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전주에 완철을 보통장주로 시설하

는 경우에 사용되는 자재이다. 완철밴드 종류로는 단완철 취부에 사용되는 1방용, 겹완철

취부에 사용되는 2방용, 단일형내장완철에 사용되는 단일형이 있다.

 

암타이 (Braces for Crossarms)

가공 배전선로의 전주에 설치된 완철을 지지하고 수평을 유지하는데 사용하는 자재로

, 창출 및 편출장주에 사용한다. 각암타이와 평암타이가 있으며, 길이는 750, 900,

1370mm를 사용한다.

 

암타이 및 랙크밴드 (Bands for Brace and Rack)

가공 배전선로에서 암타이나 랙크를 전주에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자재로서, 1방용과 2방용, 다각도용이 있다.

 

랙크 (Racks for Low Voltage Distribution)

저압 가공 배전선로에서 저압전선 수직배열시 사용하는 전선지지용 자재를 말한

. 1선용, 2선용, 3선용, 4선용이 있다.

 

편출용 D형 랙크 (D Type Racks for Low Voltage Distribution)

저압가공 배전선로에서 저압전선 수직배열시 측방 이격거리 미달개소에 사용하는 전선 지지용 자재를 말한다. 직선용과 내장용이 있다.

 

현수애자 (縣垂碍子, Suspension Insulators)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내장이나 인류개소에 사용하며, 적당한 개수를 직렬로 접속하여 지지물에서 현수시켜 사용하는 형태의 애자를 말한다. 재질에 따라 자기제와 폴리머로 구분한다.

 

볼소켓형 현수애자(Ball and Socket Type Suspension Insulators for Distribution)

자기제 애자이며, 보통 23개를 직렬로 접속하여 사용한다.

일반형 2(누설거리 210, 292mm) 및 내염형 1(누설거리 430mm)이 있다.

 

폴리머 현수애자(Polymer Suspension Insulators)

폴리머 재질의 애자로 자기제 애자에 비해 전기적인 특성이 양호하고 신뢰성이 높아 중요선로나 염진해 지역선로의 내장 및 인류개소에 주로 사용한다. 최소 누설거리는 A760mm, B580mm이다.

 

볼소켓형 현수애자

(1) 경완철

경완철 볼쇄클 현수애자 소켓아이 인장클램프 전선

(2) 형완철

①ㄱ형 완철 앵커쇄클 볼클레비스 현수애자 소켓아이 인장클램프 전선

 

폴리머 현수애자

경완철 경완철용 아이쇄클 폴리머 현수애자 인장클램프 전선

 

수직각도 15°이상개소

(1) 경완철

앵커쇄클 소켓아이 현수애자 볼아이 인장클램프

(2) 형완철

앵커쇄클 소켓아이 현수애자 볼아이 인장클램프

 

라인포스트애자 (Line Post Type Insulators)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에서 수평각도 15°미만개소와 내장 및 인류개소의 절연전선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자재이다. 재질에 따라 자기제와 폴리머로 구분한다.

 

자기제 라인포스트애자

자기제 라인포스트애자는 누설거리 559mm인 일반형과 712mm인 내염형이 있다. 애자 두부에 반도전성 유약이 발라져 있지 않으므로 절연전선에만 사용한다.

 

폴리머 라인포스트애자

폴리머 재료로 만든 애자로서 자기제 대비 발수성 및 내오손특성이 우수하며, 가벼워 취급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누설거리는 자기제 내염형과 동일한 712mm

이다.

 

저압 인류애자 (引留碍子, Shackle-type strain insulator)

저압 가공 배전선로의 내장개소 및 인류개소에서 저압전선과 인입선을 고정 및 지지하는

데 사용하는 애자이다. 인입선용, 저압 전압선용(백색), 접지 및 중성선용(녹색)이 있다.

 

경완철용 쇄클 (Shackles for Square Type Steel Crossarm)

현수애자를 경완철에 연결시키는 자재로서, 볼쇄클과 아이쇄클이 있다.

 

볼쇄클

자기제 현수애자를 경완철 연결시 사용

 

아이쇄클

폴리머 현수애자를 경완철 연결시 사용

 

인장클램프 (Deadend Clamps for Aluminum Conductors)

특고압 배전선로의 인류 및 내장개소에 현수애자와 조합하여 전선을 고정시키는 자재

 

소켓아이 (Socket Eyes)

자기제 현수애자와 인장클램프를 연결하거나, 형완철에서 볼크레비스와 폴리머 현수애자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재

 

앵커쇄클 (Anchor Shackle)

현수애자를 형완철에 연결하기 위하여 완철측에 설치되는 자재로서, 볼크레비스와 함께 사용된다.

 

볼크레비스 (Ball Clevises)

앵커쇄클과 자기제 현수애자를 연결하거나, 폴리머 현수애자의 경우 앵커쇄클과 소켓아이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자재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공지선  (0) 2017.02.24
시설물 이격거리   (0) 2017.02.24
지선 (支線, Guy Wire)  (0) 2017.02.24
위상변이 연산  (0) 2017.02.24
시퀀스 (Sequence)  (0) 2017.02.24


 

어드레스 체크(Address Check)

CPU가 실행할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읽어주며 어드레스가 정확한지 체크한다.

CPU가 잘못된 어드레스를 지정하면 응답이 없다.

 

Watch Dog Timer

CPU가 일정간격으로 프로그램 상에서 정해진 Point에서 Timer에 신호를 출력하여 주므로 프로그램의 정지, 폭주 등을 감시한다.

 

정정치 불일치 Check

다중화된 정정치 메모리의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체크한다.

 

롬 검사(Rom Check)

미지 고정 프로그램에서 연산을 실행해 소정의 연산결과로 얻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출력접점 검사

최종 출력접점 또는 트립지령 계전기 접점이 오동작 하는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출력부 검사

최종 출력접점 또는 트립지령 계전기 접점을 강제적으로 동작시켜 출력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점검한다.

