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체 전차선 공사




1. 급전선 및 급전장치

(1) 급전방식의 커티너리 방식은 AT급전방식과 동일하며 일반구간의 급전선은 Cable 용시 쥐 피해 및 접속개소, 케이블헤드 장애 발생 시 복구에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현수 클램프를 취부한 NSP-50 지지애자를 사용하여 Cu 150또는 Cu-OC 200으로 시공한다.

(2) 급전선 상호 간격은 1,200이상을 이격하여 설치하고 강체 전차선로와 충분한 절연 이격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3) 급전선을 Cable을 사용하여 시설하는 구간(역구내-승강장 홈)은 전력 Cable 66200-1C를 터널 벽면을 따라 크리트 및 케이블 클램프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4) Cable 단말개소는 Cable 헤드를 사용하여 접속하고, Cable의 차폐선을 비절연보호선 등에 연결한다.

(5) Cable의 직선접속은 Cable 중간 접속상을 사용하고 Cable 차폐선을 연결한다.

(6) CableR-bar에 연결할 때는 R-bar용 클램프를 사용한다.

(7) 급전장치에는 R-bar 급전용 전원 케이블이 접속되어 강체 섹션간의 전기적 접속에 사용한다.

(8) 급전장치 각 접속 블럭은 강체(R-bar)의 상부 평면에 대향으로 배치된 2개의 반 블럭으로 구성되며, 2개의 반 블럭은 2개의 M10 나사 봉으로 연결되고. 스테인레스 너트는 15Nm의 힘으로 죄여진다.

(9) 2개의 반 클램프간에 설치되는 2개의 부재(brace)는 강체(R-bar)의 지압력을 제한하고 억제한다. 각 블럭에는 2개의 13구멍이 있으며 이는 케이블 플럭 설치용이다.

(10) 동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급전장치를 접촉 그리스로 도포하여야 한다. 각 반 블럭의 길이는 100[]이며 강체(R-bar)와 접촉하는 면적은 1,000[]이다.

(11) 급전장치의 공칭 정격전류는 1,200A이며 이 보다 높은 전류에 대해서는 다수 개의 급전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2. 앵커볼트(Anchoring) 설치 공사

(1) R-Bar 브래킷 설치시 앵커볼트의 매입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한 후 콘크리트면과 수직으로 규정된 직경 및 깊이(케미컬 앵커볼트 20Φ×250)로 구멍을 뚫어야 한다. 특히 곡선부에 있어서는 선로 캔트에 의한 레일 중심축의 이동(전차선 높이 기준)을 고려하여야 한다.

(2) 뚫은 구멍은 깨끗하게 청소하고 케미컬 앵커를 구멍에 삽입한 후 스타터 볼트(Starter bolt)를 임팩트 드릴(Impact drill)에 어댑터(Adapter)를 부착하여 진동 및 회전시켜 구멍속에 수직으로 삽입한다.

(3) 케미컬 앵커를 삽입한 후 50분이상 경과한 후 부하를 인가하여야 한다.

(4) 케미컬 앵커는 국제공인기관의 시험을 득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하고 스터트 볼트는 용융아연도금을 하여야 한다.



3. 지지물 설치

(1) 강체가선방식의 지지물은 운행속도에 따라 최소 8m, 최대 12m까지 할 수 있으며 선로 조건, 분기개소의 중심지점, 건넘선 등을 고려하여 조정할 수 있다.

(2) 강체전차선의 지지점 간격은 강체의 Deflection 등을 고려하여 정하며, 일정한 지지 간격에 의한 무장력으로 지지되어진 상태로서 지지점 중앙의 강도는 지지점 간격의 1/1,000 이하를 유지하여야 하고 Deflection은 강체의 자중, 강도, 지지점 간격에 의하여 강체의 무게가 경량, 강도가 크면 지지점 간격을 크게 할 수 있다.

(3) 강체전차선의 지지점 간격은 열차속도에 따라 다음 표에 의거 설치하여야 한다.


[]지지점 간격

 

열차속도(㎞/h)

60이하

80이하

100이하

120이상

140 이상

지지점 간격(m)

12

11

10

9

8


(4) 곡선로, 건넘선 등 특수개소의 경간은 기준 편위 확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위치를 조정 할 수 있으나 접촉면의 설치높이는 3의 오차 이내로 되어야 한다.

(5) R-bar 지지물은 다음의 3가지 방식으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지그재그 편위의 횡방향 조정 : 지지물은 트롤리선의 지그재그 편위범위 ±210횡방향 조정이 가능하여야 한다.

높이조정 : 매우 협소한 건축한계 터널 등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지지물은 충분한 높이조정(±30범위)이 가능하여야 한다.

곡선로에서 R-bar의 회전 조정 : 지지물에 의해 궤도 캔트(cant)에 대한 R-bar의 회전조정이 가능하여야 한다.

(6) 지지물은 선로길이 방향으로 강체 전차선로가 자유롭게 팽창 수축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다음의 2가지 방식의 지지물 설치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고정식 지지물(fixed support)

회전식 지지물(swiveling support)



4. 강체(R-Bar) 브래킷 공사

(1) R-bar 브래킷의 지지점 간격은 열차운행속도에 맞도록 설치하고 R-bar 브래킷의 지지철물은 구조물의 높이 및 형태에 따라 적합하게 취부되도록 BOX형 및 NATM형으로 구분하여 현장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한 후 터널벽(천정) 브래킷 설치도면에 의거 제작 하여 높이별로 설치한다.

(2) 지지철물의 취부는 케미컬 앵커볼트(20Φ×250) 4개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3) 강재의 도금은 “KCS 14 31 40 도장 에 의한다.

(4) C 찬넬의 T볼트 설치시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한 후 C 찬넬 콘크리트면과 수직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5) C 찬넬의 T볼트는 국제공인인증기관의 시험을 필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6) 토목공사시 매입시공된 C 챤넬 또는 매입전 개소는 규격의 볼트를 사용하여 R-Bar 래킷을 설치하여야 한다.



5. 강체(R-Bar) 설치

(1) R-bar(AL 2,200) 강체는 R-bar 보호용 표면 피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포장된 상태로 현장에 반입한다.

(2) R-bar가 비틀렸거나 구부러진 것 등의 외형이 변형된 것은 설치 전에 교정 및 적합한 방법으로 원상한 후 사용한다.

(3) R-bar 설치 전 편위 브래킷의 취부상태를 확인 후 설치한다.

(4) 곡선 반경에 따라 R-bar를 구부린 후 설치한다.

(5) R-bar의 최소 높이는 레일면상 4,750로 하고, 터널 구조에 따라 구배를 1/1,000이하 (측선 3/1,000이하)가 되도록 높게 설치한다.

(6) Expansion 개소의 편위를 0으로 하고 순차적으로 편위를 크게 하여 흐름방지개소 편위가 최대(200)가 되도록 선로 중심선에서 지그재그로 설치한다. 실제적으로 편위의 형태는 커티너리 가선의 부분적 직선 형태가 아닌 사인곡선(sine curve)에 근접한다.

(7) R-bar는 접속판(splice plate)에 의해 상호간 접속되므로 접속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속성이 확실하도록 시행하여야한다.



6. 램프(Ramp) 설치

(1) 램프는 한 측 종단에서 만곡 되는 4m 길이의 강체 바(R-bar)로 제작한다.

(2) 경사부분의 길이는 1,500이고, 최대경사 1/20 종단에서의 높이 70로 점차적으로 높이가 증가하며 만곡부의 반경은 6m이다.

(3) 만곡부 굽힘 작업은 강체 바(R-bar)의 부리(beak)가 손상되지 않고 부리 간격이 4.75.3로 유지되도록 한다.

(4) 램프에서 경사가 없는 다른 종단은 접속이 가능하도록 천공한다.

(5) 램프는 신축장치(expansion joint) 구분장치(sectioning device) 및 분기선 구성의 각 섹션의 종단에 설치한다.

(6) 램프의 경사부는 안전 목적으로 사용되며 실제적으로 신축장치(expansion device)램프조정에서는 팬터그래프가 한 측 램프에서 다른 측 램프의 곡선 부위가 아닌 직선부에서 이행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7. 신축장치(Expansion Element) 설치

(1) 강체 전차선로 최대 설치 섹션의 길이는 주변 온도범위 ΔT()=T max-T min에 의해 결정한다.

(2) 섹션의 중앙지점에 설치되는 행어 클램프의 주위에 앵커(anchor)를 설치하여 고정점을 설정하여야 한다.

(3) 신축장치(expansion joint)는 열차운행 속도에 따라 다음 것을 사용한다.

운행속도 100km/h를 초과하는 구간은 일체형

운행속도 100km/h 이하의 구간은 2개의 램프(ramp) 평행구간(parallel section)으로 구성되는 신축장치

(4) 온도변화에 의하여 R-bar의 수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R-bar 1섹숀 마다 Expansion joint를 설치한다.

(5) 평행개소는 연결금구(Expansion Element)를 사용하여 설치한다.

(6) 램프 평행구간 브래킷 간격은 4m로 설치하고 편위는 0으로 한다.

(7) 신축장치는 R-bar 섹션의 기저부에 일치하여 설치하고, 신축장치는 R-bar의 다른 부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속한다.

(8) 신축장치의 이격거리는 최소 200이상으로 하고 높이와 수평조정은 전류 핀과 접촉날의 동시 조정에 의하여야 한다.



8. 이행장치(Transition section Transition device)

(1) 강체 전차선 Transition section은 다음 각 호와 같이 설치하여야 한다.

커티너리 전차선로와 R-bar의 이행구간에서는 트롤리선 접촉면의 전기적 및 기계적 연속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커티너리와 R-bar는 서로 다른 관성력을 가지며 이행구간에서 경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전용 이행장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행장치는 장력 트롤리선에 유사한 가연성에 최대한 도달할 수 있도록 관성력을 점차적으로 경감시키는 방식을 적용하도록 한다.

이행장치는 트롤리선이 이행장치의 부리(beak)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트롤리선을 클램프로 고정시키고 이 클램프는 알루미늄 강체 외부로 돌출시킨.

이행장치와 클램프의 조합 장치는 커티너리 전차선로에서 발생하는 트롤리선의 기계적 장력을 견딜 수 있도록 고장력 앵커(heavy duty anchor)로 지지하여야 한다.

알루미늄 강체 내부에 수분 또는 먼지 축적을 방지하도록 보호커버를 설치하여야 한.

(2) 강체 전차선 Transition device는 다음 각 호와 같이 설치하여야 한다.

이행장치의 길이는 5m로 하고 알루미늄 강체 바(R-bar)의 상부를 기계 가공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이행장치의 강체 바에 480간격으로 7개의 구멍을 천공한다.

강체 바(R-bar)7개의 스테인레스 강제 M10 볼트를 15Nm로 조여 지압력이 충분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행장치의 하부에는 60×200의 홈(groove)을 설치하여 트롤리선의 인장력에 의해 알루미늄 강체(R-bar) 내부에서 트롤리선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트롤리선을 고정(clamping)한다.



9. 에어섹숀

(1) 에어섹숀은 구분소 등의 급전구분 지점 등에 설치하는 것으로 R-bar 전차선을 전기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두 개의 R-bar 전차선을 평행하게 300로 이격하여 설치한다.

(2) R-bar를 사용하여 팬터그래프가 원활히 습동하도록 R-bar 상호간의 높이 조정을 정확히 하여야 한다.

(3) 전차선 상호 중심거리를 300로 하여 팬터그래프가 원활히 습동하도록 R-bar 상호간의 높이 조정을 정확하게 한다.

(4) 전차선 상호간 중심 위치의 편위는 0으로 한다.



10. 에어조인트

(1) 건넘선 개소 등의 본선과 접속개소에는 에어조인트를 설치한다.

(2) 건널선 R-bar의 양단은 에어섹숀 R-bar로 설치한다.

(3) 전차선 상호 중심거리를 350하고 균압선(가요동연선 Cu 100) 2조로 R-bar 상호간은 균압한다.



11. 분기선 및 건넘선

(1) 분기선은 램프로 구성되며 직선궤도는 직선 R-bar에 의해 급전된다.

(2) 분기궤도는 전철기 위치에서 시작되는 다른 전차선로 섹션에 의해 급전된다.

(3) 직선 섹션에서 분기섹션으로 이행이 가능하도록 램프는 분기섹션의 종단점에 설치한.

(4) 에어 섹션 또는 신축장치 섹션과 동일하게 직선 섹션에서 분기섹션으로의 이행은 램프의 직선 수평구간에서 수행되며 램프의 경사부분은 2개 전차선의 상대적 높이가 서로 다르게 조정된 경우에 안전구간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5) 분기기에서 분기궤도의 R-bar는 직선궤도 전차선로보다 약간 높게 설치하여 직선궤도를 주행하는 팬터그래프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6) 분기기의 R-bar 구성도는 다음 표를 참고하여 설치한다

 

[그림] 분기기 R-bar 구성도



 

12. 흐름방지장치

(1) 강체 가선구간에서는 인류구간(섹션) 중앙점에 흐름방지장치를 설치한다.

(2) Box형 개소 및 단선 NATM 구간은 장간애자(N-a)를 사용하여 설치한다.

(3) 알루미늄 강체(R-bar)상부에 고정판을 설치하고 이 고정판에 쐐기형클램프를 사용하여 아연도강연선 90, 현수애자(고분자 T-S. 3), 종단 턴버클을 일직선으로 연결하여 터널벽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4) 터널 벽면에 고정시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며 설치 높이는 R-bar 상단보다 300이상 높게 설치하여 Pantograph 통과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13. 전차선 가선

(1) 전차선의 가선은 센터가선을 하여야 하며 가선에 필요한 장비와 공구를 완전히 정비 점검하여야 한다. 또한 관계처와 협의 완료 후 시행하여야 한다.

(2) 전차선(Cu 110)은 가선차량(모터카)과 전차선 가선 도르래 (Inject)및 그리스 펌프를 이용하여 R-bar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가선 한다.

(3) 가선시 그리스 펌프를 사용하여 R-bar와 전차선이 접속되는 홈에는 이종금속(알루미늄과 동) 접속으로 인한 부식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그리스를 도포 한다.

(4) 전차선의 끝부분은 팬터그래프의 습동에 지장이 없도록 위로 구부려서 마감한다.

(5) 가선 열차 편성은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대여하는 대형 모터카 및 평판차 등으로 편성 한다.

(6) 전차선은 드럼은 일련번호를 작성하여 부여된 번호순으로 가선하고 사전에 승인된 조장 표와의 일치여부를 확인 후 작업한다.

(7) 전차선 가선에 의한 R-bar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합한 방법으로 R-bar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8) 전차선 삽입용 전차선 가선도르레(Injector)와 그리스 도포용 그리스 펌프를 전차선 가선열차에 설치하여 가선한다.

