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넘선 장치
(1) 평면교차방식은 다음 각 호와 같이 설치한다.
① 본선통과 속도등급에 따른 평면교차방식은 다음과 같이 설계 한다.

본선통과 속도등급 평면교차 방식 비고
120km/h급 이상 ~220km/h급 미만 2커티너리 -
220km/h 급 이상 3커티너리 보조전차선 추가가선

② 건넘선장치는 전주위치, 경간, 가고, 편위, 전차선의 인상 높이, 선간이격거리 및 상호 절연이격거리 등에 차질이 없도록 정밀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③ 교차개소에서 팬터그래프의 본선 통과시 측선 전차선과의 측면접촉을 피할 수 있는 설비로 설치하여야 한다.


(2) 교차금구에 의한 상하교차방식은 다음 각 호와 같이 시설하여야 한다.
① 속도등급 120km/h급 이하에서 시설한다.
② 교차장치는 운전 빈도가 높은 주요선을 하부로 시설한다.
③ 전차선이 교차하는 위치에는 교차금구를 설치하고 조가선 상호간 및 전차선 상호간 또는 조가선과 전차선을 일괄 균압 한다.
④ 교차금구는 전차선의 이동에 따라서 교차한 전차선․곡선당김금구 등과 경합해서 팬터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시설한다.
⑤ 교차장치에서 곡선당김금구는 상대되는 전선의 외측에 설치한다.
⑥ 교차금구의 표준길이는 다음과 같다. 다만, 산업선의 기설 2,000[㎜]는 개량시까지 계속 사용한다.
  가. 12번 분기 이하 : 1,400[㎜](기설 1,200[㎜])
  나. 15번 분기 이상 : 1,800[㎜]
⑦ 교차장치에서 본선과 부본선 공히 상대측 궤도중심에서 전차선까지 거리의 300[㎜]되는 지점은 수평을 유지하여야 하고, 900[㎜]되는 지점은 부본선 전차선이 본선의 전차선 보다 30[㎜] 높게 설치되어야 한다.
⑧ 조가선은 상호 접촉에 의한 마찰 등으로 소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분리한다.
⑨ 교차장치 교차점에서 본선측 궤도중심과 교차측 전차선간의 간격이 1,200[㎜]가 되는 지점까지는 곡선당김금구 등 일체의 크램프를 설치해서는 안 된다.

 

(3) 분기기 부근에서 전주의 건식위치

① 곡선당김장치 및 진동방지장치의 위치
② 분기기의 종별 및 배열상태
③ 경간율과 인접지지점의 선로에서의 이격관계
④ 본선의 편위와 건넘선의 편위와의 관계
⑤ 건넘선 장치의 종별

 


2. 합성전차선의 교차
(1) 건넘선 장치 이외의 합성전차선 교차는 다음 각 호에 의한다.

① 무효부분에서의 전차선 및 조가선의 교차개소는 교차금구를 설치하지 않는다.
② 조가선 및 전차선의 무효부분 교차는 되도록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접촉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마찰이나 순환전류에 의한 손상이 없도록 보호설비 및 균압설비를 한다.

 

(2) 교차금구의 시설방법

① 교차금구 장치는 운전빈도가 높은 주요선을 하부로 시설한다.
② 전차선이 교차하는 위치에는 교차금구를 설치하고 조가선 상호간 및 전차선 상호간 또는 조가선과 전차선을 일괄 균압 한다.
③ 교차금구는 전차선의 이동에 따라서 교차한 전차선, 곡선당김금구 등과 경합해서 팬터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시설한다.
④ 교차금구 장치에서 곡선당김금구는 상대되는 전선의 외측에 설치한다.
⑤ 교차금구의 표준길이는 다음과 같다.
  가. 12번 분기 이하 : 1,400[㎜]
  나. 16번 분기 이하 : 1,800[㎜]
⑥ 건넘선 장치에서 본선과 부본선 공히 상대측 궤도 중심에서 전차선까지 거리가 300[㎜]되는 지점은 수평을 유지하여야 한다.
⑦ 조가선은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시설하고 부득히 접촉되는 경우 마찰 등으로 소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방호한다.
⑧ 교차금구장치 교차점에서 본선측 궤도중심과 측선측 전차선간의 간격이 1,200[㎜]가 되는 지점까지는 곡선당김금구 등 일체의 클램프를 설치해서는 안 된다.
⑨ 교차점은 연간평균온도에서 교차금구 가운데 지점에 있도록 한다.
⑩ 교차금구의 양 전차선의 고저차는 주요선의 레일 중심으로부터 900mm(KTX 고속열차 운행구간은 600mm)의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교차하고 있는 주요선에 대하여 교차 전차선의 정적 높이의 차를 0~30mm를 유지 하여야 한다.

⑪ 본선 전차선과 교차되는 측선 전차선로의 조가선을 지지하는 곳이 빔하스펜선 방식으로 현수되는 경우 조가선 현수선에는 도르래를 설치하여 높이 변화 및 장력의 Blocking을 줄이도록 한다.