 

고압배전계통

배전용변전소의 주변압기에서 인출되는 고압 배전선로로부터 고객단에 위치한 주상변압기까지를 말한다. 보통 22.9kV 34선식으로 공급되며, 고압 배전선로와 전주, 보호기기, 배전용변압기 등으로 구성된다. 일부 도서지역은 6.6kV 33선식으로 공급되고 있다.

 

저압배전계통

배전용변압기 이후의 전력계통으로서 보통 전등용과 동력용으로 나눈다. 전등용은 12선식 220V, 동력용은 34선식 380V로 공급되고 있다.

 

배전선로 (配電線路, Distribution Line)

배전선로는 발전소, 변전소 또는 송전선로로부터 다른 발전소 또는 변전소를 거치지 아니하고 전기수용장소에 이르는 전선로를 말한다. 이 배전선로를 이용해서 직접 고객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배전이라고 한다.

배전선로는 먼 거리까지 대용량전력을 송전하는 선로와 는 달리 여러 지역으로 분산되어 있는 고객에게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송전선로에 비해 전압은 낮고 전선로는 짧지만, 배전용 변전소에서 인출되는 회선수가 많고 각각의 회선은 전선로의 간선과 많은 분기선으로 복잡하게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배전간선

발전소 또는 변전소에서 전송된 전기를 도중 또는 말단까지 주된 부하를 공급 하는 배전선을 말한다.

 

배전분기선

배전간선으로부터 분기한 배전선을 말한다.

 

회 선 (回線, Feeder)

발전소 또는 변전소 인출구에 설치된 배전선용 차단기 또는 개폐기를 갖는 배전선로의 단위를 말한다.

 

배전전압 (配電電壓, Distribution Voltage)

배전선로의 정격전압을 의미하

 

전압강하율 (電壓降下率, Percentage Voltage Drop)

송전단과 수전단 간의 전압의 차이, 즉 선로전압 강하를 수전단 전압으로 나누어 %로 나타낸 것을 이른다.

 

배전선로 분할 및 연계 (配電線路分割連繫)

분할은 선로고장 발생 시 정전범위를 축소하기 위하여 구분개폐기로 적당한 구간을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계는 그 분할 구간에 대하여 공급여력을 갖고 있는 인접 배전선과의 연계선을 통해 역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국내 배전선로는 3분할 3연계를 기본으로 운영하고 있다.

 

가공배전방식 (架空配電方式, Features of Overhead Distribution System)

전주를 이용하여 전선, 주상변압기 등을 전주 위에 설치하는 배전계통 구성방법이다. 이 방식의 가장 큰 장점은 건설비가 저렴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연 상태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 바람, 태풍 등의 직접적인 영향

(2) 자외선으로 기자재들의 수명에 악영향

(3) 미관 측면에서 부정적 작용

 

전주 (電柱, Electric Pole)

전선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물로, 콘크리트전주, 강관 전주, 철주 및 철탑 등이 있다.

 

콘크리트전주 (Concrete Pole, CP)

철근과 시멘트를 사용하여 만든 전주로, 중심이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근입부분에 근가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구조이며, 몸체에는 접지선 사용을 위한 인입구와 인출구가 있고. 규격에 따라 정해진 수의 발판볼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멍이 좌우로 배열되어 있으며 완철을 설치할 수 있는 구멍들도 갖추고 있다. 콘크리트전주 말구의 직경은 190mm이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직경은 1/75의 비율로 증가한다. 설계하중에 따라 일반용, 중하중용, 고강도용으로 구분하고 있다.

 

배전용 강관전주 (Tubular Poles for Distribution Lines)

강관을 단일재로서 만들어지고 있는 전주. 콘크리트전주에 비해 약간 값이 비싸지만, 무게가 가볍고 시공이 쉬운 것이 특징이다. 배전용 강관전주는 일반형, 컬러형, 곡선형 등이 있다. 강관전주는 콘크리트전주의 운반이 어려운 곳, 콘크리트전주로 강도 및 길이를 얻기 어려운곳, 환경친화적인 설비구축이 필요한 곳, 지상의 장애물 또는 지하 매설물로 콘크리트전주의 시설이 어려운 곳에 사용된다.

 

배전용 철주 (Steel Post)

배전용 철주는 4개의 다리의 주각으로 구성되며 각 주각은 하나의 공통기초를 공유한다. 각 주각 사이는 완철이나 형강 등으로 연결되어 작은 4각형의 기둥모양으로 제작한 지지물을 지녔으며, 일반적으로 근개(각 다리의 지표면상 거리)가 작다. 하천이나 계곡 등 장경간 개소나 특수한 장소에서 콘크리트전주로는 필요한 강도나 길이를 얻기 어려운 경우나 공사상 필요한 경우에 사용한다.

 

배전용 철탑 (Steel Tower)

완철이나 강관을 사용하여 별개의 기초를 갖는 4개의 다리로 구성된 조립 구조물로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요구하는 강도와 상정하중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시설된 철탑을 말한다. 근개가 커서 상대적으로 넓은 설치면적을 필요로 한다. 원칙적으로 지선의 보강을 요하지 않는다. 배전철탑은 철주 이하의 지지물로 필요한 길이나 강도를 얻기 어려운 장소에 사용한다.

 

발판볼트 (Step Bolts)

지지물의 승주를 위해 콘크리트전주 등에 설치하는 볼트를 말한다. (규격 : M16×160mm)

 

전주번호찰 (電柱番號札, Number Plates for Electric Pole)

배전선로의 전산화 전주번호 및 전주일련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지표상 1.82.0m 높이에 전주표면에 완전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전주도색판 (電柱塗色板, Pole Guard Plates)

차량충돌 예방 및 불법광고물 부착 방지를 목적으로 전주 하단에 부착하는도색판을말한다.

 

콘크리트 근가

(根枷, Concrete Anchor Blocks)

전주나 지선의 맨 하단부에 전주, 지선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설치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전주용으로는 1.2M 근가, 지선용으로는 0.7M 근가를 사용한다. 근가는 지표면하 0.5m 깊이에 매설하고, 지반 연약장소의 경우 근가의 수를 증가하여 설치한다. 근가용 U 볼트를 사용하여 전주에 근가를 체결한다.