(9) 전차선 가선공정은 다음과 같다.

강체 섹션의 종단에서 가선을 시작한다.

가선 트롤리를 장착한다.

그리스 주입장치를 설치한다.

강체의 알루미늄 부리(beak)내에 트롤리선이 정확하게 삽입되는지를 검사하면서 천천히 가선을 시작한다. 정확한 가선 방법으로 트롤리선의 설치속도는 2km/h로 시행한다.

강체 섹션의 종단 지점에서 램프 또는 이행장치 직전에서 일시 가선을 정지한다. 장소에서는 가선 트롤리를 수동으로 눌러서 트롤리선을 삽입한다.

램프에서는 램프길이보다 100길게 전차선을 절단하여 구부려 둔다.

이행장치에서는 M10 볼트를 7개 채운다.

접촉면의 편위와 높이를 검사하고 3의 허용오차를 확인한다. 신축장치 또는 구분장치 구간에서는 접촉면의 높이를 매우 정교하게 조정하여야 한다.



14. 보호설비

(1) 비절연보호선은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시설한다.

비절연보호선에는 Cu 75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비절연보호선 클램프는 동합금제를 사용한다.

(2) 보호선용접속선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시설한다.

레일과의 접속은 F-GV 95(2회선)을 사용하고 PVC전선관(HI 36)에 수용한다.

PVC 전선관은 반새들(3.2t)과 앵커볼트(M8x50)로 고정한다.

(3) 보호카바(protective cover) 및 보호슬리브(protective sleeve) 설치

보호커버는 누수가 우려되는 개소에 사용하며 열, 충격 및 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는 반투명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전차선 이행구간에서 이행장치의 확장 공에 물이 차는 것을 방지하도록 PVC 재질의 보호 슬리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접지설비

전차선로에 따라 설치되어 있는 건조물의 금속부분 등에서 유도에 의한 위험전압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시설은 매설접지선에 연결하여 접지를 하여야 한다.

접지장치(earth connector)는 강체 바(R-bar)의 상부에 설치하여 접지걸이가 용이하게 접속되도록 16직경의 봉을 설치한다.

접지장치는 강체 바(R-bar)에 장치를 고정시키는 4개의 반 클램프로 구성된다.

반 클램프는 대향으로 설치하고 스텐레스스틸 M8 스크류와 너트로 연결하여 자체 쇄정하고 8Nm의 토크로 조이며 강체 바(R-bar)의 상면에 가해지는 응력을 억제하도록 4개의 반 클램프 사이에 블록을 설치한다.

접지걸이가 접속되는 접지 접속봉은 부재에 볼트로 고정하고 접지장치는 궤도에 연결하여 실치 하되 설치간격 역구내에 한하여 50~100m 간격으로 설치한다.

(5) 철도시설 안전지준에 관한 규칙, 철도시설 안전세부기준 및 3장 터널 방재기준적합한 설비(비상용 접지걸이 등) 설치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터널 내 방재설비인 비상용 접지걸이 설치 여부를 확인한다.


15. 표지류

(1) 강체구간에 설치하는 각종 표지류는 터널용을 사용하여야 하며 취부시에는 앵커볼트 (M12x130)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벽면에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2) 지하구간에 설치되는 전주번호표는 지지금구에 설치하고 전주번호표는 공단이 정한 참고도에 의한다.

(3) 전주번호의 부여는 선로의 서울 쪽을 기준으로 복선 이상의 경우에는 하선을 기준으로 한다.

(4) 지하구간의 전주번호표는 5경간마다 설치한다.(처음 및 마지막 전주번호표 포함)

(5) 기타 표지류는 KRCS 47 30 30 전차선로 공사의 “2.16 표지류에 준하여 설치한다.

 

출처-철도시설공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0km급 이상 설비 검사  (0) 2019.01.30
클램프류 체부력  (0) 2019.01.28
표지류  (0) 2019.01.28
접지장치와 보호설비  (0) 2019.01.24
섬락보호설비  (0) 2019.01.24


표지류


1. 전주번호표

(1) 일반개소의 전주번호표는 전주제작시 미리 천공해 놓은 위치나 전주에는 레일면상 약 2.5m의 위치에 지하구간은 레일면상 3.0m의 위치에 설치한다. 다만, 터널브래킷은 지지금구에 설치한다.

(2) 복선구간의 하선은 기점쪽, 상선은 종점쪽으로 선로와 직각 방향(선로측)에서 30~45도방향으로 붙인다. 다만, H형강주와 철주는 선로와 직각방향(선로측)으로 붙이며 선로점검자가 확인하기 용이하게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3) 단선구간의 홀수번호는 기점쪽, 짝수번호는 종점쪽으로 하여 선로와 직각방향(선로)에서 3045도 방향으로 붙인다. 다만, H형강주와 철주는 선로와 직각방향(선로)으로 설치한다.

(4) 정거장구내에는 선로와 직각 방향(선로측)으로 설치한다.

(5) 전주번호표(지하구간용 포함) 및 터널브래킷번호표의 형식은 철도전철전력참고도(차선)에 의한다.

(6) 다설 구간 및 특수 장소의 전주번호표 설치위치는 1항 내지 2항에 의하지 않을 수도 있.

(7) 전주번호는 정거장간과 정거장구내를 별도구좌로. 터널브래킷은 터널별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 고속철도구간은 별도의 시설표준에 의한다.

(8) 전주번호의 부여는 선로의 기점쪽을 기준으로, 복선 이상의 경우에는 하선을 기준으로 한다.

(9) 터널구간 하수상(, 하선 공동사용)의 전주번호표는 홀수는 기점쪽, 짝수는 종점쪽으로 설치한다.

(10) 지하 강체가선구 간의 전주번호표는 5경간마다 설치한다. 이때 처음 및 마지막 전주 번호표는 설치를 원칙으로 한다.



2. 접지 매설표

(1) 접지전선의 매설 장소에는 매설표를 설치하고 매설표는 철도전철전력참고도(전차선)에 의한다.



3. 케이블 매설표

(1) 전철급전케이블 매설표는 따로 정하는 참고도에 의하며 지중케이블을 포설한 구간에는 매설경로를 표시하는 케이블 매설표를 철도부지 내에는 10m 이내, 철도부지 이외에는 도로법시행령 제24조 제1항 제2(점용의 장소와 면적) 및 도로법시행규칙 제16조의2(표지 등의 설치기준)에 준하여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 다만, 선로횡단 전후 방향변경지점 또는 취약개소나 임시선로 구성시 거리에 관계없이 육안식별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10m이내로 설치한다.



4. 전차선 구분표

(1) 가공 전차선의 전차선 구분표는 다음 각 호에 의한다.

구분장치(가선절연구간장치는 제외)는 그 소재를 승무원에게 경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애자형섹션 및 에어섹션 개소에 전차선 구분표를 설치한다.

전차선 구분표는 승무원 또는 유지보수자 등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설치한다.

전차선 구분표는 구분장치의 시단 또는 시단측 최근접 지지물에 설치하고 그 형식은 철도전철전력참고도(전차선)에 의한다.



5. 주의표

(1) 건널목에는 지표상 4.5M 높이에 스팬선식 및 브래킷식의 주의표를 조가하거나 입식주의표 또는 일체형 주의표를 설치한다.

(2) 주의표의 형식은 철도전철전력참고도(전차선)에 의하되 설치기준은 다음과 같다.

스팬선식 : 2차로 이상 차량 통행 건널목

브래킷식 : 1차로 이하 차량 통행 건널목

입식 : 차량 통행이 없고 사람만 다니는 곳

(3) 보호망()에는 통행인이 잘 보이는 곳에 주의표를 설치한다.

(4) 건널목의 스팬선식 주의표에 사용되는 전주는 전도시 피해가 없도록 설치하되 스팬선에는 제3호에 의한 주의표를 설치한다.

(5) 주의표 지지물(전주)에는 매설접지와 연결하고 접지선은 접지단자를 사용하여 접속한.



6. 절연구간 예고표지

(1) 절연구간 예고표지는 전차선로 속도 등급 200킬로급 초과 구간은 가선 절연구간 시점 (전방)에서 1,000m 전방에 설치하고, 그 외 구간은 가선 절연구간표의 400m 전방에 설치한다.

(2) 절연구간예고표지는 승무원이 쉽게 알 수 있도록 설치한다.

(3) 절연구간예고표지의 형식은 철도전철전력참고도(전차선)에 의한다.



7. 타행표지

(1) 속도 등급 200킬로급 초과 구간의 타행표지는 가선 절연구간 시점(전방)에서 200250m 전방에 설치하고 그 외 구간의 타행표지는 교(AC/DC) 가선 절연구간의 150~200m, (AC/AC) 가선 절연구간의 100~200m 전방에 설치한다.

(2) 타행표지는 승무원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설치한다.

(3) 타행표지의 형식은 철도전철전력참고도(전차선)에 의한다.



8. 절연구간표지

(1) 속도 등급 200킬로급 초과 철도구간의 가선 절연구간표지는 가선 절연구간 중심의 110m의 전방에 설치하고 그 외 구간의 가선 절연구간표지는 교류 가압구간의 이상 접속지점 또는 교류구간과 직류구간의 접속지점의 가공전차선로(강체 포함) 시단 또는 시단측 최근접 지지물에 설치한다.

(2) 절연구간표지는 승무원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설치한다.

(3) 절연구간표지의 형식은 철도전철전력참고도(전차선)에 의한다.



9. 역행표지

· 역행표지는 다음 각 호에 의하며 가장 가까운 지지물에 설치한다.

(1) 전기기관차 : 가선 절연구간의 후방에서 20~30m를 더한 곳에 설치하되, 중련운전 구간은 40~50m의 곳

(2) 전기동차 : 가선 절연구간의 후방에서 열차장에 10m를 더한 곳

(3) 고속철도차량 : 가선 절연구간의 후방에서 열차장에 30m를 더한 곳

(4) 역행표지는 승무원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설치한다.

(5) 역행표지의 형식은 철도전철전력참고도(전차선)에 의한다.



10. 가선종단표지

(1) 가선종단표지는 다음에 명기한 곳에 승무원 또는 유지보수자 등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설치한다.

본선의 가공 전차선로 종단

입환이 빈번한 측선의 가공 전차선로 종단

가공 전차선로의 종단에 차막이 표지를 시설하여야 할 경우

그 외에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가공전차선로 종단

(2) 가선종단표지의 형식은 참고도 철도전철전력참고도(전차선)에 의한다.



11. 팬터내림예고표지 등

(1) 고속철도와 일반철도의 전차선 경계구간에 설치되는 팬터내림예고표지, 팬터내림표, 팬터올림표지는 신호제어 KR S-02030의 규정에 정한 바에 따른다.


12. 표지의 설치와 관리

(1) 각종 표지는 식별이 명확한 재질을 사용하고 승무원, 유지보수자 등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열차진행방향의 좌측에 설치한다. 다만, 양방향운행구간이거나 기관사가 인식 하기 곤란할 경우에는 열차진행방향의 우측에 설치할 수 있다.

(2) 가선 절연구간 관련표지는 반대방향 운행이 가능토록 설치하여야 한다.

(3) 열차운행상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개소에는 이를 표시하는 표지를 따로 설치할 수 있다.

(4) 전차선로 절연구간에 관계된 표지류의 시설은 ATP신호설비 구간에서는 따로 정하여 시설할 수 있다.

 

출처-철도시설공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램프류 체부력  (0) 2019.01.28
강체 전차선 공사  (0) 2019.01.28
접지장치와 보호설비  (0) 2019.01.24
섬락보호설비  (0) 2019.01.24
흡상변압기 설치 및 개폐기  (0) 2019.01.24


접지장치와 보호설비



1. 접지장치

(1) 전차선 지락과 같은 사고 시에도 레일 전위의 상승을 억제하여 사람 등을 보호하고, 뢰에 의한 피해 및 유도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접지설비를 하여야 하, 모든 접지는 서로 연결되는 공통 접지방식으로 하여야 한다.

(2) 접지시설은 다음 각 호의 기준을 만족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사람이 접촉되었을 때 인체 통과 전류가 15[mA]이하일 것

일반인이 접근하기 쉬운 지역에 있는 경우 연속 정격전위가 60[V] 이하일 것

일반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 있는 경우 연속정격 전위가 150[V] 이하일 것

순간 정격전위(200/1,000초 이내)650[V] 이하일 것

접지선은 지하 0.75m이상의 깊이에 매설한다.

접지선을 철주 기타 금속체에 연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접지극을 지중에서 그 금속체로부터 1m 이상 이격하여 매설한다.

접지선은 접지용 전선(GV 전선)을 사용한다.

접지선은 지표면 하 0.75m로부터 지표상 2m까지의 부분은 합성 수지관 등으로 보호한다.

접지선의 접속은 크램프접속 또는 압축접속, 용융접속으로 한다.

(3) 접지시설을 설치할 때에는 낙뢰 등으로부터 보호를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반영하여야 한다.

비절연 보호선을 가공으로 설치할 것

선로를 따라 공동매설 접지선을 시설할 것

선로의 레일과 비절연 보호선 및 매설 접지선을 연결하는 횡단접속선을 평균 1, 1.2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시설할 것

선로변 철도 시설물의 금속제 외함, 금속제 관로, 금속 구조물 및 철제 울타리 등은 공동 매설접지선에 연결할 것, 다만, 지형 또는 주위조건에 따라 공동 매설접지선에 접속이 곤란한 개소의 금속체 등은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전기설비)따라 접지공사를 할 수 있다.

(4) 교류 전차선로가 시설되는 전기철도의 철도부지 내에 있는 금속 설비로서 일반인이 닿을 수 있거나, 철도 유지보수요원이 전차선로를 단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할 때 닿을 수 있는 부분은 모두 접지를 하여야 한다.

(5) 비공통접지구간에는 타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의한다.

(6) 접지극의 시설은 다음 각 호와 같이 한다.

접지극은 동봉, 동복강봉 등의 타입식을 사용하고 용이하게 소요의 저항치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접지저항 저감제를 사용하여 규정 접지 저항치를 확보해야 한다.

다른 기설 접지극과의 이격거리는 5m 이상으로 한다.

매설 케이블, 지지물 등과 접지극과의 이격은 1m 이상으로 한다.

1본의 접지극으로 소요의 저항치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접지봉 2본을 연결하여 깊게 타입하고 필요한 본수를 병렬로 타입 한다. 이 경우의 병렬 타입하는 접지극 상호의 이격은 3m이상으로 한다.

(7) 공통접지방식의 시설

횡단접속선은 상하주행레일(임피던스 본드)매설접지선비절연 보호선을 접지단자함에서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접속한다.

. 횡단접속선의 설치간격은 변전소부터 10이내의 특수지역은 1,0001,200m, 일반구간은 1,5002,000m로 한다.