 

(3) 평면교차 방식의 설계

① 건넘선 장치에서 곡산당김금구는 상대되는 전선의 외측에 설치한다.
② 12번 분기이하의 전철기에서는 전주의 위치를 전철기 중심근처에 설치한다.
③ 15번 분기이상의 전철기에서는 전주의 위치를 팬터그래프 가이드가 접촉하는 지점(Attack Point)에 설치하며, 지지점에서 본선과 분기선로의 간격은 0.64±0.1[m]이내 이어야 한다.
    0.64[m] = d1+d2+d3
    d1 : 본선의 최대 편위
    d2 : 두 전차선간의 거리
    d3 : 분기선로의 최대 편위
④ 전철기 부근에서 본선과 분기선로 전차선은 팬터그래프 가이드가 접촉하는 지점에서 분기선로 전차선은 본선 전차선보다 분기기에 따라 높거나 같게 설치한다.
⑤ 평행개소의 인류측에서 양선의 조가선과 전차선간을 균압선으로 일괄 균압 한다.
⑥ 평행개소의 인류측 지지점에 있어서 전차선의 상호 인상 높이는 300[㎜]로 한다.
⑦ 평행개소의 경간은 2경간을 표준으로 설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단, 본선통과속도 220km/h미만에서는 경간이 30[m]이상일 때 1경간으로 설치할 수 있다.
⑧ 전철기의 중심을 포함하고 있는 지지물 경간은 45[m]이내 이어야 한다.
⑨ 평행개소의 전차선 상호간격은 200[㎜]를 표준으로 한다.

⑩ 본선과 측선 전차선 높이차

조 건 전차선 높이차 비 고
분기궤도 속도가 90km/h 이하인 경우(F18.5 이하 해당) 50㎜ 측선이 위에 위치
분기궤도 속도가 90km/h를 넘는 경우(F21 이상 해당) 0㎜ 동일 높이
통과궤도와 분기궤도의 속도가 같은 경우 0㎜ 동일 높이
측선 전차선로가 고정 장력인 경우 50㎜ 측선이 위에 위치

전차선 높이차는 분기주축전주, 측선(분기선) 첫 번째 전주 및 2경간 오버랩인 경우 오버랩 주축 전주에 대하여 모두 주어야 한다.

⑪ 3커티너리 평면교차 일반적으로 F18.5분기기의 평면교차 방식 건넘선에서는 애자형섹션(동상용)을 설치하고, F46 분기기의 건넘선에서는 에어섹션으로 설치한다.
⑫ 선구에 설치되는 궤도분기기 번호(분기기 통과속도)를 고려하여 평면교차방식을 선정하여야 한다.
⑬ 편위 기준
분기주축전주에는 본선 및 측선(분기선) 커티너리가 현수된다. 각 커티너리 편위는 각자의 궤도중심선에 따른다. 두 커티너리의 편위는 양 궤도중심선(통과궤도 및 분기궤도) 사이에 있어야 한다. 양 커티너리 사이의 최소 이격거리는 0.10m이다.

⑭ 경간길이, 가고 및 무효 인상 높이-각 전차선로 시스템의 오버랩(평행구간)의 에어조인트 설치 원칙에 따라 시설한다.
⑮ 팬터그래프 절연 가이드에 전차선이 접촉여부 검토-가이드(Horn)은 절연부로서 소모성 자재가 아니다. 금속보다 강도가 약한 유리섬유(Fiber Glass) 재질이다. 우리나라 KTX 고속열차 팬터그래프의 타흔의 원인은 주로 건널선 개소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속선 분기 전차선로 시스템을 3 커티너리로 바꾸게 된 주요 이유가 팬터그래프 압상에 의한 절연 재질의 가이드 혼에 전차선이 부딪쳐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

 

가. 본선 주행 시 측선 전차선과 Horn 접촉 가능성
본선을 통과하는 팬터그래프에 측선(분기선) 전차선이 접촉될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계산 기법은 다음과 같으며 해당선구의 노선 및 차량특성에 따라 계산한다.

요 소 항 목 값(㎜) 비 고
Hp  절연 Horn 시작점의 아랫방향 높이 64 +
ys 팬터그래프에 의한 본선 전차선
압상량(동적)
  -
△Ht 본선과 분기선 전차선 사이 정적
높이차(본선 기준)
30(50) +
y 접촉 가능성y=Hp-ys+△Ht    

y<0이면 측선(분기선)이 팬터그래프 절연 가이드 부위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ys의 값은 최악조건을 가정하여 실제적인 압상량 값을 넣는 것이 합리적이다.

 

나. 궤도 분기기의 각부 거리 및 통과속도

구분 A(m) B(m) α (deg) Speed R(m) Remark
F8 12.144 14.240 7°09′10″ 25 km/h R = 165.19m Fixed Frog
(고정 크로싱)
Curved Switch
Straight Frog
F10 14.655 17.740 5°43′29″ 35 km/h R = 278.26m
F12 17.36   4°46′19″ 45 km/h R = 401.70m
F15.3 31.02   3°70′04.48″ 80 km/h R = 1,000m Moveable
Frog(가동크로싱)
Curved Switch
and Frog
F18.5 32.774 32.199 3°05′38.76″ 90 km/h R = 1,200m
F26 45.410 46.537 2°12′09.36″ 130 km/h R = 2,500m
F46 45.105 109 1°18′46.08″ 170 km/h R1 = 3,550m
R2 = ∞

 

출처-국가철도공단 KRE-03190

깨끗한 심령들이 되게 하시고 아름다운 마음들을 사랑하는 모습들이 되게 하여 주옵소서

 

우리 자신과 주위 환경을 돌아보게 하시고,

내 주위에 둘러선 많은 사람들을 기억하게 하여 주옵소서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는 신앙을 소유하게 하시고,

그 신앙속에서 힘있게 전진하게 하여 주옵소서

 

현실에만 집착하여 미래를 생각지 못하고 미래를 준비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자들이 되지 않게 하옵소서

 

지나간 과거의 어두웠던 일에 얽매이지 않게 하시고

바로 현실을 보며 미래에 대한 소망으로 가득차게 하여 주옵소서

 

하나님이 보시기에 흡족할 만하고

인간들이 보기에 창찬할 만한 모습들이 되게 하여 주옵소서

 