 

전주 근입 (根入, Electric Pole Penetration)

전주 중 땅속에 들어가는 부분을 말한다.

 

지선 (支線, Guy Wire)

지지물의 절손, 도괴, 및 경사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물과 지지물간 또는 지지물과 지선근가간을 연결하는 선을 말하며, 주로 아연도강연선이 사용된다. 지선은 사용목적이나 형태에 따라 보통지선, 수평지선, 공동지선, Y지선 및 궁지선으로 분류하며 전주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라 인류지선, 각도지선, 양종지선 및 양횡지선으로 분류한다.

 

. 사용목적에 따른 형태별 분류


보통지선

전주근원으로부터 전주길이의 약 1/2 거리에 지선용 근가를 매설하여 설치하는 지선으

로서 일반적인 경우에 사용된다.

 

수평지선

토지의 상황이나 그외 사유로 인하여 보통지선을 시설할 수 없을 때 전주와 전주간 또는 전주와 지선 주간에 시설한 지선

 

공동지선

두 개의 전주에 공동으로 시설하는 지선으로서 전주 상호 거리가 비교적 접근해 있을 경

우에 시설

 

Y지선

H주일 때 현장여건상 전주별로 별도 보통지선 설치가 곤란하거나 1개의 지선용 근가로 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 1개의 지선 롯드 및 근가로 2단의 지선을 부설하는 것

 

궁지선

비교적 장력이 작고 타 종류의 지선을 시설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으로 지선용 근가를 전주 근원 가까이 매설하여 시설하며 시공방법에 따라 A형과 R형으로 구분 한다.

. 장력방향에 따른 분류

- 횡지선 : 전선로와 직각방향으로 시설하는 것

- 종지선 : 전선로의 방향으로 시설하는 것

- 인류지선: 전선로의 시작, 종단, 분기 또는 각도개소에서 전주를 중심으로 전선로의 반대 방향으로 시설 하는 것

- 각도지선 : 수평각도주에서 수평횡분력의 반대방향으로 시설하는 것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설물 이격거리   (0) 2017.02.24
지선밴드 (Bands for Guys)  (0) 2017.02.24
위상변이 연산  (0) 2017.02.24
시퀀스 (Sequence)  (0) 2017.02.24
자동제어 기구번호  (0) 2017.02.24

 

디지털 필터(Digital Filter)

전력계통의 아날로그 신호들(전압,전류)은 정상적인 계통 운전조건에서도 고조파(전력용 변압기, 인버터, 컨버터, 부하 등과 같은 요소에 의해 발생됨)를 함유한다.

이에 반해 보호계전기는 일정한 주기를 갖는 신호(기본파)를 기준으로 동작력이 계산되므로, 고조파가 함유된 왜형 신호가 보호계전기로 입력되는 경우 주기가 변하게 되어 오동작 또는 부동작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보호계전기 오부동작의 원인이 되는 고조파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디지털필터라고 하며 계산방식에 따라 Fourier Filter, Kalman Filter 등이 있다.

 

Sampling holder

Filter에서 출력되는 Analog값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표본화(sampling)하기 위하여 Sampling 값을 일정시간 Holding시키는 것으로 동작원리는 그림과 같다. CT, PT 신호값을 같은시간에 Sampling하여야 하기 때문에 각 입력마다 S/H 회로를 구비한다. digital 계전기의 sampling 주파수는 보호방식별 연산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되는데 보통 12-16/주기로 시행한다.

 

데이터 선택기(Multiplex;MUX)

많은 수의 정보장치를 적은 수의 채널이나 회선 등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말하며 멀티플렉서는 많은 입력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에 연결하는 조합회로이다.

일반적으로 각 스위치는 FET를 이용한 전자 스위치로 구성되며 절환신호주기는 모든 입력찬넬에 1 Sampling 주기동안 1회 정도 하도록 되어 있다.

 

A/D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

A/D 변환기는 CT 또는 PT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부분으로 디지털 보호계전기에서는 1216Bit 정도의 A/D 변환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A/D 변환기의 종류에는 적분형, 축차비교형 등이 있으나 디지털 계전기에서는 그 특성상 변환속도가 빠른 것이 요구되므로 축차비교형(Comparision Type)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축차비교 레지스터(Comparision Register)에 설정되어 있는 디지털 값을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입력신호와 그 결과를 비교한 후 레지스터에 궤환시켜 다시 디지털 값을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신호와 비교하는 동작을 반복하므로서 A/D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 연산처리부

디지털 계전기는 전력계통의 전압전류신호를 일정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후 연산처리부에 서 계전기 동작 판정을 한다. 디지털 연산처리부는 제어보호연산을 수행하여 계전기 동작 판정을하는 부분으로 [그림 4]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부분별 구성은 가감승제 등의 연산을 행하는 CPU와 그 동작순서를 기억하고 있는 ROM, 판정기준 등을 정하는 정정부, 아날로그입력부에서의 A/D 변환 데이터와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간은 BUS라고 부르는 데이터 제어정보 등을 전송하는 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입출력부(Digital Input/Output)

입출력부는 디지털 연산처리부와 외부간에 Data를 상호전달하게 위한 연결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DI,DO)로 구성되어 있다. DI는 외부접점 신호중 디지털 연산처리부에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DO는 보호계전기의 Trip신호 연산 처리부의 자동감시 결과 등을 외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Flip-Flop, Transistor 회로를 이용한 Relay Driver를 통하여 연산처리부에서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점점신호 또는 보호계전기 기능수행에 필요한 신호형태로 출력한다.