. 궤도회로에 임피던스 본드 또는 신호 유니트 등이 있을 경우에는 횡단접속선과의 거리는 최소 100m 이상 이격한다.

. 터널 및 교량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그 중간에 횡단접속선을 두어야 한다. 다만, 횡단접속이 곤란한 경우에는 횡단접속선을 생략할 수 있다.

. 500m이하의 터널 또는 교량의 경우에는 양측에 보조 횡단접속선을 설치하여야 한다.

매설접지선은 다음 각 호에 의한다.

. 매설접지선은 Cu35의 연동연선을 사용하여 지하 0.75m 이상의 깊이에 매설하고 선로 한 쪽에 시설한다.

. 신설 터널인 경우에는 터널공사시 상하선 양쪽에 매설접지선을 미리 포설하고, 매설접지선에 T접속하여 터널 벽면에 동제 터미널(동단자)250m마다 설치한.

. 기존 터널 및 교량구간에서 접지선을 매설하기 곤란 할 경우에는 절연접지선(GV 70)을 상하선 양쪽에 포설하여 접지망을 구성한다.

. 교량구간의 교각철근 접지방식은 교각바닥 철근과 접지선을 용융용접(산화구리와 알루미늄)하여 GV 70를 교각상부 1m까지 인출하고 전철주 앵커볼트와 교각철근은 상호 용접한다.

(8) 접지단자함은 운행속도 250킬로급 이하 구간에 250[m]마다 설치하고, 선로 피접지물 시설현황에 따라 설치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운행속도 300킬로급 이상 구간에서는 공동관로 내에 절연 접지선을 포설하며, 접속방법은 π접속 또는 T접속으로 한다.

(9) 공동관로 내에 포설되는 절연접지선은 모든 기기 등을 등전위 본딩 할 수 있도록 250[m]마다 매설접지선과 연결하며, 필요개소의 모든 피접지물을 절연접지선에 접속하여야 한다.

(10) 공통접지방식에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 및 규격은 다음 표에 의한다.


[] 공통접지방식 전선의 종류 및 규격

 

구 분

사용전선

수량

비고

매설접지선

Cu 35㎟

1조


매설접지선

Cu 35㎟

2조

양쪽

임피던스본드접속선

F-GV 70㎟

2조


횡단접속선

F-GV 70㎟

2조

상․하선 접속선

귀선전류귀환선

F-GV 70㎟

4조

AT 중성선

절연접지선

F-GV 70㎟
ACSR/AW-OC
95[㎟]

1조

보호선용 접속선

금속도체연결선

F-GV 70㎟

1조

선로변 금속도체 접속선



2  선로연변 접지대상물의 접지시공

(1) 공통사항

선로연변 접지대상물의 접지시공은 특별히 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KRCS 47 40 80 접지설비 설치공사"에 의한다.

접지선은 KS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노출되는 접지선은 접지용전선(F-GV 70, 녹색)을 사용한다.

매설 포설되는 접지선은 중간에 분기하지 말고 π분기 하여야 한다.

접지선과 접속금구류의 접속은 견고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지면상으로 노출되는 매설접지선의 경우 화학적, 기계적 보호를 위하여 PVC보호관을 사용하여야 한다.

매설접지선은 하계의 고온이나 동계의 동결로 인하여 토양의 함유수분 저하로 토양의 고유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지표면 0.75m이하에 매설하여야 한다.

접지선과 접지물과의 연결은 동관단자 등을 사용하여 압축접속을 하여야한다.

제 규정이 요구되는 접지저항값은 언제 시험하여도 소정의 저항값 이하로 얻을 수 있어야 하며, 접지선의 설치위치는 준공도면에 명확히 표시되어야 하고, 준공 후 하자보수 기간 이내에 소정의 저항값을 얻을 수 없을 경우에는 규정값 이내로 유지되도록 보강하여야 한다.

접지선은 수도관이나 가스관에 연결해서는 안된다.

접지대상물은 고상홈 안전난간, 교량 안전난간, 방음벽을 말한다.


(2) 고상홈 안전난간

고상홈 하부에 접지선을 포설하고 접지선은 1m간격마다 반새들로 견고하게 지지하여야 한다. , GV전선을 직접배선시에는 지지점 간격을 0.5m로 설치 할 수 있다.

접지선의 분기는 동압착 스리브를 사용하여 압축접속으로 분기하여야 한다.

안전난간이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개별로 된 경우에는 포설된 접지선에서 분기하여 안전난간 하부 지지볼트에 동관단자와 너트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접속하여야 한다.

포설된 접지선은 고상홈 양단의 가까운 접지단자함에 동관단자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연결하여야 한다.


(3) 토공, 교량구간 방음벽접지

방음벽의 재질이 철재 또는 알루미늄인 금속재질인 경우

. 방음벽 길이가 250m 미만인 경우는 방음벽 양끝단을 가까운 접지단자함에 연결 접속하여야 한다.

. 방음벽 길이가 250m 이상인 경우는 방음벽 양끝단과 중간에 250m 간격마다 가까운 접지단자함에 연결 접속하여야 한다.

. 방음벽 지지주 볼트에 연결하는 동관단자는 풀림이 없도록 견고하게 연결하여야 한다.

. 방음벽 지지주 볼트에서 인하하여 포설되는 접지선은 1m간격으로 반새들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지지하여야 한다.

. 배관을 사용하는 개소 중 꺽임이 있는 경우는 노말밴드를 사용하여 접지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방음벽의 재질이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 방음벽 길이가 250m 미만인 경우는 접지선을 포설하고 접지선에서 분기하여 방음벽 지지주 볼트에 동관단자로 연결하고 방음벽 양끝단을 가까운 접지단자함에 연결 접속하여야 한다.

. 방음벽 길이가 250m 이상인 경우는 접지선을 포설하고 접지선에서 분기하여 방음벽 지지주 볼트에 동관단자로 연결하고 방음벽 양끝단과 중간에 250m 간격마다 가까운 접지단자함에 연결 접속하여야 한다.

. 기타 설비는 (3). 내지 마. 에 의하여 시공한다.


(4) 교량구간 안전난간 접지

안전난간의 길이가 250m 미만인 경우는 방음벽 양 끝단을 가까운 접지단자함에 연결 접속하여야 한다.

안전난간의 길이가 250m 이상인 경우는 방음벽 양끝단과 중간에 250m 간격마다 가까운 접지단자함에 연결 접속하여야 한다.

안전난간 지지주 볼트에 연결하는 동관단자는 풀림이 없도록 견고하게 연결하여야 한다.

안전난간 지지주 볼트에서 인하하여 포설되는 접지선은 1m간격으로 반새들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지지하여야 한다.

배관을 사용하는 개소 중 꺽임이 있는 경우는 노말 밴드를 사용하여 접지선이 손상에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5) 기타 접지시설

철도선로변 원거리에 시설되는 철제 울타리, 난간 등의 접지는 공통접지의 매설접지선으로부터 일정한 거리(5[m])이하 일 경우 선로 연변의 공통접지에 연결한다.

공통접지의 매설접지선으로부터 일정한 거리(5[m])이상일 경우 현장 여건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 의한 개별접지를 시행할 수 있다.



3. 일반 보호시설 및 방호관 설치

(1) 전차선로가 과선교, 선상역사 등의 아래에 시설되는 경우에는 사람 및 합성전차선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양측 난간을 따라 3m이상 높이의 투척방지용 안전막을 견고히 설치하고 교량 철제류 및 보호망을 일괄 접속하여 접지한다.

(2) 교량, 터널입구, 선상역사 아래로 통과하는 조가선에는 조류 등에 의한 전선단선 사고 예방 및 하부 이격거리 부족을 보완하기 위하여 피복조가선을 사용한다.

(3) 과선교 및 선상역사 하부에는 안쪽으로 1m, 바깥쪽으로 5m 6m, 터널입출구는 안쪽으로 1m, 바깥쪽으로 3m 4m30kV급 절연 방호관을 철도전철전력참고도(전차)에 준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4) 고정 빔이 설치된 개소의 조류 서식에 의한 접촉으로 전차선 장애발생이 예상되는 개소에는 조류서식방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5) 조류 서식에 의한 접촉으로 전차선 장애발생이 예상되는 개소에는 조류서식방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조류서식방지설비는 내후성, 내열성,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비임을 감싸는 밀폐형 망구조 형태로 설치한다.

고정빔에는 가압부분 직상,하부에 설치하고 전선부분 상,하부에서 좌우 수평으로 1[m] 부분 까지 설치한다.

변전소(SS,SP,SSP,PP)의 인출개소 고정비임을 포함한다.

(6) 절연조가선은 표준규격에서 정한 제품을 사용하고 직선접속재를 비절연조가선 구간으로서 안전상 필요한 경우 사용한다.

(7) 안전상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과선교, 선상역사 하부를 통과하는 급전선은 과선교, 선상역사 전후에 내장형 설비를 각 한 개소씩 설치한다.

(8) 전차선로가 통과하는 과선교, 선상역사, 전철주 등에는 일반인에게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할 시설물에 적합한 위험표지를 설치해야 한다.

전철주에 설치하는 표지는 전주번호표와 같은 방향으로 역간에는 5경간마다, 역구내는 모든 전철주에 설치한다.

과선교 및 터널 등 보호망에는 합성전차선 직상부에 각각 선로(線路)의 수량과 같은 갯수의 표지를 설치를 원칙으로 한다. 다만, 현장의 여건에 따라 통행자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추가 설치는 가능하다.

역구내 선로변 및 도로에 인접한 개소 울타리에는 100m 간격으로 설치하고, 역간의 울타리는 출입문에 설치한다.

(9) 전차선로에 따라 설치되어 있는 건조물의 금속부분 등에서 유도에 의한 위험전압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은 매설접지선에 연결하여 접지를 해야 한다. 매설접지선이 없는 곳은 개별 접지를 한다.

(10) 전차선 등과 식물과의 이격거리는 5m 이상으로 하고 전차선 등과 식물과의 이격거리5m 이상 확보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현장여건을 감안하여 방음벽 설치, 대체수목 식재 등의 안전조치를 하여야 한다.

(11) 터널입구 이물질 접촉방지설비

(12) 터널입구 수목 등 이물질 접촉으로전차선 장애발생이 예상되는 장소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요인을 제거하거나 적합한 차단설비를 하여야 한다.



4. 보호판, 보호망

(1) 가공전차선로에 과선교, 터널입구 또는 도로구름다리 등이 접근하는 곳에는 필요에 따라 보호망()을 설치하고 이물질 투척이 불가능한 구조로 한다.

(2) 화물홈도로변 등 차량 및 통행인에 의하여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는 지지물은 철책크리트벽 등으로 방호설비를 하여야 한다.

(3) 방호관 및 보호망의 밖으로 나가는 폭은 가공전차선(급전선 및 전차선을 포함)폭의 양단에서 1m를 더한 길이 이상으로 하고 보호판의 수평길이는 그 연단에서 1.5m 이상으로 한다.

(4) 형상 및 치수는 철도전철전력참고도(전차선)에 의한다.

(5) 과선교 보호망의 접지는 매설접지선에 연결하고 보호망에 접지단자를 설치하여 접속 설치한다.



5. 전주 방호설비

(1) 정거장의 화물 적하장, 도로 등에 접근한 전주가 차량 등에 의하여 손상을 입을 염려가 있는 전주에는 전주 방호설비를 한다.

(2) 전주 방호설비는 철도전철전력참고도(전차선)에 의한다.


출처- 철도시설공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체 전차선 공사  (0) 2019.01.28
표지류  (0) 2019.01.28
섬락보호설비  (0) 2019.01.24
흡상변압기 설치 및 개폐기  (0) 2019.01.24
귀선로  (0) 2019.01.24


섬락보호설비




1. 이중절연방식

(1) 전차선로의 섬락보호방식은 이중절연방식(지락도선)으로 한다. 다만, 철주 또는 빔을 연속적으로 시설 할 경우에는 섬락보호지선방식으로 할 수 있다.

(2) 자동장력조정장치, 인류장치, 흐름방지장치, 가동브래킷의 애자의 부측은 지락도선을 설치하여 보호선 또는 부급전선에 직접 접속한다.

(3) 콘크리트주에 설치한 가동브래킷 등은 지락도선을 설치하여 보호선 또는 부급전선에 직접 접속한다. 직접 접속이 불리한 경우는 섬락보호지선이 설치된 빔에 접속한다.

(4) 지락도선은 부급전선, 보호선 및 섬락보호지선의 선종에 따라 경동연선 38, 강심알미늄연선 40등을 사용한다.

(5) 장간애자에는 지락도선용 밴드를 사용하며 지락도선과 밴드의 접속은 압착단자로 접속하고 부급전선 또는 보호선에 클램프로 접속한다.

(6) 장간애자는 이중절연으로 하고 접지측은 3,000[V]의 절연내력으로서 지락도선으로 부급전선 또는 보호선에 접속한다. , 연접철주 또는 연접 빔구간은 제외한다.

(7) 현수애자의 섬락보호는 장간애자의 경우에 준한다.

(8) 가공전차선로 및 급전선로의 가압부분에 사용하는 애자에는 필요에 따라 섬락보호설비를 한다. 다만, 구분 지점 및 다른 계통을 분리할 목적으로 전선에 삽입하는 애자는 제외한다.

(9) 조합철주(강관주, H형강주, 조립철주)로 시설된 전차선로에서 비절연보호선(FPW)로 설치된 구간은 지락도선을 생략한다.

(10) 승강장 등의 전주가 일반 공중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섬락보호설비의 지락 도선은 대지에 대하여 절연하고 부급전선 또는 보호선에 접속한다. 다만, 접지된 철주의 경우 생략할 수 있다.



2. 섬락보호지선방식

(1) 철주 또는 빔을 연속적으로 시설할 경우의 전차선로의 섬락보호방식은 섬락보호지선 방식으로 한다.

(2) 섬락보호지선에는 경동연선 38이상을 사용한다.

(3) 가공전차선 등의 가압부분과의 이격거리는 1.2m이상으로 한다.

(4) 고저압 가공전선, 통신선 등 타의 병가 전선과의 이격거리는 0.5m 이상으로 한다.

(5) 1마다 구분하여 접지저항 10[Ω]이하로 접지하고 그의 대략 중앙점에 보안기를 통하여 부급전선 또는 보호선에 접속한다. , 정거장 길이가 긴 경우 2이내까지 허용 할 수 있다.

(6) 섬락보호지선의 지표상 높이는 5m 이상, 건널목에 있어서는 6m이상으로 한다.

(7) 빔은 직접 섬락보호지선에 접속한다. 다만, 적용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단독접지방식으로 한다.

(8) 전차선로에서 비절연보호선(FPW) 설치구간은 섬락보호지선을 생략할 수 있다.



3. 단독접지방식

(1) 이중절연방식, 섬락보호지선방식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는 단독접지(10Ω 이하)를 시행한다.