우리 자신들이 스스로를 생각할 때도 만족한 생활이 될 수 있도록 새 힘을 주옵시고,

더욱 나아가서 담대하게 자랑할 만한 모습이 되게 하여 주옵소서

 

하나님께서 너무도 흡족히 여기시고 기쁘게 여기시는 성도의 삶을 원하오니

성령의 능력을 더하시고 충만하게 하여 주옵소서

 

풍성함으로 채워지게 하시고 그로 인해 기쁨이 넘치고,

즐거운 복된 삶이 되게 하여 주옵소서

 

현재의 믿음에서 더욱 큰 믿음으로 자라나게 하여 주시고,

우리의 믿음이 자라므로 교회가 더욱 성장하게 하시고 질적으로 더욱 성숙케 하여 주옵소서

 

모든 사람들 앞에서 진실할 수 있게 하시고,

나라와 민족 앞에서도 진실한 모습을 보일 수 있게 하옵소서

 

세상적인 지식으로 교만한 마음을 하나님을 아는 지식으로 지혜롭게 겸손하게 하시고,

높아질수록 낮아지고 가질수록 사랑을 베풀게 하옵소서

 

더욱 크신 인자하심을 베풀어 주시어

우리의 삶에 평안을 이루며 주의 광명을 바라볼 수 있게 하옵소서

 

모든 것이 새로워 충만한 마음을 가질 수 있게 하시고

우리의 영혼을 만족케 하여 주옵소서

마음에 흡족함이 넘치게 하시고

그로 인해 기운찬 하루하루의 생활이 되게 하여 주옵소서

 

필요한 것들이 충분히 공급되게 하시고 아름답고 귀한 모습으로 양육되게 하여 주옵시고,

모든 풍성함을 필요로 하는 자들에게 채워 주옵소서

 

확신 가운데 굳건하게 서서 그 어느 것도 허물어 뜨릴 수 있는 강인한 믿음,

강건한 삶을 이루고자 하오니 도우시고 선한 길로 이끌어 주옵소서

 

가정들마다 즐겁고, 화목하고, 기쁨이 충만하게 하시고, 복

된 가정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통해서 우리 주님의 이름이 더욱 아름답게 증거되게 하여 주옵소서

 

더욱 건강의 축복으로 함께 하시고 늙음에서 오는 외로움과

서러움, 섭섭함, 인생의 무상함에서 지키시고, 보호하시고 위로하여 주옵소서

 

우리가 주의 존귀하고 영광스러운 위엄과 주의 기사를 묵상하게 하옵시고,

우리를 품어 안으시고 더욱 큰 승리의 길로 걸어갈 수 있도록 우리의 삶을 붙드시고 인도하여 주옵소서

 

아름다운 열매들을 맺게 하시고, 수고하고 땀흘린 그 열매들의 아름다움으로 인해

기쁨과 은혜가 충만하게 하여 주옵소서

 

항상 기쁨 속에서 삶에 대한 굳은 용기 속에서 살아가게 하시며,

내일에 대한 밝은 희망속에 살게 하여 주옵소서

 

우리를 향하여 죄없다 용서하시고 의로운 자로 인정 해주시는 확신 속에 거하게 하여 주시고,

우리 또한 그 확신 속에서 기뻐하며 평안을 이룰 수 있게 하여 주옵소서

 

우리의 심령 속에 회개함이 넘치게 하셔서 주 앞에서 용서받는 자들이 되게 하시고,

한번 회개한 죄를 두 번 죄짓지 않게 강건하게 붙들어 주옵소서

 

참된 것을 위하여 살고 온유하며 겸손하게 살도록

진리의 말씀으로 충만케 하사 더욱 강하게 하옵소서

 

주님의 자애로우신 얼굴 빛으로 우리의 마음을 밝게 하시고

우리가 번민을 할 때 안전을 찾을 수 있게 하여 주옵소서

1. 진동방지 및 곡선당김금구 등의 설계


(1) 진동방지금구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설계한다.
① 진동방지금구는 전차선로에 작용하는 수평하중 값이 곡선에 의한 수평하중 보다 바람에 의한 수평하중 이 큰 구간에서 전차선의 횡진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② 진동방지금구를 빔하스팬선에 설치하는 경우는 이종금속의 접촉 등에 의한 부식 및 소선, 단선이 없도록 설치하고 동일 스팬선에 2조 이상 병설하는 경우는 순환전류에 의한 손상이 없도록 설비한다.

 

(2) 합성전차선의 가동브래킷 등 각 지지점에는 다음 각 호에 의한 곡선당김금구를 시설함을 원칙으로 한다.
① 속도등급 200킬로급 이하 가동브래킷 곡선당김금구의 설치 각도는 레일에 대하여 궁형은 11°, 직선형은 15°를 표준으로 하고 순간풍속 30[m/s] 이하에서 팬터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시설한다.
② 궁형 곡선당김금구의 설치는 팬터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치한다.

 

(3) 가동브래킷을 사용하지 않고 애자 등으로 절연하여 합성전차선을 지지하는 곡선당김장치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설계한다.
① 분기기 부근 등에서 중간편위의 규정치 확보가 곤란한 지점에는 합성전차선 또는 조가선에 별도의 곡선당김장치를 시설한다. 합성전차선의 무효부분도 또한 같다.
② 곡선당김장치는 전기차의 주행 시 팬터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계한다.

