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제어설비
1. 일 반 사 항
1) 적용범위
본 사양은 정거장에 설치되는 에너지 절감용 조명 자동 제어장치 설비의 설계, 제작, 납품, 시험 및 검사, 설치, 시운전, 교육등 제반사항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사용조건
(1) 표 고 : 해발 1,000M이하
(2) 주위온도 : -5℃ - 40℃
(3) 상대습도 : 90%
(4) 설치장소 : 옥내
(5) 전 원 : AC 220V 60HZ
3) 재료의 선정
본 설비에 소요되는 모든 자재는 한국산업규격(K.S규격), JIS, UL, 전기용품안전관 리법에 합격된 것 중 신상품으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규격품이 없을 시 에 감리원의 승인을 득한 후 제작 및 설치하여야 한다.
4) 공급 범위
(1) 시스템의 설계, 제작, 납품, 설치, 시험, 시운전, 교육등
(2) 기타 System 운영에 필요한 전체자료 제공
(3) 각각의 분전반에 내장되는 기기와 역무실의 원격조작반에 설치되는 기기 상호 간 연동등 설비전체의 기능발휘에 문제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5) 도면 및 재료
(1) 본 설비 제작자는 제작전에 제작 시방서 및 제작도면과 제작 공정표를 각 5부 씩 작성하여 감리원의 승인을 득한 후 제작 및 설치하여야 한다.
(2) 본 설비 설치완료 후 취급설명서를 각 5부씩 제출하여야 한다.
6) 시험 및 검사
(1) 구조 및 외관검사
(2) 기능 동작 시험
(3) 절연 상태 시험
(4) 기타 감리원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시험
(5) 현장 설치전에 충분한 모의시험을 시행하여야 한다.
(6) 현장 설치후 종합 모의시험 및 각종 운전계획별로 공사감리원 입회하에 시행하여 승인을 필하여야 한다.
7) 교육 및 시운전
제작자는 에너지절감용 조명제어 설비가 선진 외국의 Computer를 응용하여 구성 한 특수기능의 System임을 고려하여 유지보수 및 운영요원의 자질향상을 위하 여 필요하다고 요청할 경우 교육과정을 마련 System 충분히 숙지하도록 교육에 임하여야 한다.
8) 제작업체
(1) 본 에너지 절감용 조명제어 설비에 필요한 모든 기기의 규격 및 제작에 관한 사양은 도면 및 시방서에 준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2) 설계도 및 시방서에 명기하지 않은 사항은 감리원의 승인을 득한 후 제작하여 야 한다.
(3) 본 설비는 최신 장비 계통의 안전운전과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감안 지하철 분 야에 System을 납품한 실적이 있는 업체이어야 한다.
(4) 계약자는 각 역사별로 기기를 구분하여 감독원가 지정하는 곳에 납품하여 야 하고, 설치에 문제가 없도록 설치자와 긴밀히 협의, 지도 하여야 한다.
9) 공사범위
(1) Lighting Control Panel 외함 취부 및 Relay 2차측 전등부하 결선은 전기 공사 업체에서 시공.
(2) Control Line의 배관 및 입선작업은 전기공사 업체에서 시공.
(3) Control Line 결선 및 Remote S/W 취부는 System공급 업체에서 시공.
2. 기 술 사 양
1) 개 요
조명 원제설비는 정거장 조명설비의 집중 제어감시 및 전기실의 일부 대상긱기에 대한 감시, 경보되어야 하며, System구성 및 외형 구조등은 관련도면 및 감리원의 승인 제작도면에 따르며 SYSTEM의 설계제작에 대한기 술적인 사항을 상세히 기술한다.
2) 구 성
(1) 본 설비는 전송 Unit(Remocon CPU),On-Off 단말기(Terminal Unit) 주조작기, Free Addaess 설정기등으로 구성된다.
(2) 각 제어기기는 Multi Channel Address Selective Full-Two Wire System(다중전송방 식)에 의한 2심의 전용 신호선(CVV-S)으로 다수의 조명기구를 개별 또는 전체 제어 할 수 있어야 한다.
(3) 본 기기의 모든 소자는 에너지 절감용 조명 제어 설비 전용의 소자를 사용하여 제 작하여야 한다.
(4) 레이아웃 변경후에도 배선을 바꾸지 않고 스위치 조작 범위의 임의 변경이 가능하 여야 한다.
(5) System 이상시 고장부분만을 교체하여 사용 할 수 있어야 한다.
(6) 조명, 원제설비의 구성요소는 역무실에 설치되는 주제어(조작)반과 현장 분전반에 설치되는 현장제어장치 및 Data를 전송하는 전용회선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7) 주제어(조작)반
(가) 상태집중감시용 Graphic Board
(나) 제어용 Switch Board
(다) Program 입력장치
(라) Data 처리용 CPU 및 송수신장치
(마) 경보장치
(8) 현장제어장치
(가) Data처리 및 Relay 구동 Unit
(나) 조명선로 개폐용 Latching Relay(현장 분전반),접점입력용 Relay(전기실)
(다) Control Source용 Mold Transformer
(라) 제어용 Switch
(9) Data전송회선 및 방식
(가) 전용 신호회선(CVV-S 2C/1.25㎟이상)
(나) 다중전송방식
3) 기 능
(1) 정거장내 제어대상 조명설비를 Schedule제어 및 Group별, Zone별, Pattern별 또는 전체를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2) 대합실, 승강장등 각층별로 제어대상 조명설비의 점.소등상태를 Graphic 표시에 의해 Group별로 직접 감시 및 제어되어야 한다.