4. 매설접지방식

(1) 등전위 접지를 목적으로 시설하는 전차선로의 비절연보호방식 구간은 매설접지방식으로 한다.

(2) 매설접지방식의 시설기준은 공통접지방식의 시설기준에 준한다.



5. 보호선 및 비절연보호선

(1) 보호선 및 비절연보호선에는 귀전류 용량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다만, 변전소등에 인접한 장소는 지락전류에 견딜 수 있는 용량의 것을 사용한다.

(2) 보호선의 지지와 배열은 철도전철전력설비시설지침의 급전선의 지지와 배열에 준하고 다른 전선과의 이격거리는 동 지침섬락보호지선준한다.

(3) 보호선의 지표상 높이는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KR CODE)급전선의 높이에 준한다.

(4) 보호선은 각선별(급전 방면별)로 단권변압기 상호간의 약 11.2마다 보호선용접속선으로 귀선레일(임피던스본드)에 접속하고 단말은 단권변압기의 중성점에 접속한다.

다만, 정거장구내에서는 홈 양쪽의 가장 가까운 임피던스본드 장소에 보안기를 통하여 접지 및 귀선레일(임피던스본드)에 접속한다.

(5) 복선 터널 내에서는 비절연보호선(FPW)을 상,하선 계통별로 각 1선으로 가선 하며, 전선용 브래킷 등의 금구류는 섬락보호지선(FPGW)으로 연접 가선하여 터널 입출구에서는 모두 공동 접속시켜 상하선별 전차선 전주의 비절연보호선과 각각 연결하여야 한다.

(6) 전주 하부에 설치된 가공 보호접지 인하선의 고정 단자와 매설접지선과 임피던스본드를 통해 모든 궤도간을 서로 횡단 접속하여 비절연보호선 매설접지선 및 궤도회로가 완전 등전위가 되도록 회로를 구성하여야 한다.

(7) 비절연보호선 가선시는 기온에 따른 가선 장력과 이도표에 의해 정확하고 안전한 이도와 장력으로 가선하여야 한다.



6. 보조부급전선과 보조보호선

(1) 지락도선을 직접 부급전선 또는 보호선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는 보조부급전선 또는 보조보호선을 시설하여 접속한다.

(2) 보조부급전선 및 보조보호선은 보호선 및 비절연보호선에 준하여 시설한다.



7. 보안기

(1) 보안기는 각 선별(급전 방면별)로 시설한다. 다만, AT급전구간에서 공용접지방식으로 설치된 구간은 제외한다.

(2) BT구간은 정거장 구내 승강장 양쪽 흡상선이 설치된 가장 가까운 장소에 보안기를 설치하여 부급전선에 접속하고 섬락보호지선을 통하여 대지와 접속한다.

(3) BT구간 정거장 간에는 흡상변압기에 보안기를 설치하여 부급전선과 연결하고 제1접지로 대지와 접속한다.

(4) AT구간의 정거장 구내에 설치하는 보안기는 섬락보호지선 양단에 병렬로 설치하여 보호선에 접속하고, 1종 접지로 대지와 접속한다.

(5) AT구간의 정거장간에 설치된 보호선용접속선으로부터 1마다 보안기를 설치하여 보호선에 접속하고, 공용접지에 연결한다. 다만, 비공용접지구간은 제1종 접지로 대지와 접속한다.

(6) 설치높이는 지표 상 3.5m이상으로 하고, 보안점검이 용이한 위치에 시설한다.

(7) 역간은 약 1마다 구분 접지한 섬락보호지선의 대략 중앙점에 시설한다.

(8) 보안기와 전차선로 가압부분, 저압 가공전선 및 통신선 등 병가전선과의 이격거리0.6m 이상 이격한다.



8. 피뢰기

(1) 피뢰기는 다음 각 호의 조건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피뢰기는 갭 레스형(GAP LESS TYPE, 산화아연형)을 사용하고 전차선 선로보호 요구성능에 만족하여야 한다.

. 제한전압 또는 충격방전개시전압이 충분히 낮고 보호능력이 있을 것

. 속류차단이 능력이 있고 동작책무특성이 충분할 것

. 대전류의 방전, 속류차단의 반복동작에 대하여 장기간 사용에 견딜 수 있을 것

. 상용주파 방전개시전압은 회로전압보다 충분히 높아서 상용주파방전을 하지 않을 것

유도뢰서어지에 대하여 2선 또는 3선의 피뢰기가 동시에 동작이 우려되는 변전소근처의 단락전류가 큰 장소에는 속류차단능력이 크고 또한 차단성능이 회로조건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적은 것을 사용한다.

(2) 전차선로용 피뢰기는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설치한다.

피뢰기는 흡상변압기 및 단권변압기의 1차측 및 2차측 급전용 케이블 단말에 설치한다.

주상에 설치하는 피뢰기는 지표 상 5m이상 높이에 설치한다.

피뢰기의 접지단자와 지중 접지도체 리드선과의 접속은 25의 전력케이블을 사용하고 지표 상 2m 높이까지는 절연 보호관으로 보호한다.

피뢰기 누설전류 측정이 가능하도록 피뢰기 본체와 지지대간 절연체 또는 절연애자를 삽입하여 시설한다.

(3) 케이블 급전선에 차단기 투개방 또는 뇌 서어지에 의하여 차폐층(시스)에 유기되는 이상전압등으로 부터 시스보호를 위하여 시스보호용 피뢰기를 다음 각호와 같이 설치하여야 한다.

급전케이블의 길이가 100[m] 이하인 경우 시스보호용 피뢰기를 설치하지 않는다.

급전케이블의 길이가 100[m]를 넘고 600[m] 이하인 경우 일단에 시스보호용 피뢰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급전케이블의 길이가 600[m] 이상인 경우 차폐층의 유기전압에 의해 케이블이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기전압를 100V이하(3.1,3.2,3.3)로 제한해야 하며, 이때 케이블 길이 및 설치 조건을 고려하여 시스보호용 피뢰기를 편단 또는 양단에 설치하여야 한다.

(4) 피뢰기접지는 공통접지단자에 접속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피뢰기는 전용완철에 설치하고 철주의 경우는 피뢰기의 접지선을 분리 시공하며 리드선은 충분한 이격거리와 여유를 갖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출처-철도시설공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지류  (0) 2019.01.28
접지장치와 보호설비  (0) 2019.01.24
흡상변압기 설치 및 개폐기  (0) 2019.01.24
귀선로  (0) 2019.01.24
급전선로  (0) 2019.01.24


기기설비



1. 흡상변압기 설치

(1) 흡상변압기는 주상 또는 지상에 설치한다. 다만, 지상에 설치할 때는 방호설비를 하여야 한다.

(2) 흡상변압기의 설치간격은 4를 표준으로 하며, 운전전류와 통신유도장해의 정도에 따라서 용량 및 설치간격을 조정한다.

(3) 주상에 설치하는 흡상변압기의 높이는 지표상 5m 이상으로 시설한다.다만, 부득이한 경우에는 철도전철전력설비시설지침의 개폐기에 준하여 시설할 수 있다.

(4) 흡상변압기를 설치하는 곳에는 구분장치(에어섹션애자섹션 또는 수지제 절연구분장치 등)를 설치한다.


2. 개폐기

(1) 개폐기는 운전계통별상하선별방향별전압위상별로 구분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2) 정거장구내 측선은 필요에 따라 본선으로부터 적당한 군으로 분리하여야 한다.

(3) 일상검사선 등 차량을 점검정비하는 선과 화물적하장은 매선마다 구분개폐기에 의하여 구분한다. 다만, 전기차차고선은 본선에서 구분하여야 한다.

(4) 개폐기는 되도록 모아서 설치하여야 한다.

(5) 개폐기는 지표상 5m 이상에 설치한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

개폐기는 되도록이면 전용부지에 설치하고 사람이나 동물 등 위험이 없는 위치에 설치한다.

사람이나 동물 등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주위에 적당한 울타리를 설치할 경우는 그 울타리로부터 충전부분의 합이 5m 이상이 되도록 하고 위험 주의표를 게시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6) 개폐장치에는 부하상태에서 개폐할 수 있는 부하개폐기(LBS), 무부하 상태에서만 조작 가능한 단로기(DS)의 두 종류로 구분 설치하여야 하며, 단로기는 설치조건에 따라 동력단로기(PDS) 또는 수동단로기(HDS)로 설치한다.

(7) 부하개폐기(LBS)는 본선로의 절연구분장치 개소와 에어섹션개소(건널선),비상시 타력 운전설비 설치개소 등에서 전차선로 전주나 부득이한 경우는 전용 단독주에 설치하여야 한다.

(8) 수동단로기(HDS)는 역 구내측선 구분 개소 등에서 무부하시에 수동으로 레버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원격제어도 가능한 동력단로기(PDS)로 설치 할 수 있.

(9) 단로기는 개폐상태를 밑에서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10) 개폐기를 설치할 때는 다른 가압부분 또는 구조물 등과의 안전 이격거리 확보에 유의 하여야 한다.

(11) 개폐기를 사람이 조작할 때 전기적인 안전을 위해 조작자가 올라서서 개폐기를 조작 할 수 있는 발판지지대를 설치하여야 한다.

(12) 개폐기는 조작 후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아무나 조작할 수 없도록 개폐기 조작장치에 쇄정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13) 개폐기 지지철물, 기기장치 및 조작 발판대를 보호회로(공통접지회로)에 결선하여 접지회로가 완전히 구성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14) 전차선로용 개폐기 관리번호는 역구내 및 역간별로 다음 각 호에 의거 부여한다.

역구내 상하본선 연결용 무부하개폐기는 300대로 한다.

변전소, 구분소 인출에 설치하는 가공전차선 급전용 무부하개폐기는 500대로 하고 절연구간 내 비상급전용 무부하개폐기는 400대로 한다.

구내 측선용(화물 하역선 제외) 무부하개폐기는 600대로 한다.

화물 측선용(하역장용) 무부하개폐기는 700대로 한다.

기지내 차고 무부하개폐기는 800대로 한다.

전원 절체용 무부하개폐기는 900대로 한다.

상기 300대 내지 700대 무부하개폐기 둘째10자리 번호는 하선측무부하개폐기는 50, 상선측 무부하개폐기는 60대로 하고, 800대 내지 900대는 0으로 한다.

역간 본선로(변전소 앞) 무부하개폐기의 첫째1자리 번호는 1, 종점측은 2번으로 한다.

상기 600대 내지 800대 무부하개폐기의 첫째1자리 번호는 선로번호순으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출처-철도시설공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지장치와 보호설비  (0) 2019.01.24
섬락보호설비  (0) 2019.01.24
귀선로  (0) 2019.01.24
급전선로  (0) 2019.01.24
장력조정장치  (0) 2019.01.23


귀선로


1. 부급전선의 선종과 표준장력

(1) 부급전선의 선종과 표준장력은 다음 표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 부급전선 선종과 표준장력

 

선종㎟

표준장력[kN]

비닐절연전선 250
경알루미늄연선 200
경동연선 150
경알루미늄연선 95

2.940
2.450
8.820
0.980



2. 부급전선의 높이

(1) 부급전선의 높이는 급전선의 높이에 준하여 시설한다.



3. 흡상선

(1) 흡상선은 흡상변압기 설치간격의 중앙에서 복궤조식은 임피던스 본드의 중성점에 단궤조식은 귀선 레일측에 부급전선을 접속한다.

(2) 흡상선에는 600[V] 비닐절연케이블[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케이블(CV]] 100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을 사용한다.

(3)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는 트로프 또는 관로에 수용하고 궤도 밑을 횡단할 때는 노반면에서 750이상의 깊이에 매설한다.

(4) 지표상 2m의 높이까지 절연관 등으로 보호한다.

(5) 흡상선은 2본 병렬로 시설한다.



4. 중성선 및 보호선용 접속선

(1) 중성선 및 보호선용 접속선은 흡상선에 준하여 시설한다.

(2) 단권변압기 설치장소에서 귀선레일과 연결된 임피던스 본드의 중성점을 단권변압기의 중성점과 접속한다.

(3) 보호선용접속선은 흡상선에 준하여 시설하되 설치간격은 0.8~2.5이내로 하되 궤도회로 2~3개 이상 이격하여 설치한다. 다만, 1본만 시설할 수 있다.



5. 변전소 인입귀선

(1) 지중식은 600[V] 비닐절연케이블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을 사용하고 흡상선에 준하여 시설한다.

(2) 가공식은 급전선의 지지와 배열에 준하여 시설한다. 다만, 애자의 사용구분은 공단 철도전철전력설비시서지침의 애자의 사용 구분표에 의하고 귀선레일과의 접속은 흡상선에 준한다.



6. 귀선로의 접속

(1) 귀선로는 우선적으로 레일을 통하므로 레일의 도전성과 연속성(이음매의 접속)이 최대로 확보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2) 귀선로는 임피던스를 최저로 낮추기 위해 가급적 최단거리가 되도록 설계하고 회로의 직렬 연속성이 확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 주귀선레일과 변전소(AT 설치개소) 사이에 설치되는 변전소 인입귀선(중성선)은 최단 거리로 케이블 길이가 100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다음 각목의 2구간으로 구분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귀선로 케이블의 전기저항 및 허용전류 등을 고려하여 타당한 경우 예외로 할 수 있다.

귀선레일로 부터 변전소간에 설치된 맨홀에 위치한 접속 단자판까지

접속 단자판에서 변전소까지

(4) 접속단자와 궤도 사이의 배선 수는 궤도당 절연전선 F-GV 704선으로 배선하고 각레일간에는 절연전선 F-GV 702선으로 레일에 견고히 고정 연결하여야 한다.

(5) 궤도회로가 없는 주귀선레일에 연결된 보조귀선레일(측선, 부본선 등)은 주귀선레일과 적어도 두 지점의 각 끝을 연결한다. 그러나 선로 끝 부분이며 짧은 거리만 전철화 되어 있으면 단일(두 선으로) 연결도 할 수 있다.

(6) 궤도회로가 구성되어 있고 주귀선레일에 연결되는 보조귀선레일 궤도회로의 정상적인 운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보조귀선레일의 한쪽 끝만이 주귀선레일에 연결한다.

그러나 보조귀선레일의 길이가 적당하면(두 개의 외부접속의 허용거리와 같으면) 귀선레일에 대한 추가적인 접속을 할 수 있으며 이 접속은 횡단접속 쪽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전선의 접속은 임피던스본드의 중앙 또는 공심자기유도코일에 연결하여 야 한다.

(7) 보조귀선레일은 반드시 매설접지선에 연결하거나 가공보호선이 설치된 전차선로 지지물의 아래 부분에 설치된 접지단자 볼트에 접속하여야 한다.

(8) 보조귀선레일이 주귀선레일과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100[m]가 초과되면 접지설비를 하여야 한다.