 

(4) 곡선당김금구 등을 취부할 수 없는 경우는 직접 조가방식 등 적당한 방법으로 합성전차선을 지지할 수 있다.
(5) 자동장력조정장치를 설치한 구간(Section)에서 진동방지금구 및 곡선당김금구는 장력조정에 대한 억제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진동가고
(1) 전차선과 가동브래킷의 수평파이프(진동방지파이프)의 수직 중심간격은 다음 표를 표준으로 한다. 다만, 빔하스펜선 개소의 전차선과 빔하스펜선과의 진동가고는 300[mm]를 표준으로 하고, 교차개소와 분기개소 등의 일부 특수개소에서는 예외로 한다.

속도등급 진동가고(표준) 비고
200킬로급 이하 350[㎜]  
250킬로급 385[㎜]  
300킬로급 이상 600[㎜]  

 

 

3. 곡선당김금구의 하중케이스별 계산

1) 곡선로 (R5000)

하중
케이스
앞경간
(m)
뒷경간
(m)
앞편위
(m)
현재편위
(m)
곡선반경
(m)
장력
(N)
풍압
(N/m)
지형
계수
Zone1,
일반개소
60 60 -0.05 0.20 5,000 34,000 19.13 1.0
Zone1,
노출개소
55 55 -0.05 0.20 5,000 34,000 19.13 1.3
Zone2,
일반개소
50 50 -0.05 0.20 5,000 34,000 29.15 1.0
Zone2,
노출개소
45 45 -0.05 0.20 5,000 34,000 29.15 1.3
하중 케이스 곡선반경으로
인한 횡장력(N)
편위로 인한
횡장력(N)
풍압으로 인한
횡장력 (N)
횡장력의
합 (N)
여유율(15%)
(N)
안전율(2.5)
(N)
Zone1,
일반개소
408 283.3 1,148 1,839 2,115 5,288
Zone1,
노출개소
374 309.1 1,368 2,051 2,359 5,896
Zone2,
일반개소
340 340.0 1,458 2,138 2,458 6,145
Zone2,
노출개소
306 377.8 1,705 2,389 2,747 6,869

 

2) 직선로

하중
케이스
앞경간
(m)
뒷경간
(m)
앞편위
(m)
현재편위
(m)
곡선반경
(m)
장력
(N)
풍압
(N/m)
지형
계수
Zone1,
일반개소
65 65 -0.20 0.20 10,000 34,000 19.13 1.0
Zone1,
노출개소
60 60 -0.20 0.20 10,000 34,000 19.13 1.3
Zone2,
일반개소
55 55 -0.20 0.20 10,000 34,000 29.15 1.0
Zone2,
노출개소
50 50 -0.20 0.20 10,000 34,000 29.15 1.3
하중 케이스 곡선반경으로
인한 횡장력(N)
편위로 인한
횡장력(N)
풍압으로 인한
횡장력 (N)
횡장력의
합 (N)
여유율(15%)
(N)
안전율(2.5)
(N)
Zone1,
일반개소
0.0221 418.5 1,243 1,662 1,911 4,778
Zone1,
노출개소
0.0204 453.3 1,492 1,945 2,237 5,593
Zone2,
일반개소
0.0187 494.5 1,603 2,098 2,412 6,031
Zone2,
노출개소
0.0170 544.0 1,895 2,805 2,805 7,011

 

 

4. 곡선당김금구의 재료 특성

항목 재료 항복강도
(N/㎟)
인장강도
(N/㎟)
탄성계수
(N/㎟)
파이프 A6061 TD T6 245 이상 295 이상  70×103 

 

 

5. 곡선당김금구의 최대응력 및 안전율

단면형상 치수 재질 응력 (MPa) 안전율
(A/B)
비고
항복 비고(A) 최대(B)
단면형상 23w×3.5t×42h A6061 TD T6 245 199.9 1.22 만족

 

출처-국가철도공단 KRE-03180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균압장치의 종별과 사용구분  (0) 2022.07.18
건넘선 장치  (0) 2022.07.18
강체전차선로의 설계(R-Bar)  (0) 2022.07.14
전차선의 높이와 기울기  (0) 2022.07.14
전차선의 편위  (0) 2022.07.14

1. 설계일반
강체 전차선 가선 방식에서 가장 먼저 고려하여야 할 것은 노선의 최대 속도이며 이것은 최대 허용 이도와 지지점간의 간격, 지지점간의 최대 허용 높이 차, 최대 경사차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2. 브래킷의 간격

1) 브래킷의 최대 허용 간격

속 도 최대 허용 이도 최대 허용 경간
≤ 80 [km/h] a/750 12[m]
≤ 120 [km/h] a/1,300 10[m]

 

2) 브래킷의 경간 조정

첫 번째 경간 두 번째 경간 세 번째 경간 최대 경간
8[m] 10[m] 10[m] 10[m]
8[m] 11[m] 12[m] 12[m]

 

3. 인류구간
(1) R-bar 강체가선의 인류구간 거리는 400[m]~600[m], T-bar 강체가선의 인류구간 거리는 200[m]~250[m]을 표준으로 하며, 신축장치를 고려하여 인류구간을 조정할 수 있다.
(2) 인류구간 거리는 터널에 설치되는 환기구 및 급기구 등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따라 터널 내 기온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4. 편위의 기준

속도 스팬 편위 간격 지지점 수
≤ 80[km/h] 12[m] 20[cm] 120[m] 10
≤ 120[km/h] 10[m] 20[cm] 200[m] 20

 

5. 전차선의 구배

속 도 경 간 경간 최대 구배 증가 최대 최종 구배 구배 변경 경간수
≤ 80[km/h] 12[m] 0.8[‰] 5.0[‰] 5
≤ 120[km/h] 10[m] 0.7[‰] 3.5[‰] 4

 