 

정정부(Setting Unit)

디지털계전기의 정정부는 계전기 취급자와의 Man-Machine-Interface를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므로 조작성, 신뢰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정정부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정정치 check기능

운전중 정정 기능

3ψ일괄 정정 기능

 

PC(Photo Coupler)

무접점 소자로 전기신호를 일단 발광소자에 넣어 광신호로 바꾸고 그 광신호를 트랜지스터등의 광전변환 소자에 의하여 다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절연된 공간을 광으로 신호의 전달을 하므로 절연성과 속도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

 

연산 알고리즘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각 기능은 연산처리부 회로를 제어하며 보호계전기 연산을 행함으로서 실현되어 진다. 보호계전기 연산은 ROM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되어지며 이 프로그램은 보호계전기 기능을 실현하는 연산 알고리즘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기본 알고리즘으로는 교류입력에 대한 디지털 필터 처리연산 교류 입력에 대한 위상변이 연산 교류입력에 대한 진폭치 실험연산 위상각차 산출연산 등으로 4가지 형태의 기본 알고리즘을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한다.

 

디지털 필터(Digital Filter)

디지털 필터는 A/D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DC성분 및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다. 디지털 필터에는 연산된 출력을 다음회 연산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순회형 필터와 연산출력을 피드백하지 않는 비순회형 필터가 있다.

 

위상변이 연산

아날로그 계전기에는 콘덴서, 저항, 리액터, 연산증폭기 등의 회로소자로 사용하며 입력벡터의 위상변이 및 합성을 행하게 되거나 디지털 계전기는 샘플링 데이터를 일정하게 기억하는 것으로 위상변이를 실행할 수 있다.

60도 늦을 경우 : Vm Vm2

60도 앞설 경우 : Vm Vm2

or Vm-4

 

진폭치 산출연산(Amplitude Calculation)

입력교류의 진폭치 계산하는 기본알고리즘을 대변하면 결과를 1차로 하는 가산형과 결과를 2차로 하여 적체하는 적형(Multiplication Type)이 있다.

 

1) 면적법

면적법은 주로 가산을 사용하여 진폭치를 계산하는 방식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가산법으로 연산하므로 계산결과가 1차수로 얻어지며 연산시간이 짧아 연산 시간상 유리하다. 데이터를 가산하므로 인해 필터효과가 발생한다. 연산결과를 얻는데 비교적 많은 데이터를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보호계전기의 동작시간이 지연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2) 2차 가산법

면적법은 샘플링 위상에 의한 오차가 큰 것이 단점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이차가산법이다. Vm=|Vm+Vm-3+kVm-Vm-3

결과가 1차수형 으로 얻어지므로 연산시간상 유리하며

샘플링 위상의 영향으로 인한 오차가 매우적으며

필터효과가 크며 제3고조파의 경우 면적에 비하여 약8정도 감쇄율이 높아진다.

 

3) 진폭 2승법

진폭 2승법은 주로 승산에 활용되며 진폭의 2승값을 연산하는 방법이다. 특징으로는

원리적으로 연산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진폭치 연산에 요구되는 최소 데이터 즉 2개의 데이터로 결과가 얻어지므로 면적법 및 2차가산법에 비해 보호계전기 동작시간 다소 빨라진다.

승산을 주로 하므로 계산시간이 다소 늘고, 결과가 2승형태로 주어지며 보호 특성상 각종의 제약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필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4) 연속 2샘플링 연산법

특징으로는 샘플링 면적을 짧게 하여 결과를 얻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곱셈 나눗셈을 다수의 필요로 하므로 연산 시간상 불리하다.

위상차 산출연산(Phase Difference Calculation)

디지털 계전기에서 보호계전기의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두 개의 교류량의 위상관계를 구하는 연산이 기본이 된다. 일반적으로 위상각 θ를 직접 구하는 것보다 sinθ, cosθ의 삼각함수 형태로 구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위상각을 삼각함수 형태로 구하는 연산은 적형에 한해 가능하며, 이들 적형은 진폭치 산출연산의 경우와 같은 모양으로 연속2샘플 연산법, 연속 3샘플 연산법 및 직각 2샘플 연산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디지털 계전기의 자동감시

디지털 계전기는 자동감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자동감시 향상으로 인하여 장치 전체의 신뢰성 향상이 되며, 유지보수 측면과 안정운용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자동감시 측면의 우수성은 다음과 같다. 매 순간마다 데이터를 최소화 단위로 식별되므로 아날로그 장치에 비하여 정확한 감시 점검을 할 수 있음 감시점검을 주로 소프트웨어로 실행하므로 아날로그 장치에서 어려운 사항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고조파 감시

계통입력에 고조파 감시용 미소 신호를 상시 중첩하여 A/D 변환후 데이터에서 고조파 성분레벨을 연산하여 상시 감시한다

 

패리티 검사(Parity Check)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메모리에 패리티 체크 bit를 부가해 CPU에서 데이터를 읽을 때 메모리에서 데이터와 체크비트가 소정의 형으로 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선밴드 (Bands for Guys)  (0) 2017.02.24
지선 (支線, Guy Wire)  (0) 2017.02.24
시퀀스 (Sequence)  (0) 2017.02.24
자동제어 기구번호  (0) 2017.02.24
재폐로계전기  (0) 2017.02.24


 

차동접속(差動接續, Differential Connection)

보호구간에 유입하는 전류와 보호구간에서 유출하는 vector의 차전류를 얻도록 한 변류기 이차회로 접속을 차동접속이라 하고 vector차 전류가 흐르는 부분을 차동회로라 한다.

 

교차접속(交叉接續, Cross Connection)

병렬회로에 동일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의 vector 차전류를 얻을수 있도록 한 변류기 이차회로 접속을 교차접속이라 하고 vector 차전류가 흐르는 부분을 교차접속 이라 한다.

 

잔류회로(殘留回路)

Y접속교류기의 이차회로를 일괄하여 삼상전류의 vector화 전류를 얻도록 접속한 회로를 말한다. 이 회로는 영상분 전류의 귀로로써 3I0 가 흐른다.

 

영상분로(零相分路)

변류기 이차권선에 정상분 전류와 역상분 전류가 흐르고 삼차권선에는 영상분 전류가 흐르도록 접속한 삼차권선회로를 말한다.