(9) 레일이음매의 절연은 다음과 같이 한다.

전철구간 종단, 귀선레일과 다른 레일과의 분기점, 정거장구내 선로의 귀선 종단지점 및 기타 필요한 곳에는 레일 이음매 절연을 시설하여야 한다.

전차선로의 애자형 섹션과는 연직선상으로부터 3[m]이상 이격하여야 한다.



출처-철도시설공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락보호설비  (0) 2019.01.24
흡상변압기 설치 및 개폐기  (0) 2019.01.24
급전선로  (0) 2019.01.24
장력조정장치  (0) 2019.01.23
구분 장치  (0) 2019.01.23


급전선로


1. 급전선의 선종과 표준장력

(1) 급전선에 사용하는 전선은 전기차의 부하특성 등 운전조건과 공해기후구조물 및 기타 조건 등을 고려하여 채택하고, 그 사용온도가 허용 최고온도 범위 이내를 유지하여야 한다.

(2) 염해 등 공해지역과 강풍구간에는 경동연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선종을 사용한다.

(3) 급전선에 사용할 선종과 표준장력은 다음 표와 같다.


[] 급전선 선종과 표준장력


선종㎟

표준장력[N]

경동연선 325
경동연선 200
경동연선 150
경동연선 125
경동연선 100
경알루미늄연선 510
강심알루미늄연선 330
강심알루미늄연선 288
강심알루미늄연선 200
강심알루미늄연선 160
강심알루미늄연선 95

11,760
9,800
8,820
7,840
5,880
6,860
9,800
8,820
4,900
3,920
1,960

(주) : 표준온도 10℃기준이며, 사용주위 온도는 +40(℃)부터-25(℃)까지 지역 기준으로 한다.


 

2. 급전선의 높이

(1) 가공 급전선의 높이는 전차선 높이 이상이고 적절한 절연 이격거리를 확보하여야 하며 최대 이도의 경우 다음 표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케이블의 경우 별도의 전선관로 또는 공동관로 등에 수용하여 포설할 경우 높이와 무관하게 시설할 수 있다.


[] 급전선의 높이


종별

적요

높이

도 로 횡 단

도로면상

6m 이상

철 도 횡 단

궤도면상

6.5m 이상

기 타 장 소

지 표 상

6m 이상

건 널 목

지 표 상

전차선 높이 이상(최소 5m)

터널, 구름다리, 교량 등

지 표 상

부득이한 경우 3.5m 이상(케이블의 경우)


 

3. 급전선 상호간의 이격거리

(1) 급전선 상호간의 수평수직의 이격거리는 경간 및 전선 상호간 장력의 차이 등을 고려하여 혼촉 되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2) 급전계통이 다른 급전선의 가압부분 상호간은 1,200이상 이격한다.



4. 급전선의 접속

(1) 급전선의 접속은 직선스리브 접속으로 하며 전선의 재질이 다른 급전선을 접속할 때에 는 양쪽의 전선을 인류하여 장력이 없도록 하고, 이종슬리브를 사용하여 접속하여야 한다.



5. 급전분기선

(1) 전차선로의 급전분기선은 속도등급 200킬로급 이하에서 100이상의 동연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전선을 사용하고 운전전류가 큰 구간은 이중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2) 급전분기선과 전차선과의 접속은 자동장력조정장치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시설하고 조가선과 전차선을 균압 한다.

(3) 급전분기선과 조가선을 접속한다.

(4) 급전개폐기 설치개소에 사용하는 동봉접속은 슬리브를 사용하여 압축 접속하여야 한.

(5) 속도등급 250킬로급 이상 절연구분장치의 중성구간에 설치된 양 전원선 인류개소의 중간절연부분과 전차선간을 연결하는 균압선은 양측 평행개소의 중간전주 브래킷(류측 브래킷)에 지지하여 연속균압선을 설치하여야 한다.

(6) 급전분기선의 접속은 슬리브 또는 클램프접속으로 한다.



6. 구조물 하부에서의 급전선 처리

(1) 과선교 등 구조물의 하부에 급전선 설치시에는 지지애자로 한다. 다만 인류지지점간 수평상태의 급전선과 수직이격거리 300mm 이상 확보되는 구조물은 지지애자 설치를 제외할 수 있다.

(2) 과선교 등 구조물 하부에서 부득이 절연이격거리 확보가 곤란한 경우 또는 구조물 관리기관의 설치 미승인 개소는 감독자와 상의하여 케이블로 시설한다.


출처-철도시설공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흡상변압기 설치 및 개폐기  (0) 2019.01.24
귀선로  (0) 2019.01.24
장력조정장치  (0) 2019.01.23
구분 장치  (0) 2019.01.23
가공전차선로  (0) 2019.01.23



장력조정장치



1. 일반사항

(1) 가공전차선로의 장력조정장치는 자동식과 수동식으로 구분되며 그 종류는 다음과 같.

자동장력조정장치는 활차식, 도르래식, 스프링식으로 구분된다.

수동장력조정장치는 턴버클식, 조정스트랩식으로 구분된다.

(2) 가공전차선로의 장력조정장치는 다음 각 호에 의한다.

전차선조가선 및 빔하스팬선의 온도변화에 따른 장력변화는 자동장력조정장치에 의하여 조정한다.

자동장력조정장치는 온도변화조정거리설치장소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3) 자동장력조정장치의 사용구분은 다음 각 호에 의한다.

활차식 및 스프링식은 인류구간의 길이가 800m이하인 경우는 한쪽에 800m를 넘는 경우는 양쪽에 설치한다.

고속철도에 사용하는 도르래식은 인류구간의 길이가 750m이하인 경우는 한쪽에, 750m를 넘는 경우는 양쪽에 설치한다.

빔하스팬선용 스프링 밸런서는 빔하스팬선의 한쪽에 설치한다. 다만, 빔하스팬선을 2본 이상 연속하여 시설할 때는 스프링 밸런서의 설치위치는 지그재그로 설치하고, 차고차량기지 등에서 4선 이하인 경우는 턴버클로 할 수 있다.

(4) 자동장력조정장치의 설치는 다음 각 호에 의한다.

인류구간의 한쪽에 자동 장력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구배가 낮은 쪽에 설치한다.

조가선 및 전차선은 억제저항이 적게 되도록 시설한다.

활차식과 도르래식은 표준장력kN에 맞는 활차비와 종류를 선택하고, 스프링식은 표준장력kN및 표준장력거리m에 맞는 종류를 선택하여야 설치한다.

(5) 수동장력조정장치의 사용구분은 다음 각 호에 의한다.

턴버클식은 자동장력조정장치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합성전차선 또는 전차선에 사용한다.

조정스트랩식은 활차식에 보조용으로 사용한다. 다만, 와이어턴버클로 대체할 수 있다.

(6) 장력조정장치의 시공표준은 공단에서 따로 정한다.

(7) 방음벽 등의 외측에 설치되는 장력조정장치는 점검이 가능하도록 출입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스프링식으로 장력조정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2. 전차선 및 조가선의 표준장력

(1) 전차선 및 조가선의 표준장력은 다음 각 호에 의하며, 가선시스템의 변경 또는 개발시 따로 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전차선 및 조가선을 일괄 자동조정 하는 경우


[] 전차선 및 조가선 일괄 자동장력조정


전차선

조가선

비고

선종[㎟]

장력[N]

선종[㎟]

장력[N]

Cu 110

9,800

CdCu 70

9,800


CWSR 65, CuMg65


St 90


11,760

Bz 65
CWSR 65, CuMg65

11,760


13,720

Bz 65, CuMg65

13,730

Cako250

Cu 170

14,700

CdCu 80

14,700


Cu 150

13,720

Bz 65
CWSR 65, CuMg65

13,720


  

전차선 및 조가선을 개별 자동 장력조정하는 경우


[] 전차선 및 조가선 개별 자동장력조정


전차선

조가선

비고

선종[㎟]

장력[N]

선종[㎟]

장력[N]

Cu 150

19,600

Bz 65, CuMg65

13,720

300킬로급

Cu-Sn 150

25,400

Bz116, CuMg116

19,600

350킬로급




 

3. 활차식(A형 기준 : 수도권형)

(1) 합성전차선의 장력장치는 선로에 구배가 있는 선구에서는 인류구간 구배의 낮은 쪽에 설치한다.

(2) 활차식(WTB : Wheel Tenstion Balance) 은 합성전차선을 일괄 조정한다. 다만, 300m 이하의 건넘선의 경우는 전차선만 따로 할 수 있다.

(3) 자동장력조정장치의 활차용 상부밴드는 레일면상 6,000의 위치에 설치하고 전차선을 레일면상 약 5,600의 위치에 오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4) 본선과 측선의 장력장치의 무효부분의 합성전차선이 교차하는 개소의 경우는 측선의 활차를 100~150높게 설치(상부밴드 6,100~6,150)하여 교차지점의 조가선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5) 활차에 사용하는 와이어 로우프의 길이는 다음 표와 같으며, 추 지지용 상하 지지대간의 거리(유도봉 길이)5m를 표준으로 한다.


[] 장력조정장치 와이어 로프 길이


명칭

콘크리트추

철 추

19.6kN
(2ton)

29.4kN
(2.8~3ton)

19.6kN
(2ton)

29.4kN
(2.8~3ton)

소활차 와이어

1.8×2
=3.6m

2.4×2
=4.8m

2.3×2
=4.6m

3.0×2
=6.0m

대활차 와이어

5.7m

6.5m

7.52m

7.9m

  

(6) 로우프는 온도 10를 기준으로 하되 19.6kN(2)은 와이어 로우프(0.18×19×6, D=12)를 큰 바퀴와 작은 바퀴에 각각 11/4회씩 감는 것을 표준으로 하고, 29.4kN(3)은 큰 바퀴에 11/8, 작은 바퀴에 11/4회 감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7) 자동장력조정장치에는 전량의 콘크리트추 또는 철추를 올려 놓고 와이어 로우프는 활차에 포개지지 않도록 감되, 로우프 상호간 간격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8) 자동장력조정장치를 시설하는 전주가 사각형전주(H형강주, 조합철주)일 때에는 활차 방향이 전차선의 인류방향과 일치되도록 개량된 지지금구를 사용하여 장력추 작동에 지장이 없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9) 자동장력조정장치 추유도 하부 지지대 취부밴드를 레일면(RL)상에 2톤용의 경우 50, 3톤용의 경우 100지점에 일치시켜 설치하면 상부 활차위치가 적정하게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건넘선 또는 측선은 RL+200300지점에 설치한다.

(10) 자동장력조정장치 추의 높이는 합성전차선의 선종에 따라 조정하되, 신설의 경우는 전차선의 늘어남(Creep 신장)을 감안하여 규정치보다 200(Y길이+200)정도 높게하고, 스톱바 간격은 활차로부터 2030를 유지하여야 한다.

(11) 개별 장력 설치시는 전차선 및 조가선의 밴드설치 위치를 공단 감독자와 협의 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12) 중추에 철추를 사용할 때에는 합성전차선의 실제 길이에 상관없이 A길이 Y길이 조정은 최대장력거리 800m를 기준으로 한다.



4. 스프링식 자동장력조정장치

(1) 빔하스팬선용 스프링밸런서(이하 밸런서라 한다.)는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시설한다.

빔하스팬선용 밸런서는 표준온도 10일 때 스프링 동작범위의 1/2이 되도록 스트로크(Stroke) 인출하고 온도변화에 따라 비례 조정한다.

밸런서의 배수구멍은 지면쪽으로 시공해야 한다.

직선 구간에서는 밸런서를 설치할 때 전주번호가 홀수는 좌측, 짝수는 우측에 설치함 하고 곡선로인 경우는 곡선 외측에 설치한다.

(2)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KRSB : Korea Railroad-Spring Tension Balancer)는 다음 각호에 의하여 설치한다.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 설치 작업시에는 사전에 기술적인 사항을 검토 숙지한 후 설계도를 참조하여 감독자와 충분히 협의한 후에 시공하여야 한다.

스프링식 자동장력조정장치 설치시 KRSB의 각 부에 파손 및 변형, 탈락이 생기지 않도록 취급하여야 한다.

KRSB는 표준장력, 표준장력거리, 합성전차선의 선종에 따라 선택 사용하여야 하, 그 종류는 다음 표에 의한다.


[] KRSB의 종류


표준장력(kN)
(공칭장력)

종 류

동작범위
(Stroke)(㎝)

주용도 / 선종

최대장력거리(m)
(표준장력거리

19.6 (20)

KRSB-20-S50

50

Simple Catenary GT
110㎟(10kN)-Cdcu70㎟(10kN),
CWSR 65㎟의 일괄인류

570(550)

KRSB-20-S63

63

680(650)

KRSB-20-S76

76

800(750)

23.5 (24)

KRSB-24-S37

37

Simple Catenary
GT 110㎟(12kN)- Cdcu
70㎟(12kN) Bz65㎟(12kN),CWSR
65㎟의 일괄인류

470(450)

KRSB-24-S49

49

630(600)

KRSB-24-S62

62

800(750)

27.4 (28)

KRSB-28-S36

36

Heavy Simple Catenary
GT 150㎟(14kN)-Cdcu
65㎟(14kN) Bz 65㎟(14kN),CWSR
65㎟

470(450)

KRSB-28-S48

48

630(600)

KRSB-28-S60

60

800(750)

 29.4 (30)

 KRSB-30-S39

 39

Heavy Simple Catenary
GT 170㎟(15kN)-Cdcu
80㎟(15kN)의 일괄인류 

 470(450)

 KRSB-30-S53

 53

 630(600)

 KRSB-30-S63

 63

 800(750)


 

전주에 설치시는 소정의 밴드 또는 설치금구를 사용하여 합성전차선의 장력방향과 일치시켜 설치도면에 의거 견고히 설치하고 턴버클부 현가봉을 설치하여 밸런서의 처짐이 없도록 한다.

눈금봉은 반드시 하향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파손되지 않도록 최후에 설치한다.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 설치시 온도를 측정하여 다음 공식에 의거 스트로크 길이를 계산한 후, 계산된 값을 눈금자 가이드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



밸런서의 인출량을 결정할 때에는 표준온도10에서 눈금봉의 O(S/2)을 기준으로 해서 무색부분에 표시해 있는 눈금의 범위에서 설정한다.(눈금봉 가이드를 기준으로 해서 눈금을 읽는다.)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 설치 후 스트로크 길이를 시간대별로 측정하여 KRSB의 정상운영조건(절대오차 평균값유효스토로크의 10%범위를 벗어날 시에는 스트로크 조정 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절대오차 평균값: 측정오차(절대값)의 합계 / 정횟수]

외기온도(또는 전선온도)에 맞는 장력(인출량)으로 설정한다.