6. 강체가선 브라켓의 경간과 지지금구
(1) 강체가선구간에서 R-bar 강체전차선의 브래킷의 간격은 10[m], T-bar 강체전차선의 브래킷은 5[m]를 표준으로 하고, 설계속도 및 처짐을 고려하여 R-bar의 경우 최대 12[m]까지 조정할 수 있다.
(2) 강체전차선을 지지하는 지지금구(지지물)의 설치 간격은 설계속도, 선로조건, 분기개소의 중심지점, 건넘선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3) 강체전차선로의 지지금구는 강체전차선의 지그재그 편위의 횡방향 조정, 높이 조정, 곡선로에서 회전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4) 지지금구는 선로길이 방향으로 강체전차선로가 자유롭게 팽창 수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허용 고저차

속 도 최대 고저차 허용 구배․경간
≤ 80 [km/h] +/-10[mm] 0.8[‰] 12[m]
≤ 120 [km/h] +/-7[mm] 0.7[‰] 10[m]

 


7. 강체전차선의 접속

R-bar 강체전차선의 접속은 접속판(splice plate)에 의해 상호간 접속하고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속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8. 급전분기장치
강체전차선로에 접속하는 급전분기 장치는 강체에 적합한 클램프를 사용하여 체결하여야 하며, 공칭 정력전류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9. 램프(Ramp)
강체전차선로의 램프(Ramp)는 신축장치, 구분장치 및 분기선의 구성에서 집전장치의 원활한 통과를 위하여 각 섹션의 종단에 설치하여야 한다.

 


10. 신축장치
강체전차선로는 온도변화에 의한 강체전차선의 수축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1섹션마다 신축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11. 이행장치
(1) 가공전차선 구간과 지하 강체전차선 구간의 접속구간에는 이행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이행장치는 가공전차선과 강체전차선의 강도 차이를 점진적으로 완화하여 상호간 같아지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12. 강제전차선의 건넘선
강체전차선의 본선과 분기선에서의 건넘선은 서로 팬터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1) 세로 방향
① 측선의 첫 번째 지지점과 그 옆의 본선 지지점 사이의 거리는 ≤ 1 [m]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② 측선의 첫 번째 지지점과 두 번째 지지점 사이의 거리는 2[m]가 되어야 한다.

③ 평행 부분의 길이는 2[m] 정도로 하고 측선 부분의 압상력을 고려하여야 한다.
④ 분기 부분에 있는 지지점의 지나친 이동을 막기 위해 양 트랙에 분기 부분과 고정점간에는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2) 가로 방향
① 강체 전차선의 평행 부분은 200[mm]의 이격 거리를 가져야 한다.

 

(3) 수직 방향
① 양 강체 전차선은 레일면 위로 같은 높이를 유지하여야 한다. 측선 강체 전차선의 높이는 가능한 한 조금 높아야 하나 본선의 것보다 절대로 낮아서는 안 된다.
② 측선 강체 전차선의 끝 부분은 위로 구부려져야 한다.

 

 

출처-국가철도공단 KRE-03170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넘선 장치  (0) 2022.07.18
진동방지 및 곡선당김금구의 설계  (0) 2022.07.15
전차선의 높이와 기울기  (0) 2022.07.14
전차선의 편위  (0) 2022.07.14
합성전차선의 설계  (0) 2022.07.14

1. 전차선 높이


(1) 가공전차선로의 전차선 공칭 높이는 5,000[mm]에서 5,200[mm]까지로 하며, 일반철도에서 표준높이는 5,200[mm], 고속철도에서는 전차선로의 설계속도, 차량제원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높이로 한다. 다만, 속도등급 200킬로급 이하에서 해당 노선의 특수화물 적재높이를 고려하여 전 구간을 5,400[mm]까지 높일 수 있다.
(2) 제(1)항에도 불구하고 기존선 전철화에 따른 터널, 과선교 등의 높이 부족개소와 선로를 고속화하는 경우나 컨테이너를 2단으로 적재하여 운송하는 선로 등의 경우에 는 열차안전운행이 확보되는 범위내에서 해당 선로의 전차선 높이를 다르게 적용 할 수 있다.
(3) 전차선로에 사전이도(pre-sag)를 주는 경우 경간 중앙부의 전차선 높이는 그 계산 값만큼 차감한 높이로 시설한다.
(4) 건널목 구간 등에서 안전을 위하여 전차선 높이를 부분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기존에 시설되어 있는 터널이나 과선교 및 교량 등의 구조물을 통과하여야 하는 경우에 전차선 높이를 부분적으로 낮출 수 있다.
(5) 경간 내에서 전차선의 처짐은 가장 낮은 지점의 전차선 높이가 공칭 높이보다 경간 길이의 1천분의 1이내이어야 한다.

구분 200 230 V>300 km/h
전차선 표준 높이[㎜] 5000 ~ 5500 5080 ~ 5300 5080 ~ 5300
허용 오차 ±30 0+20/±10 0+20/±10

 

2. 강체전차선의 높이


(1) 전동차 전용 지하구간에서 강체전차선의 높이는 레일면상 4,750[㎜] 이상으로 하고, 차량 구조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2) 일반철도 구간에서 강체전차선으로 설계할 경우 설계속도, 선로의 조건, 차량의 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전차선의 높이를 결정하여야 한다.

 


3. 전차선의 기울기


(1) 전차선 기울기는 해당 구간의 설계속도에 따라 다음 표의 값 이내로 하여야 한다.
다만 에어섹션, 에어조인트 또는 분기구간에는 기울기를 주지 않는다.

