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聲玉振 (금성옥진) 재주와 지혜, 인덕을 충분히 조화 있게 갖추고 있음

 

錦繡之腸 (금수지장) 고운 마음씨, 또는 그런 마음씨를 가진 사람

 

巧言令色 (교언영색)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교묘히 꾸며서 하는 말과 아첨하는 얼굴 빛

 

外柔內剛 (외유내강) 겉으로 보기에는 부드러우나 속은 곧고 강함

 

宥口無言 (유구무언) 무엇이라고 변명할 말이 없음

 

宥始有終 (유시유종) 처음이 있고 끝이 있다는 뜻으로, 시작한 일을 끝까지 함

 

隱忍自重 (은인자중)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행동을 신중히 함

 

義重之人 (의중지인) 마음속에 있어서 잊을 수 없는 사람

 

義海恩山 (의해은산) 은의가 대단히 크고 깊음

 

以樂治心 (이락치심) 아름다운 음악으로 번뇌한 마음을 달램

 

以心傳心 (이심전심) 말을 주고받지 않아도 서로 마음이 통함

 

以人爲鑑 (이인위감) 남의 성공과 실패를 거울삼아 자신을 경계함

 

'한줄메모 > 한줄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寬弘磊落 (관홍뇌락)  (0) 2022.08.29
人定勝天 (인정승천)  (0) 2022.08.26
口者關也 (구자관야)  (0) 2022.08.26
拈華微笑 (염화미소)  (0) 2022.08.24
老馬之智 (노마지지)  (0) 2022.08.24

敎學相長 (교학상장) 스승은 학생에게 가르침으로써 성장하고, 제자는 배움으로써 진보함

 

舊交之間 (구교지간) 오래 전부터 시귀던 사이

 

究設不得 (구설부득) 이치에 어긋난 일을 추구하면 오히려 이해하기 러려움

 

久而敬之 (구이경지) 오래도록 공경함

 

久任責成 (구임책성) 오랫동안 일을 맡겨 그 직책을 다하게 함

 

口者關也 (구자관야) 입을 함부로 놀려서는 안됨

 

舊態依然 (구태의연) 예전 모습 그대로 조금도 변함없이 여전함

 

國泰民安 (국태민안)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살기 평안함

 

眷眷不忘 (권권불망) 가엾게 여겨 늘 돌보며 잊어버리지 않음

 

勸上搖木 (권상요목) 남을 부추겨 놓고 낭패를 보도록 방해함

 

勸善懲惡 (권선징악) 착하고 선한 일을 권장하고 못되고 악한 일을 징계함

 

金科玉條 (금과옥조) 금이나 옥처럼 귀중히 여겨야 할 법칙이나 규정

 

 

 

'한줄메모 > 한줄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定勝天 (인정승천)  (0) 2022.08.26
以人爲鑑 (이인위감)  (0) 2022.08.26
拈華微笑 (염화미소)  (0) 2022.08.24
老馬之智 (노마지지)  (0) 2022.08.24
內疏外親 (내소외친)  (0) 2022.08.23

1. GIS형과 철구형의 비교

 

항 목 GIS형 모선 연결(옥외철구형)
형 태 모양이 간단하고 외관이 미려하다. 외관이 좋지 않다.
부 지 부지면적이 작으므로 비용이 적다. 부지면적이 커지므로 비용이 증가한다.
안 전 성 활선 부분이 없으므로 안전하다. 활선 부분이 많아 위험하다.
신 뢰 성 SF6 Gas로 충전되므로 안전하고 신뢰성이 있다. 활선 부분이 노출되므로 사고 및 정전의 위험이 있다.
절 연 력 SF6 Gas로 충전되어 밀폐되므로 외부와 접촉이 없다. 붓싱, 모선, 철구, 애자류, 크램프 등이 주변의 먼지, 염분, 철분, 아황산가스, 공해 등으로부터 오염되어 절연력이 나빠진다.
유지보수 GIS는 반영구적 기기이므로 보수가 불필요하다. 절연력이 나빠지고 노출되므로 유지 및 보수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설치비용 설치비용이 싸다. 옥외철구, 모선, 애자류 등의 설치비용 및 토목 기초비용이 필요하므로 GIS보다 높다.
경 제 성(개략건설비) 100 % 63 %
공사기간 Unit별로 완전 조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고 공사기간이 짧다.
철구조물이 많고 기기기초 및 각종 기기
가 별도 설치되므로 공사기간이 길다.
특 징 ∙절연내력이 우수한 SF6 Gas를 이용하기 때문에 개폐장치를 대폭 축소하여 기기설치 면적이 작다.인체감전에 대한 위험과 화재의 위험성이 없고
무독성 때문에 인체에도 무해하다.
∙염해, 먼지 등에 대한 오손, 기후 및 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완전히 밀폐되어 있고 SF6 Gas중에서 사용 하기 때문에 열화가 없다.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소음이 적고 주변환경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으므로 민원해소에 도움이 된다.
∙무인운전이 가능하다.
∙조작에 대한 육안감시가 용이하다.
∙충전부 노출로 인한 코로나 소음 및 Loss가 문제된다.
∙해안, 대도시, 공단등 공해지역은 절연력이 나빠지므로 대책이 필요하다.
∙민원발생 우려가 크다.
∙유지보수 작업인원이 필요하다.