[가선시 스트로그(Stroke) 조견표 참조]

눈금봉의 눈금보기(읽기)는 눈금봉 중앙 O(1표시)이 표준온도시의 설치위치이고, 눈금봉 선단방향(전주측)(+)눈금, 눈금봉 설치방향(가선측)(-)눈금이다.



5. 수동장력조정장치

(1) 턴버클은 자동장력조정장치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터널 내 합성전차선 또는 전차선 및 조가선의 개별조정에 사용하며 그 종류 및 조정범위는 다음과 같으며 사용개소에 따라 선택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 전차선 및 조가선 개별 자동장력 조정범위

 

종별

종별 조정범위(㎜)

최대조정길이(㎜)

최소조정길이(㎜)

비 고

L-6

600

1,432

832

장력조정장치용

L-4

400

1,032

632

장력조정장치용

L-2

200

632

432

흐름방지, 가압빔, 애자섹숀
KRSB 현가장치 등


(2) 조정스트랩은 활차식 자동장력조정장치의 보조용으로 요크와 전차선 또는 조가선 사이에 삽입하여 전차선 및 조가선을 장기간 사용하여 늘어났을 때 활차 로우프 A길이를 간단히 조정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3) 신설하는 자동장력조정장치에는 L-4 또는 L-6를 장력길이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4) 조정스트랩은 전차선 또는 조가선이 늘어났을 때 대비하여 초기 설치시는 최대로 뽑아 설치하여야 한다.



6. 인류장치

(1) 인류장치의 장주는 설계도에 의하여 정밀시공 하여야 한다.

(2) 인류구간 활차식 및 스프링식 자동장력조정장치인 경우 인류구간이 800m 이하일 때와 도르래식의 경우 인류구간이 750m이하일 때에는 일단에 설치한다.

(3) 인류장치는 전주에 견고하게 설치한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에는 콘크리트 옹벽 등에 시설할 수 있다.

(4) 인류 전용주는 가선 종단주 이외에는 별도로 시설하지 아니 함을 원칙으로 한다.

(5) 급전선부급전선 및 보호선은 직선접속을 원칙으로 하며, 인류시 인류장치는 선로횡단 및 터널입구 등의 취약 지점이나 보수상 필요한 곳, 횡장력이 극히 심한 구간(곡선반경 300m 이하)의 장력을 분할할 필요가 있는 곳에 설치한다.

(6) 급구배 구간 등에서 전차선의 흐름이 발생할 염려가 있을 때에는 선로구배 윗쪽에 직접 인류장치를 설치하고 선로구배 아래쪽에만 장력조정장치를 설치하도록 한다.

(7) 합성전차선 인류장치는 조가선과 전차선을 분리하여 개별 설치하여야 한다.

(8) 전주밴드 등 인류용 철물은 견고하게 제작, 시공되어야 하며 지선용과는 분리 시설하여야 한다.

(9) 밴드간격은 600~1,000로 하고 조가선과 전차선의 삽입애자는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0) 현수애자를 사용하는 인류장치의 인류봉 등 용접부위가 있는 금구류는 제작도면대로 제작되었는지 확인하고 용접상태를 사용 전에 반드시 검사하여 양호한 것만 사용하여야 한다.

(11) 수동장력조정장치의 와이어 턴버클은 인류길이에 따라 L-4 또는 L-6를 사용한다.


출처-철도시설공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선로  (0) 2019.01.24
급전선로  (0) 2019.01.24
구분 장치  (0) 2019.01.23
가공전차선로  (0) 2019.01.23
전철용 애자  (0) 2019.01.17


구분 장치



1. 일반사항

(1) 구분 장치의 종별과 사용구분 및 속도는 다음 표에 의한다.


[] 구분장치 종별과 사용구분


구분

종별

세목

사용구분

속도[㎞/h]

비고






동상
구분
장치

에어섹션
(Air Section)


동상의 본선 구분용

설계속도


애자섹션
(Section
Insulator)

현수애자제

동상 상, 하선 및 측선 구분

45


장간애자제

동상 상, 하선 및 측선 구분

85


FRP제

동상 상, 하선 및 측선 구분

120


절연구분장치
(Neutral Section)

FRP제

이상 구분 또는 교/직 구분 120

120


NS-25

이상 구분 또는 교/직 구분 120

200


PTFE제

이상 구분

180


이중에어섹션

이상 구분

설계속도


비상용(Emergency Section)

사고시 긴급 구분용

설계속도

상시는
전기적으로
접속





 에어조인트
(Air Joint)

 본선 구분

 합성전차선 평행설비 구분

 설계속도

 

 R-Bar조인트
(Expansion Element)
T-Bar조인트
(Expansion Joint

 본선 구분

 강체 전차선 평행설비 구분

 120

단, 적합한
시스템 변경
및 개발시
따로 적용
가능


 

(2) 복선구간에서의 에어섹션, 에어조인트 등의 평행구간의 인류방향은 교차 개소를 열차 진행 방향에 대해 출구 측(진행 방향 쪽)에 설치하도록 하여야 한다.(출구 측 인류선을 상부에 둠)

(3) 평행구간에서 무효부분의 인류점까지의 전차선의 구배는 5/1000~10/1000 정도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4) 모든 구분장치는 팬터그래프 통과시 가선의 동요, 충격, 잡음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밀하게 조정 설치하여야 한다.

(5) 구분장치는 전차선의 변화와 이동이 작은 개소로서 편위 0±50이내의 지지점 및 인류장치 또는 흐름 방지로부터 200m이내의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6) 애자구분장치의 슬라이더는 선로면과 수평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수평기를 사용하여 조정하여야 한다. 선로 캔트(Cant)가 있는 곳은 전차선장비(모터카)를 투입 팬터그래프로 기울기를 조정하여야 한다.

(7) 스라이더의 면은 구분애자에 연결된 전차선의 끝부분 면보다 산업선은 7, 수도권은 10낮게 조정하여야 한다.



2. 전기적 구분장치의 설치위치

(1) 전기차(팬터그래프)가 신호기의 현시에 의해 정지할 우려가 없는 위치에 설치하며, 기차량이 수시 정차하는 곳에는 구분장치를 설치하지 않는다.

(2) 복선구간에서 장내신호기 부근에 설치하는 구분장치는 장내신호기의 위치와 일치시키거나 또는 그 내측에 시설한다.

(3) 복선구간에서 출발신호기 부근에 설치하는 구분장치는 입환을 행하는 역단 분기기에서 인상 열차길이에 50m를 가산한 길이 이상 이격한다.

(4) 상기 3항의 이격거리를 택할 경우 구분장치와 그 전방의 폐색신호기까지의 거리가 당해 선구를 운전하는 열차장에 50m를 더한 값 이하일 경우에는 폐색신호기의 내측에 시설한다.

(5) 단선구간에서 장내신호기 부근에 설치하는 구분장치는 장내신호기의 외측에 당해 선구를 운전하는 열차장에 50m를 더한 값 이상 이격한 위치에 설치하며 입환을 행하는 구간은 3항에 의한다.

(6) 정거장간에 설치하는 구분장치는 폐색신호기 위치와 일치시킨다. 다만, 단선구간으로 하의 폐색신호기의 외방이 중복할 경우에는 대향의 신호기 어느 것에서 당해 선구를 운전하는 열차장에 50m를 더한 값 이상 이격한 위치에 시설한다.

(7) 입고선에 설치하는 구분장치는 차량 정지표지에서 전방20m 이격한 위치에 시설한다.

(8) 절연구분장치(Neutral Section)는 열차가 타행으로 통과 할 수 있도록 변전소 앞 및 구분소 앞에 설치한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 급전조건, 차량의 성능, 신호기 위치 및 열차 운전조건을 관련부서 관계자와 협의 후 선정한다.



3. 에어섹션

(1) 동상의 본선 구분용, 흡상변압기로 구분하기 위하여 에어섹션을 설치한다.

(2) 두 개의 평행한 전차선 상호간의 이격거리는 다음 표와 같이 확보하여야 한다.


[] 두 개의 평행한 전차선 상호 이격거리

 

속도등급

이격거리(㎜)

비 고

300킬로급 이상

500 이상


250킬로급

400 이상


200킬로급 이하

300 이상

부득이 한 경우 250㎜까지 단축할 수 있음


(3) 구분용 애자는 애자의 하단이 본선의 전차선 높이에서 유효부분이 1경간 평행개소200mm, 2경간 평행개소는 350mm이상 올린다.

(4) 평행부분의 경간은 유효부분을 2경간 표준으로 설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속도등급 200킬로급 이하에서는 경간이 50m 이상 일 때 유효부분을 1경간으로 설치할 수 있다.

(5) 경간과 편위, 가고는 기본도에 의해 설치하며 중심 전주의 쌍브래킷 개소 전후에서 평행 등고 구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6) 평행부분의 동일 급전계통에 속하는 전차선과 조가선의 사이는 상호 균압 한다.

(7) 2경간 평행개소에서 평행부분에 있어서 양방향의 전차선 레일면 높이의 등고 부분이 3m이상이 되도록 시설하고, 1경간 평행개소의 등고 부분은 500mm이상 되도록 한다.

(8) 무가압부분의 전차선과 조가선은 근접하는 가압부분의 전차선, 조가선과 상호 균압하고 TMMT 균압선은 인류쪽의 제1드로퍼와 제2드로퍼 간에 설치한다.



4. 애자섹션

(1) 동상 구분용으로 역구내 선별, 선로 그룹별 급전구분을 하기 위하여 애자 섹션(SectionInsulator)을 설치한다.

(2) 건넘선 및 측선에 설치하는 애자섹션(Insulator-Section)은 본선을 통과하는 열차의 팬터그래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본선의 궤도 중심면에서 될 수 있는 한 멀리 이격한다.

다만, 하본선 건넘선에 설치하는 것은 중앙지지점에 설치해야 한다.

(3) 애자섹션의 설치위치는 전차선 지지점에서 에자섹션 중심까지(건넘선 4.5m, 측선 1.5m)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4) 애자섹션은 인류점으로 부터 가급적 가까운 곳에 설치하고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이 없어야 한다.

(5) 애자섹션이 설치된 개소에는 구분장치 앞뒤의 전차선과 조가선을 상호 균압한다.

(6) 슬라이더(Slider)의 높이는 선로면과 평행되게 조정하고 본선 전차선의 단말접속부는 슬라이더 접동면보다 5~7mm정도 낮게 되도록 조정하여 팬터그래프 접동시 충격이나 진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7) 애자섹션은 궤도중심(편위 0)에 설치해야 하며, 팬터그래프 접촉 동작부인 슬라이더부와 의 전차선 접속부는 열차통과에 지장이 없도록 수평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8) 팬터그래프 통과시 동요가 적고 아크가 완전히 끊어져 아크로 인해 절연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9) 애자섹션 설치 경간은 애자섹션 종류에 따라 아킹혼과 조가선간 간격, 처짐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5. 절연구분장치

(1) 절연구분장치(Neutral Section)의 길이는 당해선구를 운행하는 전기차의 속도, 팬터그래프의 성능 및 설치간격지형조건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선정한다.

절연구분장치(Neutral Section)의 길이는 운행될 열차의 최대 길이와 그 열차의 팬터그래프 사이 거리(동일 회로로 연결되는 팬터그래프간 거리) 등을 고려하여 급전 구분 구간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지 않을 길이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절연구간 내 전기차가 정차하여 자력으로 이동할 수 없는 구간은 자력 이동이 가능 하도록 전원을 투입할 수 있는 개폐설비를 하여야 한다.

(2) 절연체를 사용하는 구분장치는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설치한다.

절연구간을 갖는 장력구간의 길이는 600m 이하로 하며 자동장력조정장치에 의한 일단 조정을 시행하고 인류지점 또는 흐름방지장치에서 200m이내에 설치하여야 한다.

절연구분장치 양단의 전차선과 조가선은 조가선으로 상호 균압(S)한다.

절연구분장치구간의 조가선은 팬터그래프 통과로 생기는 아크(Arc)에 의한 손상이 없도록 시설한다.

(3) 이중에어섹션에 의한 절연구분장치는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설치하여 한다.

절연구분장치는 기본도에 따라 각 경간, 편위, 가고등을 정밀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절연구분 장치는 상이 다른 두 개의 전원사이에 무가압의 중성구간을 만들기 위해 2개의 에어섹션으로 구성되므로 에어섹션의 평행구간은 두 전원이 에어섹션에 준하여 절연 구분되도록 설치한다.

절연구간절연구간 양측에 설치된 에어섹션의 인류주에서 2.5[m]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애자 사이와 두 전원의 에어섹션개소인 평행구간 조가선(중성구간 측 중간전주 쪽은 전주중심에서 2.5[m], 반대측은 중간전주의 전차선 지지점으로 부터 1.5[m] 이격된 위치)은 피복조가선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4) 절연구분장치 양단의 전차선과 조가선은 상호 균압 하여야 하고 절연구분장치 구간의 조가선은 팬터그래프 통과 시 아크(Arc)에 의한 손상이 없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6. 에어조인트

(1) 에어조인트(Air Joint)의 평행부분에서 전차선의 상호간격은 다음 표와 같이 설치한다.


[] 에어죠인트 평행부분의 전차선 상호간격

 

속도등급

간격

비 고

250킬로급 이하

표준 : 150㎜
최대 : 250㎜

단, 부득이한 경우 100㎜까지 할 수 있다

250킬로급 초과

200㎜



(2) 속도등급 200킬로급 이하에서는 평행부분 양단에서 조가선 상호간전차선 상호간 및 조가선과 전차선간을 일괄 균압하고, 속도등급 250킬로급 이상에서는 두 전차선이 교차되는 중간전주의 브래킷에 균압설비를 설치하여 전기적으로 완전한 접속이 이루어 지도록 설치한다.

(3) 균압장치의 리드선은 합성전차선의 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여유를 두고 팬터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시설하며 가요연동연선 100로 한다.

(4) 지지점에 있어서 전차선의 인상높이는 200km/h이하에서는 300mm이상으로 하고 250km/h급에서는 320mm이상(터널 270mm이상), 300km/h이상에서는 500mm상으로 한다.

(5) 평행부분의 경간은 2경간 이상으로 설치한다. , 속도등급 200킬로급 이하는 경간이 40m이상에서 1경간으로 설치할 수 있다.

(6) 평행틀, 브래킷 설치, 가고 등은 에어섹션 설치기준과 같다.

(7) 에어조인트(비절연구분)개소에는 무효전차선 부분 드로퍼지점에 일괄균압선을 설치 하여야 한다.



7. 비상용 섹션

(1) 비상용 섹션은 재해 또는 사고시에 합성전차선을 전기적으로 구분할 필요가 예상되는 곳에 설치 설치하고 비상용섹션임을 알리는 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정거장간의 비상용 섹션은 에어섹션(Air Section)에 준하여 설치한다.