설계속도 V [km/h] 속도등급 속도등급 기울기[‰]
350<V≤400 400킬로급 0
300<V≤350 350킬로급 0
250<V≤300 300킬로급 0
200<V≤250 250킬로급 1
150<V≤200 200킬로급 2
120<V≤150 150킬로급 3
70<V≤120 120킬로급 4
V≤70 70킬로급 10

 

(2) 전차선의 기울기가 시작되는 구간의 첫번째 경간과 마지막 경간은 규정 기울기 값의 1/2의 값으로 시설한다.

 

전차선의 기울기(구배)

속도 (km/h) 최대 구배 (천분률) 변화 허용 구배 (천분률) 전철주 사이의 전차선 구배
10 60 30 40
30 40 20 20
60 20 10 10
100 6 3  
120 4 2 6
160 3.3 1.7 4
200 2 1 3
250 1 0.5  
>250 0 0  

 

 

4. 전차선의 최적높이


우리나라에 운행중인 전기차(EL 8200)를 기준으로 전차선 최소 높이 기준을 검토한 것으로 일반철도 구간에서 전차선의 표준높이를 5,200mm로 한 근거는 다음과 같다.


(1) 표준정적압상력 범위내의 최소높이(EL 8,200대 기준)
① 정적압상력범위 최소높이 계산
= 팬터접은높이 + (최대집전높이 - 접은높이) × 0.2
= 4.47m + (6.87m - 4.47m) × 0.2 = 4.95m
※ EL 8,200대 접은높이 : 4.47m
EL 8,200대 최대집전높이 : 6.87m
② 열차진동, 궤도 유지보수 여유 : 0.05m
∴ 전차선 최저 높이 = 4.95m + 0.05m = 5.00m
(3) 전차선 표준 높이는 전차선의 이도와 온도변화에 의한 상,하 변동량 등의 여유와 가장 양호한 집전성능 Position을 고려하여 5,200mm로 정한다.

 

요 소 정적상태
(≤120km/h)
동적상태
(≥120km/h)
비고
차량한계
(KG : kinematic gauge)
4,650(static) 4,700(Dynamic) UIC 4,310+b'
KR 4,500+b'
Catenary장치진동폭 0.02 0.02 설치오차와 관련
전기적이격거리[m] 0.27 0.17 UIC 606-1
KS C IEC 60913
궤도유지보수 여유[m] 0.05 0.05  
전차선 Pre-sag[m] 0.03 0.03 65m기준
전차선이탈량(곡선)[m] 0.03 0.03 R=16000,
Span=65m기준
전차선동적진동폭[m] 0.0 0.04 팬터가 지난 다음
아래쪽으로 진동량
전기적이격거리여유[m] 0.05 0.05 대기오염의 고려
합계 5,100 5,09+(압상량0.12)
= 5,210
지지점에서 높이
(압상량 UIC 799)

350킬로급 신규 건설구간의 전차선 높이는 위와 같이 결정된 RL면상 5,100㎜를 표준 전차선 높이로 적용한다.

 

 

출처-국가철도공단 KRE-03160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동방지 및 곡선당김금구의 설계  (0) 2022.07.15
강체전차선로의 설계(R-Bar)  (0) 2022.07.14
전차선의 편위  (0) 2022.07.14
합성전차선의 설계  (0) 2022.07.14
전차선로용 애자  (0) 2022.07.13

우리의 삶이 그 누가 보아도 창찬하고 흠모할 모습이 되게 하여 주옵시고,

주 안에서 우리의 삶의 목표가 이루어 질 수 있게 하옵소서

 

나태하여 안일을 추구하는 모습이 되지 않게 하시고,

부지런 하고 열의로 가득 찬 삶이 되게 하여 주옵소서

 

언제나 모든 사람들과의 관계가 자애롭고 원만하게 하옵시고,

항상 웃으며 맑고 밝기만한 생활 모습을 이루게 하옵소서

 

우리는 부족하고 죄악 속에 시험 받으며

유혹에 잘 넘어가 실패하기 쉽사오니 지키고 보호하여 주옵소서

 

더욱 힘을 얻어 왕성하게 뻗어나가며 향상되게 하시고 발전을 이룩할 수 있게 하옵시고,

크신 은총으로 축복하시고 새 능력을 주옵소서

 

기쁨을 소유할 수 있는 은혜와 능력을 베푸시고

돌보심의 손길로 함께 하여 주옵소서

 

주를 위하여 살기에 부족함이 없게 하시고

능력있는 삶이 되게 하셔서 주께 영광 돌리게 하여 주옵소서

 

축복하여 저들 모두가 다 각오하고 결단한 믿음을 쫓아

변함없고 부족함이 없는 신앙 생활을 이루어 가게 하옵소서

 

우리들의 믿음이 뜨겁게 달아오르게 하시고

우리 마음의 문이 활짝 열리게 하여 주옵소서

 

주의 말씀을 통해서 우리의 시각이 새로워지게 하시고

우리의 관심이 새롭게 변화되게 하여 주옵소서

 

하나님께 영광이 돌아가게 하시고 우리에게는 한없는 평강이 임하게 하여 주옵소서

우리 모두를 은총 속에 품어 안아 주옵소서

 

은총을 베푸셔서 강하고 담대한 신앙생활,

충성되고 진실한 신앙생활을 이룰 수 있게 하여 주옵소서

 

약할 때 악한 세력과 싸워 지지 않을 힘을 주시고

흔들릴 때 유혹을 이길 지혜와 강한 믿음의 의지를 주옵소서

 