 

개방삼각회로(開放三角回路, Open Delta Circuit)

계기용 변압기의 1차측은 Y접속하여 중성점은 접지하고 이차측은 각상의 권선을 접속한 후 한쪽은 개방한 접속회로를 개방삼각회로라 하며 개방된 양단자에서 3V0의 영상전압을 얻는데 사용한다.

 

30°진전류 접속법(進電流接續法)

삼상회로에서 고장전류의 방향을 판정하기 위하여 방향 계전기를 적용하는데, 기준 vector로는 전압을 사용하고 이 전압과 위상차가 30°진상이 되는 전류와 조합하여 접속하는 방법을 30°진전류 접속법이라 한다. a상 전류와 ac상 전압, b상 전류와 ba상전압, c상 전류와 cb상 전압을 조합한 접속법이다. 이결선은 계전기의 위상특성이 진상 10지상 30°인 것을 적용한다.

 

90°진전류 접속법

30°진전류 접속법과 달리 기준전압과 위상차가 90°진상이 되는 전류와 조합하여 접속하는 방법을 90°진전류 접속법이라 하고 실제로는 a상 전류와 bc상 전압, b상 전류와 ca상 전압, c상 전류와 ab상 전압을 조합한 접속법이다. 단락방향 계전기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곱이 동작Torque로 되므로 고장시 극성전압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90도 진전류 접속법을 많이 사용하며 계전기의 Max Torque angleLead 30줩근방이면 모든 단락고장에 충분이 응동할 수 있다.

 

V 결선(V Connection)

변류기 2개를 사용하여이 결선하는 것을 말하며 단락계전기 2개를 사용하여 어떤 상의 단락고장이라도 보호할 수 있으나 영상전류는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비접지 계통의 단락 보호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성형 결선(星形結線) or Y 결선 (Y Connection)

변류기 3개를 사용하여 각 상전류를 얻을 수 있도록 접속한 것을 말하며 단락계전기와 지락계전기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잔류회로에 는 영상전류의 3배의 전류가 흐르므로 반드시 회로를 구성해 주어야 한다. 또한 접지는 반드시 한 곳에서만 해야 하고 사람에게 주는 영향을 고려하여 변류기측보다는 계전기 측에서 하는것이 좋다.

 

Δ 결선(Delta Connection)

1) 변류기

변류기 3대를 사용하여 접속하여 각 상간의 차전류를 얻을 수 있도록 접속한 것을 말하

2가지 결선방법이 있다. 이 결선에서 영상전류는 변류기 이차권선내를 환류하고 계전기 입력 전류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계전기 각 상에 유입하는 전류는 삼상 평형상태에서 선전류의 3배이고 선전류보다 위상이 30줩앞서거나 뒤진다.

2) 계기용변압기

계기용변압기 3대를 사용하여 일차측 권선에 선간전압을 접속한 것을 말하며, 선간전압만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하게 되며 V결선과 마찬가지로 지락방향계전기의 극성전압을 얻을수 없다.

 

강제여자회로 (强制勵磁回路)

계전기의 동작시간을 빨리 할 경우에 사용하는 회로로 동작은 coil X가 여자될 때는 Xb접점 또는 condenser를 통해 저항을 단락하여 여자 되었다가 coil X가 동작 후에는 b접점의 개방 또는 정상상태에서 condenser전류의 소멸로 저항을 통해서 여자된다.

 

시퀀스 (Sequence)

AC시퀀스(AC sequence)

전력계통의 보호장치의 대부분은 기기와 송전선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피보호기기의 이상상태는 거의 계기용 변압기와 변류기를 경유하여 보호장치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보호계전장치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입력을 주는 것이 필요 하며 그 구체적인 회로를 나타낸것이 AC sequence이다. 즉 피보호계통의 어느 부분에서 어떤 PTCT에서 보호계전기에 전압, 전류를 공급하는가를 3선도로 나타낼 필요가 있다. 간단히 말하면 AC sequence는 보호계전기장치의 입력관계를 나타내는 3선 결선도이다.

 

DC시퀀스(DC Sequence)

전력계통의 기계, 기구를 제어 또는 보호하기 위한 각종 접촉기, 개폐기와 계전기류의 coil과 접점을 대략 조작순서에 따라 전개하여 제어장치, 배전반 및 관련기구의 동작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C sequence를 이해하는 데는 도면중의 도기호(graphic symbol), 약호,자동제어기구번호(Device Function Number)등 을 알아야 한다.

이것은 여러가지 약속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이것들을 조합하여 만든 전기회로도를 기획, 작성한 설계자, 이것에 의해 전기기구를 제조한 사람과 그의 운용보수를 하는 사람사이에 의사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언어이며 그 가운데의 도기호는 단어에 해당된다

 

디지털 보호계전기

전력계통의 아날로그 전압전류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수치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프로그램으로 보호계전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디지털형 보호계전기라 한다. 보호계전기를 디지털화 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전력계통이 대형 복잡화 함에 따라 직류분, 저차고조파 발생등 기존 아날로그 보호계전기의 한계성 극복

자기진단기능 및 다기능화 함으로서 유지보수의 고려 및 신뢰성을 향상

고장기록기능으로 고장DATA를 취득하여 신속,정확한 고장분석이 가능하고,

반도체 및 정보통신 기능의 적극 이용 등을 들 수 있다.

디지털 계전기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장점 : 고성능 다기능, 소형화, 고신뢰성, 융통성, 표준화, 저부담, 경제성 및 장래성

단점 : surge, noise대책, data변환시 오차, H/W고장시 응급복구 난점, 원인규명 난점(내부동작이 program),

 

디지털 보호계전기 종류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종류를 보면 HardwareSoftware의 구성형태에 따라 완전연산형, 간이구성형, 계수형, Scaner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산형

연산형은 전류, 전압 등의 입력량을 주기적으로 샘플링하여 양자화된 디지털량으로 변환후 프로그램에 따라 계산, 처리 함으로서 보호계전기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보호계전기능(단락, 지락, 각상구분)을 시분할 다중처리 함으로서 복합적인 보호계전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연산형 디지털 보호계전기는 일 반적으로 16bit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간이 구성형

기본적으로는 연산형과 동일구성이나 회로의 간소화 또는 bit수의 삭감등으로 비교적 간단한 계전기의 기능, 즉 감시나 고장검출(Fail safe)용으로 이용된다.