(3) 주제어반에 개별회로를 포함하여 각각의 점.소등상태 및 동작상태를 간단히 확인, 수정되어야 한다.
(4) 용도 및 계절에 따라 Time Schedule 또는 조명점멸 Schedule을 간단한 Program 조작으로 Data Control 할 수 있어야 한다.
(5) 일간, 월간, 년간 Time Schedule로 자동 운전할 수 있어야 한다.
(6) 주제어반 고장이나 정전시에도 분전반내 현장제어장치의 제어용 Relay를 사용하 여 점.소등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7) 주제어반 및 현장제어장치의 사용전원은 1¢ AC 220V/24V로 하며, Surge 및 Noise등에 의한 오동작 및 장애가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8) 상용전원의 정전후 복전시에도 주제어반의 동작 Program 상태의 변화가 없어야 한다.
(9) 주제어반과 현장제어장치간에 2심의 전용 신호선으로 다중전송방식에 의해 병렬 로 연결하여 제어 감시를 위한 Data를 전송할수 있어야 한다.
(10) 조명제어 설비의 System이상 또는 고장시는 고장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야 한다.
(11) 모든 메모리 및 Relay, 전송회선등의 이상에 대한 자동적 자기 진단기능 이 있어야 하며 이상 발생시 Flickering Lamp 및 부저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4) 구 조
(1) 주제어(조작)반
(가) 제 원
1) 외형 및 치수 : Desk Type(도면참조)
2) 회로규격 : 주전원 1Φ AC 220V 60Hz
신호전압 1Φ AC 24V 60Hz
3) 제어회로 수 : 도면참조
4) 전송방식 : 2선식 RANDOM 전송직류 PULSE 방식
5) 상태집중감시용 GRAPHIC BOARD
6) 제어용 SWITCH BOARD
7) PROGRAM 입력장치
8) DATA 처리용 CPU 및 송신장치
9) 경보장치(Flickering Lamp)
(나) Graphic Board
1) Graphic Board는 정거장 평면도를 표시하여 조명제어장소를 용이하게 식별 할 수 있게 제작되어야 한다.
2) 재질은 5mm 이상의 난연성 아크릴을 사용하여 뒷면에 실크 인쇄로 정거장 이 각 층별 대합실, 승강장, 외부출입구 및 환승통로등의 평면도를 나타내 어야 하며 3mm 이상의 강화유리로 외관을 보호 하여야 한다.
3) 정거장 평면도는 칼라알미늄 삿시를 사용하여 Graphic Board 외함의 좌,우, 상,하에 단단히 고정시켜야 한다.
4) Graphic Board에서 조명점멸용 Lamp 및 Switch를 사용하여 분전반 Group 별로 감시, 제어할 수 있고 외부 출입구 외등과 Pole Sign의 점멸상태도 Lamp로 확인 할 수 있어야 한다.
5) Graphic Board에는 전기실 경보 및 현장제어장치 또는 선로이상 확인용 Flickering Lamp등의 경보장치를 상단에 배치하여야 한다.
(다) 제어용 Switch Board 및 Program 입력장치
1) 단말기(On-Off Control Terminal Unit)
① 제어방식 : on-OFF 제어
② 정격신호전압 : ±24V
③ 제어회로수 : 4회로
④ 정격출력 : Rely 당 AC250V/3.0A(MAX)
⑤ 전송방식 : 2선식 Random Access 직류 Pluse 방식, 무극성
⑥ 정격소비전류 : 1.2mA
2) Remocon Relay
① 정격회로전압 : AC 300V/20A. 60HZ
② 정격조작전압 : AC24V,조작시 350mA,평상시 0mA
③ 동작전압범위 : 18~30V
④ 동작속도 : 20회/분 (30,000회이상)
3) Remocon Trans(Mole Type)
① 정격전압 : 1차측 AC220V 60HZ, 2차측 AC24V
② 전원용량 : 1.5A(36VA)
4) 전송 Unit(Control CPU)
① 정격전압 : AC 220V ±10% 60HZ
② 전류용량 : 500mA
③ 소비전력 : 15W
④ 제어회로수 : (MAX) 256회로
⑤ 기억보상 : 비휘발성 Memory (E2PROM)
⑥ 전송방식 : 2선식 RANDOM ACCESS 전송방식
⑦ 신호입출력 : DC±24V (직류 PULSE 방식)
⑧ 전송속도 : 약 20m/sec (MAX 10K b.p.s)
⑨ 전송거리 : 1500M (증폭기 사용시 9000M)
5) 접점입력 T/U
① 제어방식 : on-Off 제어(개별, Group, Pattern 점.소등)
② 정격신호전압 : ±24V(60Hz)
③ 정격신호전류 : 4mA
④ 입력신호전압 : 1초이상 (DC24V/5mA)
⑤ 정격소비전류 : 1.2mA
⑥ 제어사용범위 : MAX 256회로 이상
⑦ 변압기의 온도상승 경보
⑧ 저압반의 Main ACB, MCCB Trip 경보
⑨ ELD의 동작경보
⑩ 무전압 접점 신호로 수신
6) Free Address 설정기
① 정격전압 : DC6V
② 정격소비전력 : 40W
③ 표시방법 : 액정표시(단색)
④ 조작방법 : Sheet Switch
⑤ 전송방식 : 2선식 Random 전송직류 Pulse 방식
7) 제어용 Switch와 Program 입력장치는 전면 Desk에 설치하고 확장 변경이 용이 하도록 Unit 단위로 조립되어야 한다.