주님 안에 거함으로 어떤 폭풍도 우리를 뒤흔들지 못하게 하시고

우리의 요새가 되어 보호하여 주옵소서

기쁜 기쁨의 소식들을 전하고 듣게 하시며, 참 평안한 삶의 모습을 이루게 하여 주옵시고,

스스로 원치 않는 길에서 방황하지 않게 하옵소서

 

더욱 여유가 있고 확신에 찬 신앙의 모습이 되게 하시고,

매일 매일의 생활 속에서 주님과 더불어 동행하는 생활이 기쁨의 나날이 되게 하옵소서

 

허망한 사람과 자리를 같이하지 않게 하시고,

간사한 자와 동행하지 않게 하시며 악한 자들과 항상 거리를 멀리하게 하옵소서

 

언제나 쫓기고 쪼들리고 위축된 생활이 되지 않게 하시고,

활짝 나래를 펴고 큰 희망과 부푼 꿈을 꾸며, 이루어가며 생활하게 하여 주옵소서

 

우리의 모든 것이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되게 하시고,

변화되는 방향이 소망이 넘치는 모습이 되게 하여 주옵소서

 

열등의식이나 자격지심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하나님의 능력 안에서 모든 것을 할 수 있다고 하는 믿음으로 충만케 하여 주옵소서

 

진실된 마음, 확신에 가득찬 믿음, 소망찬 기쁨을 소유하게 하시고,

신령과 진리로 하나님을 경배하게 하여 주옵소서

 

언제나 변함없는 귀한 생활의 모습이 되게 하시고 오늘도 우리를 품어 안아 주옵소서

 

세상의 염려와 근심과 스트레스를 다 씻어내고

가볍고 평안한 마음들이 되게 하여 주옵소서

 

흔들리지 않게 하시고 굳은 의지로 나를 흔들리게 하는

모든 것을 물리칠 수 있게 하여 주옵소서

 

우리가 더욱 성실하게 주어진 일들에 충성을 다하게 하시고,

우리의 부족함과 연약함을 강건케 하여 주옵소서

 

게으르지 아니하고 실수하거나 유혹에 빠지지 아니할

믿음, 깊은 신앙심을 주옵소서

 

우리 자신에게 주어진 사명이 무엇인가를 깨닫게 하시고,

우리가 아끼지 말아야 할 수고가 또한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하여 주옵소서

1. 전차선의 편위


(1) 전차선의 편위는 오버랩이나 분기구간. 강풍구간, 터널 등 특수 구간을 제외하고 궤도 중심선에서 좌우 200[㎜]를 표준으로 한다.
(2)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고른 마모를 위하여 지그재그 편위를 주어야 한다.
(3) 전차선의 편위는 선로의 곡선반경 및 궤도 조건, 열차 속도, 차량의 편위량, 바람과 온도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4) 전차선로의 시공허용오차 등을 반영하여 경간 길이별로 최적의 편위로 시설하여야 한다.
(5) 분기구간 등 특수구간의 편위는 최악의 운영환경에서도 전차선이 팬터그래프 집전판의 집전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2. 편위 기준

곡성반경 (m) m (mm) 비고
∞ ≥ R ≥ 20000 m -200  
20000 m > R ≥ 10000 m -150  
10000 m > R ≥ 7000 m -100  
7000 m > R ≥ 4000 m -50  
4000 m > R ≥ 2000 m +50  
2000 m > R ≥ 400 m +200  

 

3. 전차선의 편위(Deviation of Contact Wire)를 정하는 요소

• 전기차 동요에 따른 집전 장치의 편위
• 풍압에 따른 전차선의 편위
• 곡선로에 의한 전차선의 편위
• 가동 브래킷, 곡선 당김 금구(pull-off arm)의 이동에 따른 전차선의 편위
• 지지물의 변형에 따른 전차선의 편위


전차선의 높이․편위는 정지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전차선의 높이․편위의 측정방법은 정적인 상태에서 궤도면상에서의 가선 측정기에 의한 방법과 동적인 상태에서 전철 시험차에 의한 방법이 있다.
※ 주의 사항 : 정적인 상태에서 가선 측정기에 의한 곡선 구간의 측정은 외측 궤도를 기준으로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체전차선로의 설계(R-Bar)  (0) 2022.07.14
전차선의 높이와 기울기  (0) 2022.07.14
합성전차선의 설계  (0) 2022.07.14
전차선로용 애자  (0) 2022.07.13
지선의 설계  (0) 2022.07.13

1. 합성전차선의 설계일반

(1) 전차선로는 가선범위를 확인하고 설계속도 및 노반조건에 따라 선정된 가선계를 적용하여 경제적으로 설계한다.
(2) 전철변전소, 구분소를 중심으로 상별․상하선별․운전계통별로 전기적으로 구분하여 급전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3) 전기적으로 인접한 구간에서 전차선로간의 다른 상(相) 또는 다른 전원의 접속 구간에는 절연구분장치로 설계한다.
(4) 전차선로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위하여 필요시 전기적으로 구분이 필요한 개소에 동상구분장치로 설계한다.
(5) 선로의 분기개소에는 건넘선장치를 설치한다.
(6) 인류구간별 전차선의 연결은 에어조인트로 한다.
(7) 동 설계로 선로에 따른 전차선의 선형, 높이, 편위값, 지지물의 종류와 위치, 각 구간별 인류길이와 전차선, 조가선의 조장 등을 결정한다.