 

계수형

입력량을 디지털량으로 변환하여 이것을 계수처리하여 보호계전기능을 갖도록 한 것인데 일반적으로 8bit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사용되며 주로 주파수 계전기 등에 이용된다.

 

Scaner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거 계전기 입력과 정정치를 동작시켜 절체하고 입력장치와 정정치를 아날로그의 양으로 비교 판정하여 동작하는 것을 Scaner형이라 하며 과전류 계전기나 고장검출(fail safe)용으로 사용되는 비교적 단순 계전기에 사용된다.

 

입력변환기(Input Transducer)

PT, CT입력과 전자회로간을 절연하며 큰 입력 신호값을 전자회로에 적당한 전압, 전류값(10V 수준)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위상변동, 잡음, 전자기적 특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아날로그 필터(Analog Filter)

디지털 필터에서는 Aliasing되는 주파수 이상의 성분을 제거할 수 없으므로 아날로그 필터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디지털 필터 처리를 하면 연산시간에서 디지털 필터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계전기 연산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되므로 아날로그 필터에서 충분하게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고 디지털 필터는 보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아날로그 필터에는 저역통과 필터(Low Pass Filter)와 대역통과 필터(Band Pass Filter)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직류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대역통과 필터를 사용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선 (支線, Guy Wire)  (0) 2017.02.24
위상변이 연산  (0) 2017.02.24
자동제어 기구번호  (0) 2017.02.24
재폐로계전기  (0) 2017.02.24
역상계전기  (0) 2017.02.24

 

자동제어 기구번호

1 주제어개폐기, 계전기 Master Element

2 기동 또는 폐로용 한시계전기

3 조작개폐기

5 정지개폐기 또는 Relay

6 기동용 차단기, 접촉기, 개폐기 또는 Relay

8 제어전원개폐기

10 순서개폐기 또는 Program조정기

12 Over Speed Relay 또는Over Speed Switch

13 동기속도개폐기 또는 Relay

14 저속도개폐기 또는 Relay

15 속도조정장치

18 가속 및 감속용 접촉기 또는 Relay

21 거리계전기

23 온도조정계전기

25 동기검출장치

26 정지기 온도계전기

27 교류 Under Voltage Relay

30 Annunciator Relay 고장표시장치

33 위치개폐기, Position Switch

34 전동순서개폐기

37 Under Current Relay(부족전류 계전기)

38 Bearing 온도계전기

40 계자전류계전기, 계자상실계전기

41 계자차단기 또는 개폐기

43 제어회로 절환개폐기

46 역상 또는 상불평형 전류계전기

47 결상 또는 역상전압계전기

49 회전기 온도계전기

50 순시형 과전류계전기

51 한시교류 과전류계전기

52 교류차단기 또는 접촉기

54 직류 고속차단기

59 교류 과전압계전기

60 전압차동평형계전기

62 한시정지 또는 개로계전기

63 압력계전기

64 지락과전압계전기

65 조속장치

67 교류전력 방향계전기

70 전기조작 가감저항기

72 직류차단기

76 직류 과전류계전기

78 위상측정용 또는 탈조계전기

79 교류재폐로계전기

81 주파수계전기

82 직류용 폐로계전기

85 CarrierPilot Wire의 수신용 Relay

86 폐쇄 계전기

87 차동보호계전기

89 단로기

90 자동전압조정기 또는 Relay

92 전력계전기

94 자유보호 접촉기 또는 계전기

95 자여자 주파수계전기 또는 주파수계전기

96 브흐홀쯔계전기

98 연결장치

99 자동기록기

 

재폐로 (再閉路, Reclosing)

송전선로 고장시 송전선고장의 자동복구로 계통의 안정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차단기가 차단되어 고장이 소멸된 후 자동적으로 차단기를 투입하는 일련의 동작을 재폐로라 한다.

계통에 설치된 전력기기중 발전기, 변압기, 모선 및 케이블 송전선로와 같은 곳에 고장이 발생되면 영구고장일 경우가 많으므로 재폐로를 실시하지 않고 순간고장이 많은 가공송전선로에만 재폐로를 적용한다. , 배전선로에서 지중부분이 전체긍장의 30%미만의 경우 재폐로를 적용한다.

 

단상재폐로(單相再閉路, Single Phase Reclosing)

전력계통에 발생되는 고장종류는 1선지락고장, 2선단락고장, 2선단락지락고장 및 3상단락고장과 같이 다양하다. 따라서 단상재폐로방식은 1선지락고장시에만 재폐로 하고 기타 고장은 재폐로하지 않는 방식을 말한다. 단상재폐로방식은 고장 상만을 차단하고 나머지 건전상은 계속 운전 가능하므로 계통안정도에 기여하는 몫은 가장 양호하고 2개의 건전상은 계속 운전중이므로 재투입시 동기검정의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고장상의 차단기만을 차단하여야 하므로 차단기는 단상조작이 가능하여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보호계전기는 고장 상을 정확히 선택하여야 하므로 계전기 시퀸스가 복잡하여지고, 1선지락고장 이외의 경우는 재폐로하지 못하는 점과 단상차단시 계통에 불평형 전류가 발생되어 계전기의 적용상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등이다. 특히 차단기에는 결상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결상Trip회로가 구비되어 있어 차단기가 결상상태(154kV 167ms, 345kV 100ms)로 지속되면 차단기를 3ΦTrip 시킨다. 단상재폐로가 실패하거나 부동작하면 차단기는 결상Trip 된다.