8) 전면에는 Switch의 명칭을 실크 인쇄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사용과 조작 이 용이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9) 제어용 Switch와 Program 입력장치에는 먼지 또는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투 명한 아크릴 판으로 덮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10) Switch Board에는 다음 기능의 Switch를 부착하여야 한다.
- Group Switch : 각층 분전반별, 외부출입구, 광고등, Sign Board, Pole Sign
- Pattern Switch : 하절기별, 동절기별, 공.휴일별
- Zone Switch : 각층 전체, 각 층별, 대합실별, 승강장별, 상.하선별
(라) 외 함
1) Desk Type으로 2.3mm이상의 일반구조용 압연 강재로 제작하여야 하며, 역무 관리실의 통신, 기계설비 제어반과 동일한 Type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2) 외부에 노출된 모든 나사는 +자홈 접시머리 작은나사를 외샤부로 사용 하여야 하며 조립나사의 머리가 돌출됨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3) 전면 Graphic Board의 강화유리는 Lock Key를 부착하여 개폐가 가능하여야 하 며, 후면 Door는 점검 보수가 용이하도록 제작 되어야 하고, 조립식으로 제작 되어야 한다.
4) 외함은 습기 및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진구조로 제작되어야 하며 모서리 부분의 각은 둥글게 마감 처리하여야 한다.
(마) 도 장
1) 주제어반에 녹, 기름, 오물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신나로 세척한 후 용접 및 이음새등으로 인한 흠이 식별되지 않도록 빠대 처리하여야 한다.
2) 프라이머 2회 도장 후 퍼티 처리한 다음 얼룩 또는 미도장된 부분이 없도록 2 회이상 소부 도장하여야 한다.
3) 색상은 MUNSELL NO를 제출하여 감리원이 지정한 색으로 칼라코드 색채 마 감 한다.
4) 도장 완료 후 각 모서리 또는 상처가 생기기 쉬운 부분은 테이프등으로 보호 하여야 한다.
(바) 배 선
1) 내부배선 처리는 움직이는 부분은 자기소화성 헬리컬 밴드나 내연성 재질의 튜브로 처리하고 이외의 모든 배선은 PVC 몰딩덕트로 처리하여야 한다.
2) 주제어반의 내부 회로배선은 콘넥타를 사용하여 보수가 편리하도록 제작되어 야 한다.
3) 주제어반의 상용전원 AC220V 입력측에는 E.L.B(50AF/20AT)를 설치하여야 하 며 신호선의 차폐선은 특별 제3종 접지하고 외함은 제3종 접지공사를 한다.
(2) 현장제어장치
(가) 조명제어용 Relay 구동 Unit는 분전반내의 독립 설치된 판을 사용하여야 한다.
(나) 선로 개폐용 Relay는 접점 특성이 우수한 정격 AC 220V/20A인 Latching Type Relay이어야 한다.
(다) 현장제어장치 전원공급용 Transformer은 정격 1¢ AC 220V/24V의 Mold Type 이어야 하고, 과전류 및 Surge 전류로부터 Relay 구동 Unit를 보호하기 위한 장 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라) 전기실내 설치되는 접점입력용 Relay 구동 Unit는 독립된 함으로 처리한 후 감 리원이 별도 지정한 반에 취부하여야 한다.
(마) 제어 및 감시대상 Point 및 현장제어장치(분전반, 전기실 기기)는 도면을 참조 하여 제작한다.
5) Data 전송장치
(1) 조명제어설비의 Data 전송 신호선은 CVV-S 2C/1.25㎟ 이상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 로 한다.
(2) Data 전송장치의 배선공사는 전기설비 기술기준 및 내선규정에 따라 시행하여야 한다.
(3) 신호선의 Shield의 접지는 주 제어반에서 일괄적으로 편단접지하여야 한다.
(4) 신호선은 배관 또는 Box내에서 중간접속을 금하며, 분전반 및 주 제어반내에서 접 속하여야 한다.
6) 시 험
(1) 현장 설치전에 충분한 모의시험을 시행하여야 한다.
(2) 현장 설치후 종합 모의시험 및 각종 운전계획별로 감리원 입회하에 시행하여 승인 을 필하여야 한다.
(3) 준공시 유지관리부서의 운전관리요원에게 충분한 운영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