(3) 정거장 구내의 비상용 섹션은 애자섹션(Section Insulator)에 준하여 시설한다.

(4) 비상용 섹션에는 필요에 따라 부하개폐기 또는 무부하 개폐기를 설치 할 수 있다.



출처-철도시설공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전선로  (0) 2019.01.24
장력조정장치  (0) 2019.01.23
가공전차선로  (0) 2019.01.23
전철용 애자  (0) 2019.01.17
가동브래킷 공사  (0) 2019.01.17


가공전차선로



1. 합성전차선 가선공사

(1) 사전준비

가선에 앞서 가선공사에 필요한 장비, 공구, 재료, 인원을 사전에 점검하고 선로차단이 필요한 경우 한국철도공사 주무부서와 협의하여 승인을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가선에 앞서 가동브래킷은 조가선의 인장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브래킷 홀더(Bracket holder)로 고정시켜야 하며. 가선 완료 후 브래킷 홀더(Bracket holder)철거하여 가동브래킷의 회전에 지장 없도록 하여야 한다.

인류장치, 자동장력조정장치, 흐름방지장치 및 지선 등은 미리 설치해 둔다.

섹션(Section)대장, 전차선 드럼번호 대장, 조가선 전차선 가선 순위대장, 운전명령서를 준비 및 확인하여야 한다.


(2) 가선 작업차

가선 작업차는 수송차량, 철도시설장비(모터카 포함) 또는 전차선장비, 평판차, 개화차, 보조작업차 등으로 구성한다.

평판차에는 전선드럼의 높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2대의 드럼 조작대를 설치하여야 하고, 전차선은 가선우선순위에 따라 드럼번호(No)순으로 적재하여야 한다.

인력가선시 조작대에는 전선류에 손상을 주지 않고 연선(延線)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목재의 제동장치가 있어야 한다.

평판차에는 계속적으로 연선(延線)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항상 예비 전선드럼을 적재하고 있어야 한다.

유개화차로 편성시에는 유개화차 지붕에는 가선작업용 상판과 보호용 난간을 설치하여야 하며, 장물차와 연결되는 쪽의 난간 위에는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경 200길이 2,500정도의 통나무를 붙여야 한다.

가선작업차(OWC : Overhead Catenary Wiring Car)를 사용하는 경우, 장비의 편성은 모터카 + 가선차 + 전선 적재차 순으로 한다.



2. 전차선 가선

(1) 가선

전차선의 가선은 조가선 가선 후 조가선 가선 순서에 따라 인류개소에서부터 서서히 일정속도로 약 10m간격마다 S자형 가행어(Φ9철봉) 또는 2이상의 철선을 사, 전차선을 조가선에 조가하여 연선 하되 전차선에 흠이나 결점(缺點) 또는 비틀림이 없도록 신중히 가선해야 하며 신호기 및 건널목 등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방호하여야 한다.

연선이 끝나면 바로 소정의 장력으로 영구신장조성(Pre-stretch)을 시행하여 전차선 조정 후 전차선의 신장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특히, 드로퍼 지지방식의 경우 전차선 신장이 일어나면 전면 재시공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주의를 요함)

영구신장조성이 끝나면 조가선과 전차선을 자동장력조정장치의 요크에 연결하여 소정의 장력을 가한 다음 곡선당김장치를 소정의 전차선 높이, 가고 및 편위가 확보 되도록 조정 설치하는 동시 전차선의 비틀림, 킹크 등이 없도록 교정하여야 한다. 크 교정 시에는 전용공구로 교정하여 전차선에 흠이 생기지 않게 하여 팬터그래프 습동이 원활하도록 해야 한다.

편위 조정, 킹크, 비틀림의 교정이 끝나면 궤도의 레일측면에 소정의 드로퍼 설치위치를 표시하고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표시된 위치의 수직 위의 조가선에 철선(Φ1.6)으로 전차선의 표준높이와 구배가 유지되도록 임시 가드로퍼를 정확히 설치한 다음 사다리차로 드로퍼 위치의 가고를 정확히 실측하여 제작된 드로퍼를 견고히 설치해야 한다.

이때 드로퍼 길이 제작의 잘못으로 전차선이 위로 당겨지거나 아래로 처지는 일이 없도록 특히 주의를 해야 한다.

전차선 무효부분 및 인류선의 굽힘 각도는 10도 이내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가공전차선의 가선은 선로중심에 해야 하며 가선에 필요한 모든 장비와 공구를 완전히 구비하여 다음에 의거 안전하게 가선한다

. 선로차단이 필요한 경우는 미리 계획을 수립하여 관계처와 협의 수속을 필한 후 (2주전에)에 가선차를 편성하여 가선한다.

. 전차선 가선 장비는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대여하는 모터카와 평판차 또는 보조작업차 등으로 편성한다.

. 조가선 및 전차선의 드럼은 가선전에 미리 당해 가선구간으로 사용하게 되어 있는 드럼을 인근 장소에 배치하고, 드럼의 적상하 또는 장비에 장착시에는 신중히 취급하여 전선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취급해야 한다.

. 특히 전차선은 당해 가선구간에 사용하게 되어있는 전선드럼 RUN. NO 명세서를 작성 확인하여 RUN. NO에 차질이 없도록 신중을 가해야 한다.

. 전차선과 조가선 가선시 전선드럼은 드럼 회전 조작대에 설치하여 속도조절을 임의로 할 수 있는 구조로 해야 하며 연선속도 조작의 잘못으로 전선의 킹크, 틀림 및 소선풀림 등이 생기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2) 전차선의 높이

가공전차선로의 전차선 공칭 높이는 전차선로 속도 등급에 따라 5,000에서 5,200를 표준으로 한다. 다만, 전차선로 속도 등급 200킬로급 이하에 대하여 해당 노선의 특수 화물 적재 높이를 고려하여 전 구간을 5,400까지 높일 수 있다.

1항에도 불구하고 선로를 고속화하는 경우나 컨테이너를 2단으로 적재하여 운송하는 선로 등의 경우에는 열차안전운행이 확보되는 범위 내에서 해당 선로의 전차선 공칭 높이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3) 전차선의 기울기

· 전차선 기울기는 해당 구간의 설계속도에 따라 다음 표의 값 이내로 하여야 한다. 다만 에어섹션, 에어조인트 또는 분기구간에는 기울기를 주지 않는다.


[] 설계속도에 따른 기울기

 

속도 등급

기울기(‰)

300, 350킬로급

0

250킬로급

1

200킬로급

2

150킬로급

3

120킬로급

4

70킬로급

10


(4) 전차선의 편위

전차선의 편위는 평행구간(Overlap)이나 분기구간 등 특수 구간을 제외하고 궤도중심선에서 좌우 200를 표준으로 하여야 한다.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고른 마모를 위하여 지그재그 편위를 주어야 하며, 선로의 곡선반경 및 궤도 조건, 열차 속도, 차량의 편위량, 바람과 온도의 영향 등을 반영하여 최적의 편위로 시설하여야 한다.

분기구간 등 특수구간의 편위는 최악의 운영환경에서도 전차선이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집전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5) 합성전차선의 경사

· 전차선 지지점에서 조가선과 전차선이 만드는 면과 조가선 지지점에서 궤도면으로 내린 수직선과의 간격은 다음 표에 의한다.


[] 합성전차선 경사 간격


속도등급

최대간격(㎜)

250킬로급 이상

10

200킬로급 이하

50


 

(6) 전차선의 가고

커티너리 가선 방식에서 합성전차선의 표준가고는 다음 표에 의한다. 다만 현장여건 및 가선시스템 특성에 따라 별도로 정하여 시설할 수 있다.


[] 합성전차선 표준가고

 

속도 등급

표준가고(㎜)

비 고

70~200킬로급

960

터널구간 710mm
저가고형브래킷 500mm

250킬로급

1,200

터널구간 850mm

300,350킬로급

1,400



터널 내, 역구내 빔 개소 등에서 표준가고 설치가 어려운 곳에서는 710, 500, 180, 150등으로 단축할 수 있다.


(7) 영구신장조성(Pre-stretch)

본선의 전차선 및 조가선은 전선의 신장을 적게 하기 위하여 인류장치 및 장력조정 장치를 조정하기 전에 다음과 같이 영구신장조성(Pre-stretch)을 시행하여야 한다.


[] 영구신장조성


구분

종별

과 장 력[kN]

인가시간

비고

전 차 선

동[Cu]선

운전장력의 200%

30분

기존선

동[Cu]선
동합금선

운전장력의 150%

72시간

신설선

조 가 선

동합금선

운전장력의 110%

10분

기존선,신설선


 

(8) 드로퍼

드로퍼의 설치 간격은 속도 등급에 따라 다음 표와 같이 설치할 수 있으며 전차선로의 가선시스템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다만, 기존 산업선 전철구간(BT방식)에 한하여 드로퍼 간격을 10m로 설치할 수 있다.


[] 드로퍼 설치간격

 

속도등급

설치간격(m)

비고

350킬로급

4.5/6.5


300킬로급

4.5/6.75


250킬로급

3/4.5/5


150~200킬로급

2.5/5


70~120킬로급

2.5/5

행거이어 사용 가능


교차장치에서 본선과 교차되는 선의 드로퍼(행거이어 포함)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드로퍼는 경간별로 미리 제작 조립하여 공급하여야 한다.

표준경간이 아닌 경우의 드로퍼 설치간격은 첫째 드로퍼의 경우 5m로 하고 그 다음 부터는 같은 간격으로 한다.

    

 

3. 조가선 가선

(1) 조가선의 가설 위치는 궤도상에서 레일의 중심선에 오도록 가선한다.

(2) 정거장 구내에서의 조가선 가선순서는 애자형섹션 절연애자 등의 삽입을 고려하여 측선 및 건넘선의 조가선을 먼저 가선한 후 본선을 가선하도록 한다.

(3) 조가선의 연선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브래킷을 브래킷 홀더(Bracket holder)로 가선조정이 끝날 때까지 고정하여야 한다. 연선 완료 후로 브래킷 홀더(Bracket holder)를 철거하여 가동브래킷의 회전에 지장 없도록 하여야 한다.

(4) 조가선 연선은 가동브래킷 및 빔 하부 현수애자 설치, 지선설치, 장력조정장치, 인류장치 시공이 완료된 후 시행하여야 하며, 조가선 연선 후 전차선 연선이 종료될 때까지 종단의 장력조정장치는 조가선 장력에 해당하는 조정용 추를 전차선을 가선 할 때까지 설치하여야 한다.

(5) 정거장 구내 빔 하부에 설치하는 현수애자는 애자 지지금구를 제작하여 조가선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정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영구신장 조성을 하여 조가선의 장력조정이 끝나고 완전히 위치가 고정된 다음 가동브래킷 지지점의 조가선 접촉부분에는 조가선 보호용 동슬리브를 끼워 고정시켜야 한다.

(6) 조가선은 가선 후 영구신장조성(Pre-stretch) 표에 의한 과장력을 가하여 조가선이 드럼에 감겼던 관성과 연선과정에 의한 연신율을 감소시켜야 한다.

(7) 조가선의 접속은 크레비스형 직선접속클램프나 동슬리브 압축접속 또는 쐐기형 클램프의 접속으로 하며 클램프 접속시는 접속선 양측 조가선을 반드시 접속(균압)하여야 한다.

(8) 쐐기형 클램프 접속개소는 경간 중앙 등 조가선이 낮은 개소에는 피해야 한다.

(9) 조가선의 장력은 장력계를 사용하여 소정의 장력을 맞춘 후 장력조정 장치의 로프길이를 조정하여야 한다.


[] 영구신장 조성에서 과장력과 시간

 

구 분

선종별(㎟)

과장력(kN)

시간(분)

조가선

CdCu 70, 80, Bz 65, CuMg 65,
CuMg116

운전장력의 110%

10분


(10) 조가선 보호용 동슬리브는 UP1을 사용하고, 조가선 집게를 사용 조가선에 완전 밀착되게 원형으로 말아 붙여야 한다.

    

 

4. 편위조정

(1) 가동브래킷, 곡선당김장치는 현지기온을 감안하여 기온이 표준온도 10일 때 선로와 직각을 이루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2) 본선의 직선로 및 곡선반경 2,000m 이상의 곡선로에서는 좌, 200의 지그재그 편위를 주고, 곡선구간의 지지점은 200이내로, 중간지점은 150이내로 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는 지지점은 최대 250, 중간 지점은 최대 200이내로 설치할 수 있.

(3) 전차선의 편위는 오버랩이나 분기구간 등 특수 구간을 제외하고 궤도중심선에서 좌우 200를 표준으로 하여야 한다.

(4) 강풍구간 및 승강장 구간의 편위는 100로 축소 조정하여야 하고, 승강장에서는 승강장의 외측으로 편위를 둔다.

(5)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고른 마모를 위하여 지그재그 편위를 주어야 하며, 선로의 곡선반경 및 궤도 조건, 열차 속도, 차량의 편위량, 바람과 온도의 영향 등을 반영하여 최적의 편위로 시설하여야 한다.

(6) 분기구간 등 특수구간의 편위는 최악의 운영환경에서도 전차선이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집전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7) 가동브래킷의 조가선 지지부분과 보조 조가선의 지지점에는 동슬리브를 삽입 밀착시키고 볼트 조임을 완전하게 하여야 한다.

(8) 단선 터널 직선 구간 터널브래킷의 전차선 편위는 6경간(120m)을 한 싸이클로 하여 ±100를 표준으로 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편위를 0~100로 조정하여야 한다.

(9) 복선터널 일반브래킷 설치구간은 일반구간에 준하여 시공하되 경간이 짧은 경우 2간을 기준으로 ±200로 할 수 있다.



5. 전차선 및 조가선의 접속

(1) 조가선 및 전차선의 본선 접속은 피해야 하며 접속개소는 팬터그래프 통과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전차선의 국부 마모가 일어나지 않도록 접속하여야 한다.

(2) 전차선 상호간 접속은 직선형접속 클램프로 하되 더블이어를 사용하여 접속할 때에는 이어금구 3개를 사용하여 이어의 상호간격이 300가 되도록 설치하고 더블이어 끝에 50~60떨어져서 전차선의 선단을 활꼴 모양으로 매끈하게 구부려 50~60남겨서 절단하여 팬터그래프 통과시 충격으로 진동과 국부마모가 일어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더블이어의 체부력은 14,700 N-이상이 되게 체결해야 한다.

(3) 건넘선 개소에 있어서 전차선의 접속개소는 각각의 궤도 중심선과 전차선과의 이격거리가 01200범위 안에 설치해서는 안 된다.

(4) 전차선의 무효부분에서 전차선과 대용전차선과의 접속은 수평방향으로는 1m 이상, 수직방향으로는 전차선보다 0.2m이상 되는 개소에 설치해야 한다.