 

삼상재폐로(三相再閉路, Three Phase Reclosing)

고장의 종류에 관계없이 3상을 모두 차단하고 3상을 재투입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차단기를 재투입 시는 양쪽계통의 동기를 검정하여야 하므로 동기검출계전기나 조류검출계전기 등과 함께 사용한다. 3상재폐로는 단상재폐로 보다 고속도로 차단기를 투입할 수 있다는 점과 관련 제어회로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양전원 1회선 계통에 적용할 경우에는 고장 차단후 동기투입이 어렵게 된다.

근래에는 단상재폐로의 장점과 3상재폐로의 장점을 모두 이용하기 위해서 단상+3상재폐로 방식을 적용하기도 하는 데 이는 1선지락고장시는 단상재폐로하고 1선지락고장 이외의 고장시는 3상재폐로하는 방식이다.

 

다상재폐로(多相再閉路, Multi Phase Reclosing)

고장종류에 관계없이 고장상만을 선택 차단하고 나머지 건전상은 계속 운전하는 방식으로 보통은 병행 2회선 송전선로에 적용한다.

, 2회선 송전선에 1선지락과 선간단락고장이 발생하면 고장상만을 선택차단하고 재폐로하는 방식인데 고장의 종류가 계통에 미치는 영향의 대소에 의거 재폐로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동작시킨다. 이 방식은 재폐로방식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는 있으나 회로가 복잡하다.

 

재폐로 성공(再閉路成功)

재폐로 계전기가 동작하여 차단기를 재투입한 결과 최초에 발생되었던 고장이 제거되어 계속적으로 운전이 가능하게 된 상태를 재폐로성공이라 한다.

 

재폐로 실패(再閉路失敗)

재폐로계전기가 동작하여 차단기를 재투입하였으나 최초 발생되었던 고장이 계속되어 보호계전기 동작으로 재차단된 상태를 재폐로 실패라 하며, 재폐로 계전기가 부동작하였거나 선로동기 검정 불가능으로 차단기가 투입되지 않은 경우와는 엄밀히 구분된다.

한편, 재폐로 계전기가 OFF되었거나 운전중에 부동작 된 경우는 재폐로 부동작으로 구분된다.

 

재폐로 시간(再閉路時間, Reclosing Time)

보호계전기의 동작으로 재폐로 계전기가 기동된 후부터 재폐로 계전기가 차단기에 투입지령을 보내는 순간까지의 시간.

 

무전압 시간(無電壓時間, Dead Time)

고장시 차단기가 고장전류를 차단하면 고장지점의 전류는 없어지게 되나 고장시 Arc-Energy에 의해서 고장지점의 공기는 이온화 되어 절연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고장지점의 공기가 절연을 회복한 후에 차단기를 투입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이 공기가 소()-ion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소이온시간이라 한다

이온화된 공기가 절연을 회복할 때까지는 선로가 무압상태를 지속하게 되므로 무전압시간이라고 하며 차단기가 차단완료시부터 투입완료된 시간까지를 말한다. 무전압 시간을 수식적으로 계산할 수는 없으나 여러가지 계통전압에서의 실험을 통한 실험치 및 설험식이 있는데, 송전 전압이 높을수록 성공률을 높일수록 무전압시간이 길게 요구된다.

 

재폐로복귀시간(再閉路復歸時間, Resetting Time)

재폐로 동작후 재폐로 계전기가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하는데 1회 재폐로용 계전기는 계전기의 모든 기능이 원상태로 복귀되지 않으면 고장발생시 재폐로할 수 없게 된다. 345kV 154kV계통에 적용중인 재폐로 계전기는 일반적으로 1회 재폐로후 복귀시간을 1분으로 하고 있어 재폐로 성공 후 고장이 1분이내에 재발생되면 재폐로하지 못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상변이 연산  (0) 2017.02.24
시퀀스 (Sequence)  (0) 2017.02.24
재폐로계전기  (0) 2017.02.24
역상계전기  (0) 2017.02.24
과전류계전기  (0) 2017.02.24

 

재폐로계전기 (再閉路繼電器, Reclosing Relay)

송전선 고장은 대부분 뇌 등에 의한 arc지락고장이다. 따라서 고장전류를 차단하여 arc가 소멸된 후 차단기 재투입을 인위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 로 자동적으로 차단기를 투입할 것이 요청된다. 따라서 차단기가 차단되고 고장지점의 절연이 회복된 후 재폐로 조건(동기조건)이 이루어지면 자동으로 차단기를 투입시키는 계전기이다.

 

트립 계전기 (Trip Relay, Tripping Relay)

보호계전기 동작으로 차단기를 차단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보조계전기를 말한다.

계전기의 접점용량이 차단기 차단전류보다 적은 경우나 다수의 차단기를 차단하는 경우는 트립용 계전기를 설치 사용하게 되는데 고장제거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속동작형일 것이 요구된다.

 

트립 프리 회로 (Trip Free)

차단기의 투입과 차단지령이 동시에 가해질 경우 항상 차단이 우선되어야만 차단기가 고장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는 계전기를 트립 프리 계전기라 한다. 트립 프리 계전기는 일반적인 보조 계전기가 사용되며 차단기 조작회로에 항상 포함되어야 한다.

 

선택지락계전기 (選擇地絡繼電器, Selective Ground Relay)

비접지 계통의 배전선 지락고장을 검출하여 고장 회선만을 선택 차단하는 방향성 계전기로써, 지락고장시 계전기 설치 점에 나타나는 영상전압과 영상지락고장전류(비접지 계통에서는 지락고장시 계통충전전류 및 GPT 2차 저항에 따라 고장전류가 제한된다)를 검출하여 선택 차단한다.

계전기에 도입되는 영상전압은 모선에 설치하는 GPT 3차측 권선을 개방 델타 결선하여 사용하고, 영상고장전류는 선로에 설치하는 영상 CT(zero CT or Z.C.T)를 사용한다.