2. 합성전차선의 가고

속도등급 표준가고〔mm〕 비 고
70~200킬로급 960 터널구간 710mm
250킬로급 1,200 터널구간 850mm
300/350/400킬로급 1,400  

 

3. 사전이도
커티너리 가선방식에서 열차운행속도 향상을 위하여 설계속도 및 차량제원에 따라 경간/1,000 또는 경간/2000, 경간/3000의 사전이도(Pre-Sag)를 줄 수 있으며, 설계속도가 향상된 새로운 전차선로 시스템의 경우 별도로 정할 수 있다


4. 가공전차선 절연
(1) 구름다리․승강장․지붕 근접 등에 시설하는 조가선은 밀어 올림 등으로 접지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애자 등을 삽입하여 무가압 조가선으로 하여야 한다.
(2) 제1항에서 조가선을 무가압으로 하였을 때에는 순환전류에 의한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그 양단의 조가선과 전차선에 균압장치를 설치하고 무가압구간은 조가선과 동등 이상의 허용전류를 가진 동연선으로 연결한다.


5. 조가선 보호
(1) 카드뮴동연선․강심동연선 및 청동연선을 사용한 조가선의 지지점에는 보호슬리브, 행거이어 개소에는 보호덮개, 소선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교차개소의 조가선은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하여 보호하여야 한다.
(2) 아연도강연선을 사용한 조가선에는 다음 각 호에 의한 조가선 보호덮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① 직선구간은 지지점에서 양방향으로 제1행거, 곡선구간은 제2행거까지
② 평행설비는 그 경간의 모든 행거까지
(3) 카드뮴동연선․청동연선 및 강심동연선을 조가선으로 사용하고 행거이어를 설치할 경우 조가선 보호덮개를 전량 설치한다.

 

6. 피복조가선의 시설
(1) 선상역사, 과선교 및 구름다리 하부 또는 터널입출구 등 조가선 소선 단선의 위험성이 있는 개소에는 낙하물 등에 의한 조가선 소손 및 단선의 방지를 위해 피복조가선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이물질을 던지거나 낙하시킬수 없는 밀폐형 구조의 선상역사, 보호망이나 안전벽이 설치된 터널 입․출구, 안전막이나 미세투시형 그물막이 설치된 과선교로서 조가선과 각부 시설물까지 1.2m이상 개소는 예외로 한다.
(2) 이중에어섹션으로 구성된 절연구분장치는 팬터그래프 통과시 발생할 수 있는 아크열로 인한 소선 단선의 방지를 위해 피복조가선을 설치하여야 한다.

 

7. 드로퍼의 시설
(1) 드로퍼의 설치 간격은 속도 등급에 따라 다음 표와 같이 설치할 수 있으며 전차선로의 가선시스템 및 특수경간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다만, 기존 산업선 전철구간(BT방식)에 한하여 드로퍼 간격을 10[m]로 설치할 수 있다.

속도등급 설치간격[m] 비 고
300킬로급 4.5~6.75 350/400킬로급 : 4.5~6.5m
250킬로급 3~4.5~5  
150~200킬로급 2.5~5  
70~120킬로급 2.5~5 행어이어 사용 가능

(2) 교차장치에서 본선과 교차되는선의 드로퍼(행어이어 포함)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8. 합성전차선의 경사
전차선 지지점에서 조가선과 전차선이 만드는 면과 조가선 지지점에서 궤도면으로 내린 수직선과의 간격.

속도등급 최대간격[mm]
250킬로급 이상 10
200킬로급 이하 50

 

9. 전차선로 가고의 적합성 검토 사항

▪가고에 따른 동력학 특성 변화 파악
▪동력학 시뮬레이션을 통한 정상운행조건에서 동적 압상량 확인
▪동력학 시뮬레이션을 통한 최대 풍속에서 동적 압상량 확인
▪선로와 차량 조건에 따른 차량의 주행 중 동적 수직 움직임 파악
▪곡선당김금구 및 가동브래키트의 사양 확인
▪팬터그래프 게이지 확인
▪팬터그래프 최대 압상 시 곡선당김금구 및 암지지금구와의 위치관계 검토
▪최악조건에서 팬터그래프가 최대로 기울어지는 각도 계산
▪곡선당김금구 사양에 대한 팬터그래프와의 접촉관계 평가

 

10. 높이에 따른 팬터그래프 운동 한계 계산

높이 집전판 반폭 넓이
(m)
Swing Gauge (m)
직선부 (E<0.066)
Swing Gauge (m)
곡선부 (E=0.180)
비고
5 0.725 0.206 0.287  
5.1 0.725 0.211 0.294  
5.2 0.725 0.216 0.301  
5.3 0.725 0.222 0.308  
5.4 0.725 0.227 0.315  
5.5 0.725 0.232 0.322  
5.6 0.725 0.238 0.329  
5.7 0.725 0.243 0.336  
5.8 0.725 0.248 0.343  

 

11. 드로퍼 길이

드로퍼 배치

 

경간 구분 A B C D E
50 m 드로퍼 길이(m) 0.872 0.748 0.655 0.593 0.562
선의 길이(m) 0.81 0.68 0.59 0.53 0.52
40 m 드로퍼 길이(m) 0.890 0.802 0.743 0.714  
선의 길이(m) 0.83 0.74 0.68 0.65  
30 m 드로퍼 길이(m) 0.908 0.855 0.829    
선의 길이(m) 0.84 0.79 0.76    

※ “선의 길이”는 아래 식으로 구한 값을 cm 단위로 반올림한 값임
     선의 길이 = 드로퍼 길이 - 크램프 길이(전선 압착부 제외) = 드로퍼 길이 - 0.065m

 

 

출처-국가철도공단 KRE-03130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차선의 높이와 기울기  (0) 2022.07.14
전차선의 편위  (0) 2022.07.14
전차선로용 애자  (0) 2022.07.13
지선의 설계  (0) 2022.07.13
가동브래킷 및 하수강의 설계  (0) 2022.07.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