(5) 신설하는 본선의 전차선은 부득이한 경우 이외에는 접속하지 아니하며 부득이하게 접속할 때에는 팬터그래프 통과에 지장이 없도록 해야 한다.

(6) 조가선의 접속은 다음 방법에 의한다.

조가선의 접속은 압축접속 또는 접속금구로 접속하며, 접속금구로 접속한 경우에는 상호 균압 한다.

기 설치된 아연도강연선은 접속금구(BW)로 접속한다.

조가선과 피복조가선의 접속 및 피복 조가선 서로간을 접속할 때는 슬리브를 사용하여 압축접속을 하여야 하며, 조가선의 심선은 스리브 내부로 끝까지 삽입하고 압착개소에서 정하여진 슬리브 폭이 되도록 압착하여 가선장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쐐기형 클램프 접속은 지지점에서 4.5m이내에서 접속하고 상호 균압 하여야 한다.

피복조가선을 압축접속 시 한 섹션구간의 장력추를 올려 고정 시킨 후 접속하여 조가선 피복이 손상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6. 균압장치

(1) 속도 등급 250킬로급 이상 철도의 균압 설비는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설치한다.

경간 중앙 드로퍼에 설치되는 M-T 균압선의 설치간격은 최대 200m이며, 균압선의 선종은 26의 연동연선으로 경간의 중간 부근의 드로퍼선에 클램프로 지지시켜 설치하여야 한다. , 균압용 드로퍼 설치구간은 M-T 균압을 생략한다.

에어조인트(비절연구분)개소에는 무효전차선 부분 드로퍼지점에 연속균압선을 설치하여야 한다.

구분장치(에어섹션, 절연구분장치)개소의 절연된 인류단말부는 중간전주의 인류용 브래킷에 전차선과 전기적으로 균압하여야 한다.

가압부분과 절연된 인류단말개소에는 전차선과 조가선을 전기적으로 균압하여야 한다.

분기개소에는 연속균압선을 설치하여야 한다.


(2) 속도 등급 200킬로급 이하 철도의 균압설비 종별 및 사용구분는 다음 각 호에 의한다.


[] 카드뮴동연선(CdCu),청동연선(Bz),마그네슘합금연선(CuMg) 조가선 사용시


사용구분

종별

사용전선㎟

길 이

비고

일반 설비

T-M-T형

Cu 70, Cdcu 70,
Bz 65, CuMg65

소요량

장력, 인류, 구분장치 양단 및
일정 거리 균압(장력, 인류는
 M-T형으로 가능)

M-T형

Cu 70, Cdcu 70,
Bz 65, CuMg65

소요량

M-M-M형

Cu 50, Cdcu 70,
Bz 65, CuMg65

소요량

--- " ---
무효부분 전차선을 조가선
대용

평행설비 및
교차장치

T-M-M-T형

Cu 100
(가요연동연선)

소요량

평행구간의 전차선 조가선
일괄 균압(에어조인트,
비상용섹션 및 교차개소)

T-M-M-M형

Cu 100
(가요연동연선)

소요량

빔하스팬선

M-S-T형

M-S-T형
Cu 50, Cdcu 70,
Bz 65, CuMg65

소요량

대운전전류 구간 하스팬선의
각 지지점마다

터널․구름다

T-M형

Cdcu 70
Bz 65, CuMg65

소요량

조가선 단선시 이탈방지용

  

에어섹션의 평행부분 양단 무가압부분과 가압부분의 전차선과 조가선 상호간은 일괄 균압 한다.

에어조인트 개소의 평행부분 양단의 인접전차선과 조가선 상호간은 일괄 균압 한다.

유효교차개소와 무효교차개소라도 전선 상호 상하수직 이격거리가 300이하가 되는 무효교차개소에는 마찰 및 순환전류에 의한 손상이 없도록 상대 조가선과 전차선을 상호 일괄 균압 한다.

교차장치에서 본선측 궤도 중심선과 상대전차선의 간격이 300까지의 범위내에는 교차금구 이외의 금구류를 설치해서는 안된다. 건넘선 장치에서 균압장치는 양전차선간의 간격이 500인 지점에 설치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일괄 균압장치를 할 때 전차선과의 접속은 급전클램프를 조가선과의 교차점에는 교차클램프를 쓰되 전선과 접촉되는 개소에는 동슬리브(급전클램프 Cu 1×70, 차클램프 Cu 0.5×80)를 도전성 콤파운드를 발라 압착 삽입하여 설치한다.

T-M-M-T의 일괄 균압을 할 때에는 가선의 상호 이동시에 지장이 없도록 여유를 두되 그 여유분이 팬터그래프 통과에 지장되지 않도록 전차선으로 부터 300이상 이격해야 한다.

일반철도의 T-M-T형 균압장치 설치 위치는 2~3번 드로퍼 사이를 표준으로 한다.


[] 아연도강연선(St) 조가선 사용시

 

사용구분

종별

사용전선(㎟)

길이(㎜) (장력조정장치 유무별)

유-유

유-무

무-무

평행설비

T-T용

Cu 100

800 ~ 1,000

M-M용

Fe 55

1,200

1,000

800

교차장치

M-T용

Cu 100

800

600

600

M-M용

Fe 55

800

600

600

M-T용

Cu 50

800

600

600

일반구간

T-T용

800~1,000

M-M용

1,200


(3) 다음 개소에는 연동연선 50로 조가선과 전차선의 균압장치를 해야 한다

일반구간 250300m마다 A(T-M-T) 균압을 한다.

절연구분장치, 애자섹션 개소에는 그 양단에 M-T 균압장치를 해야 한다.

균압선 설치시에는 전차선과 조가선의 흐름을 고려하여 균압선에 약간의 여유를 두어야 하며 클램프와 접촉되는 균압선에는 도전성 콤파운드를 바른 동슬리브(Cu0.5×40)를 삽입해야 한다.

구름다리승강장지붕 근접 등에 조가선을 무가압으로 하였을 때에는 순환전류에 의한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그 양단의 조가선과 전차선에 균압장치를 설치하고 무가압 구간은 조가선과 동등 이상의 허용전류를 가진 동연선으로 연결한다.

(4) 다음 개소에는 CdCu 70, Bz 65의 또는 강심동연선(CWSR)으로 균압장치를 하여야 한다.

정거장간 일반개소 흐름방지장치 개소에는 T-M-T 균압장치를 시설한다.

인류장치 및 장력조정장치 말단에 M-T 균압장치를 시설한다.

(5) St 조가선 가선구간의 경우 다음 각 호에 의한다.

2호의 2.2 내지 2.3에 해당하는 곳에서 전차선과 전차선간에는 피더이어(Feed Ear)를 사용하고 조가선 상호간에는 아연도 철연선 Fe 55를 사용 균압 한다.

3항의 3.1의 경우에는 Cu 50또는 아연도 철연선 Fe 55S(M-T) 균압을 한.

(6) 균압 겸용 드로퍼를 사용하는 구간을 제외하고는 조가선과 전차선은 250~300m마다 T-M-T형으로 균압함을 표준으로 한다. 이 경우 교차장치의 균압, 흐름방지장치 등도 균압설비로 간주한다. 다만, 운전전류가 큰 구간(수도권)은 균압구간을 2분의 1이하로 단축한다.

(7) 전기차가 상시 정차 출발하는 곳에는 반드시 균압장치를 하여야 한다.

(8) 터널 입출구 및 구름다리 양쪽에는 T-M형의 균압장치를 한다.



7. 곡선당김장치

(1) 합성전차선의 가동브래킷 등 각 지지점에는 다음 각 호에 의한 곡선당김금구를 설치한.

속도등급 200킬로급 이하 가동브래킷 곡선당김금구의 설치 각도는 레일에 대하여 궁형 L=12006. L=90011도로 직선형은 15도를 설치하고 순간풍속 30[m/s] 이하에서 팬터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시설한다.

자동장력조정장치를 설치한 합성전차선은 장력 조정에 대한 곡선당김금구의 억제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89)

(2) 궁형 곡선당김금구의 암지지금구는 궤도 중심면으로부터 1m 이상 이격시켜야 하며 부득이하게 다른 방법에 의해 설치하더라도 팬터그래프통과에 지장이 되지 않도록 시설 한다.

(3) 곡선당김금구의 당김 각도는 첫 번째 드로퍼가 조가선에 의해 위로 떠오르지 않도록 시설한다.

(4) 보조곡선당김 장치의 전차선 당김선은 경동연선 50이상, 조가선은 동일조가선을 사용한다.

(5) 보조곡선 당김장치에서 조가선 당김금구는 조가선지지 도르래 사용하여 시설한다. 득이한 경우 곡선당김 L로드 또는 쐐기형 클램프를 사용하되 조가선 보호 슬리브를 사용 조가선을 보호해야 한다.

(6) 직선형 곡선당김금구를 빔하스팬선에 설치하는 경우는 이종금속의 접촉 등에 의한 부식 및 소선, 단선이 없도록 설치하고 동일 스팬선에 2조 이상 병설하는 경우는 순환전류에 의한 손상이 없도록 설비한다.

(7) 빔하스팬선에는 직선형(파이프제) 곡선당김금구를 사용하거나, 궁형 곡선당김금구를 사용한다.

(8) 전차선과 가동브래킷의 수평파이프 수직중심간의 거리(진동가고)는 다음 표를 표준으로 하며 허용오차의 한계를 초과하여 시설할 수 없다. 다만, 교차개소와 분기개소 등의 일부 특수개소에서는 예외로 한다.


[] 진동가고

 

속도등급

진동가고(표준)

200킬로급 이하

350㎜

250킬로급

385㎜

300킬로급 이상

600㎜


(9) 분기기 부근 등에서 중간 편위의 규정치 확보가 곤란한 지점에는 합성전차선 또는 조가선에 별도의 곡선당김장치를 시설한다. 합성전차선의 무효부분도 또한 같다.

(10) 곡선당김금구를 취부 할 수 없는 경우는 직접 조가방식 등 적당한 방법으로 합성전차선을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자동장력조정장치를 설치한 구간(Section)에서는 장력조정에 대한 억제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한다.



8. 건넘선 장치

(1) 평면 교차방식은 다음 각 호와 같이 설치하여야 한다.

속도등급 120킬로급 이상 선로의 교차방식은 평면교차 방식으로 시설하여야 한.

교차장치는 전주위치, 경간, 가고, 편위, 전차선의 인상 높이, 선간이격거리 및 상호 절연이격거리 등에 차질이 없도록 정밀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교차개소에서 팬터그래프의 본선 통과시 측선 전차선과의 측면접촉을 피할 수 있는 설비로 설치하여야 한다.

(2) 상하교차방식(교차금구를 사용하는 방식)은 다음 각 호와 같이 시설하여야 한다.

교차장치 설치개소의 합성전차선은 운전 빈도가 높은 주요선을 하부로 시설한다.

전차선이 교차하는 위치에는 교차금구를 설치하고 조가선 상호간 및 전차선 상호간 또는 조가선과 전차선을 일괄 균압 한다.

교차금구는 전차선의 이동에 따라서 교차되는 전차선, 곡선 당김 금구 등과 경합해서 팬터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시설한다.

교차장치에서 곡선 당김 금구는 상대되는 전선의 외측에 설치한다.

교차금구의 표준길이는 다음과 같다.

. 12번 분기이하 : 1,400(기설 1,200)

. 15번 분기이하 : 1,800.

교차장치에서 본선과 부본선 공히 상대측 궤도중심에서 전차선까지 거리의 300되는 지점은 수평을 유지하여야 하고, 900되는 지점은 부본선 전차선이 본선의 전차선 보다 30높게 설치되어야 한다.

조가선은 상호접촉에 의한 마찰 등으로 소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분리하거나 양측에 보호관을 시설한다.

교차장치 교차점에서 본선측 궤도중심과 측선측 전차선간의 간격은 1,200가 되는 지점까지는 곡선 당김 금구 등 일체의 클램프를 설치해서는 안 된다.

(3) 평면 교차설비는 다음 각 호에 의한다.

열차속도 220/h 이하의 직선구간에서 분기되는 개소에 시설한다.

건넘선장치에서 곡선당김금구는 상대되는 전선의 외측에 설치한다.

본선과 측선(분기선)의 전차선 높이차는 분기궤도 속도가 90km/h이하인 경우 분기선로 전차선을 본선 보다 50mm높게 설치한다. 다만, 분기궤도 속도가 90km/h이상 및 통과궤도와 분기궤도의 속도가 같은경우 높이를 같게 설치 한다.

12번 분기이하의 전철기는 전주의 위치를 전철기 중심근처에 설치한다.

15번 분기이상의 전철기는 전주의 위치를 팬터그래프 가이드가 접촉하는 지점(Attack point)에 설치하며 지지점에서 본선과 분기선로의 간격은 0.64±0.1m 이내 이어야 한다.


d1+ d2+ d3=0.64 m


d1 : 본선의 최대편위

d2 : 두 전차선간의 거리

d3 : 분기선로의 최대편위

평행개소의 인류측에서 양선의 조가선과 전차선간을 균압선으로 일괄 균압한다.

평행개소의 인류측 지지점에 있어서 전차선의 인상 높이는 300로 한다.

평행개소의 경간은 2경간을 표준으로 설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 본선 통과 속도 220km/h 이하에서는 경간이 30[m]이상일 때 1경간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전철기의 중심을 포함하고 있는 지지물 경간은 45m이내이어야 한다.

평행개소의 전차선 상호간격은 200를 표준으로 한다

(4) 교차개소의 조가선이 서로 접촉할 우려가 있을 때에는 건넘선(측선)에 전기차(팬터그래프) 통과에 지장 없도록 조가선보호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9. 합성전차선의 교차

(1) 합성전차선 교차는 다음 각 호에 의한다.

무효부분에서의 전차선 및 조가선의 교차개소는 교차금구를 설치하지 않는다.

조가선 및 전차선의 무효부분 교차는 되도록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접촉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마찰 및 순환전류에 의한 손상이 없도록 보호설비 및 균압설비를 한다.

(2) 전선 상호 및 전차선과 가선금구의 간격은 300를 넘도록 시설한다.

(3) 전선간격을 300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양선의 조가선과 전차선간을 균압선으로 일괄 균압한다.

(4) 전선 상호간의 간격이 150이하인 경우에는 기계적 전기적으로 접촉할 우려가 있어 조가선 양측에 보호관을 시설한다.

(5) 전선 상호간의 간격이 150를 넘고 300이하인 경우에는 조가선에 한쪽만 보호관을 시설한다.

(6) 보호관은 통기성 및 물이 빠질 수 있는 구조로 시설한다.


출처-철도시설공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력조정장치  (0) 2019.01.23
구분 장치  (0) 2019.01.23
전철용 애자  (0) 2019.01.17
가동브래킷 공사  (0) 2019.01.17
지선공사  (0) 2019.01.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