 

고장검출계전기 (故障檢出繼電器, Fault Detecting Relay)

고장을 검출하여 단독으로 회로를 차단시키는 목적이 아니고 보조회로를 기동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계전기이다. 따라서 고장검출 계전기의 동작 없이는 기타 주 보호 계전기가 동작하더라도 보호장치가 고장을 차단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고장검출계전기는 최소 고장에도 충분히 동작할 것이 요구된다.

고장검출용 계전기로는 전류계전기, 전압계전기 및 거리계전기 등이 많이 사용되며 동작특성은 고속도 순시특성이 요구된다.

 

외부방향계전기 (外部方向繼電器)

계전기가 고장을 검출하여 차단해야하는 보호구간과 반대되는 외부고장에 동작하는 계전기이며, 반송보호 계전방식에서 보호구간내의 고장을 순시로 차단하도록 상대단내부방향 계전기의 동작과 조합하여 차단여부를 결정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따라서 외부방향 계전기가 동작하면 방향비교 계전방식 에서는 상대단 내부방향 계전기가 오동작 trip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대단에서 캐리어(carrier)저지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외부방향 계전기로는 거리계전기와 순시형 지락과전류 계전기등이 사용된다.

 

내부방향계전기 (內部方向繼電器)

외부방향계전기와 반대로 보호방향고장에 동작하는 계전기로 동작 범위가 보호구간을 초과하도록 하여 상대단외부방향계전기가 부동작하는 조건으로 차단하게 된다.

 

전압조정계전기 (電壓調整繼電器, Voltage Regulating Relay)

공급전압을 일정전압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전압이 규정치 보다 높거나 낮으면 부하시 tap 절환 변압기의 탭(tap)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계전기이다. 이 계전기는 미소한 전압변동에 동작하여 불필요한 전압조정을 하지 못하도록 동작불감대를 탭으로 선정하게 되어 있는데 보통은 기준 전압의 14% 정도이다.

한편 기기의 개폐시나 계통고장시의 저전압현상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계전기 특성은 동작시간이 전압편차에 반비례하는 적분특성이다.

 

리드 계전기 (Reed Relay)

보조계전기의 일종으로 동작속도는 1ms 정도로 고속도 동작이나 계전기의 접점용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 특징이다. 이 계전기의 구조는 가늘고 긴 유리관 속에 두 개 reed relay의 구조의 자성체인 금속편을 일부 끝부분이 겹치도록 하여 그곳에 접점을 부착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유리관 외부에 계전기동작코일을 감은 구조이다. 계전기 동작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금속편은 서로 흡입하게 되어 접점이 붙는데 계전기 접점의 동작, 개폐시 발생하는 아크(Arc)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유리관 내부에는 수소가스 또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가스를 주입한다. 계전기 접점의 수량은 보조계전기와 같이 다수 설치할 수 있으며 “a” “b”접점의 어느 경우라도 제작이 가능하다.

 

감시계전기 (監視繼電器, Supervision Relay)

전기회로의 어떤 부분의 동작이나 기능의 정상유무를 검출하여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경보를 하는 기능의 계전기를 일반적으로 감시계전기라 하며 예로서는 D.C전원 Fail감시계전기, 표시선고장 감시계전기 등이 있다.

 

수은 계전기 (Mercury Relay)

보조계전기의 일종으로 고속동작형이므로 반송통신장치(carrier set)의 수신 릴레이 등에 사용된다. 진공유리관 속에 계전기접점을 설치하고 수은을 넣어 수은을 계전기 동작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계로 이동시켜 계전기 회로를 구성한다. 고속복귀를 요하는 경우에는 동작코일과 억제코일을 동심으로 설치하여 사용한다.

 

고조파억제 계전기 (高調波抑制繼電器, Harmonic Restrained Relay)

한개 또는 그 이상의 입력량에 고조파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그 동작이 억제되는 계전기

 

고속도계전기 (高速度繼電器, High Speed Relay)

계전기 기능이 특정시간(보통 3cycle)이내에 동작하는 계전기

 

적분형계전기 (積分形繼電器, Integrating Relay)

크기에 관계없이 축적된 연속 펄스에너지에 따라 응동하는 계전기(예 열계전기)

 

갑종보호계전기

345kV 계통 전력설비보호에 적용한 보호계전기 및 발전기보호에 적용한 보호계전기를 갑종계전기라 하며 예로서는 다음과 같다.

1) 변전소

전압 345kV 이상의 전력설비 보호에 적용한 보호계전기. 다만, 345kV 계통 변압기 보호계전기와 전력설비의 기계적 보호장치는 제외한다.

2) 발전소

계통에 연계되는 5MVA이상 발전기 보호에 적용된 계전기

계통에 연계되는 5MVA이상 발전기에 직접 연결된 주변압기(발전전력 송전용변압기 및 소내용변압기) 및 기동용 변압기 보호와 이 변압기들의 1, 2, 3차측 종합보호에 적용한 보호계전기. 다만, 기계적인 보호장치는 제외한다.

3) 변전소에 설치되어 계통보호에 적용된 저주파수 계전기

4) 타사 발변전소

당사 345kV 이상 계통에 연결되는 타사 발변전소의 수전 측 보호에 적용한 계전기

5) 제주계통 154kV 이상 선로보호 보호계전기

6) 기타 중요하다고 인정되는 계전기

 

을종보호계전기

우리회사 보호계전기중 갑종으로 분류되지 아니한 모든 보호계전기 및 타사 발, 변전소의 수신측 보호에 적용중인 계전기중 갑종으로 분류되지 아니한 보호계전기와 쌍방이 따로 합의한 보호계전기를 을종보호계전기라 한다.

 

전위(前位) 후위(後位) 보호계전기

부하를 공급하는 선로에서 전원측을 보호하는 계전기와 부하측을 보호하는 계전기간 보호협조가 필요하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퀀스 (Sequence)  (0) 2017.02.24
자동제어 기구번호  (0) 2017.02.24
역상계전기  (0) 2017.02.24
과전류계전기  (0) 2017.02.24
반송 계전방식   (0) 2017.0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