종 합 - 건설비 측면에서는 철구형이 다소 유리
- 토지이용, 운전유지보수, 신뢰성,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GIS형이 유리
       

 

 

2. 옥외GIS형과 옥내GIS형 비교

 

구 분 변 전 소 급전구분소 보조급전구분소
옥외GIS형 옥내GIS형 옥외GIS형 옥내GIS형 옥외GIS형 옥내GIS형
부 지 면 적
[㎡]
약 8,000 약 2,992 약 1,250 약 688 약 1,000 약 465
연건축면적
[㎡]
약 880 약1,940.5 약 330 약 560 약 236 약 322
소음 및 진동 크 다 적 다 크 다 적 다 크 다 적 다
염해 및 공해
(부 식)
크 다 적 다 크 다 적 다 크 다 적 다
시 공 성 양 호 양 호 양 호 양 호 양 호 양 호
미 관 나쁘다 좋 다 나쁘다 좋 다 나쁘다 좋 다
유지보수성 불 리 유 리 불 리 유 리 불 리 유 리
민 원 많 다 보 통 많 다 보 통 많 다 보 통
무인화운용
(보 안)
불 리 유 리 불 리 유 리 불 리 유 리
경 제 성
(개략건설비)
100[%] 108[%] 100[%] 112[%] 100[%] 109[%]
추 진 방 안

 

 

3. 결론

 

※ 상기 비교 결과 옥내GIS형이 투자비는 다소 증가하나 부지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민원 발생 우려가 적으며 또한 급전구분소 및 보조급전구분소의 무인화에 따른 보안상의 유익성 등을 고려하여 옥내 GIS형을 추진하는 것이 유리함.

 

 

1. 수전 전압강하 해소대책


단위법을 사용하는 경우, 단락용량은 단락임피던스에 직접 반비례하며, 단락임피던스는 고장점에서 본 테브난 등가임피던스에 해당한다. 따라서 일정한 부하에 대하여 단락임피던스가 큰 지점은 전압강하의 정도가 크고, 단락임피던스가 작은 지점은 전압강하의 정도가 작다. 단락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지점일수록 전압강하율이 적다.
모선의 단락용량은 모선의 전압강하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이 모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전류의 크기가 클수록 단락용량에 따른 전압강하 특성이 현저하게 달라진다.
철도 전력공급계통에서 전압강하를 적게 하기 위해서는,  단락용량이 큰 변전소로부터 전력을 인출받는 방안 외에, 송전전압을 높이는 방안, 송전선의 종류를 바꾸거나 회선수를 늘리는 방안, 철도 급전방식을 바꾸는 방안 등이 있다.

 


2. 전압불평형 대책


전기설비기술기준 제 291조에 의하면, “ 교류식 전기철도는 그 단상부하에 의한 전압 불평형에 의하여 교류식 전기철도 변전소의 변압기에 접속하는 전기사업용으로 공급하는 발전기, 조상기, 변압기 기타의 기계기구에 장해가 생기지 아니하도록 시설하여야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는 교류식 전기철도가 단상부하이고 또한 그 용량도 종래의 전기로, 용접기 등의 단상부하에 비해서 상당히 커서 이를 3상 전력계통에 접속할 때는 전기 공급사업자의 발전설비, 송ㆍ변전설비 및 일반 수용가의 부하설비에 주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즉, 단상부하에 의해 3상 전원에 심한 불평형이 발생하면 발전기, 조상기 등의 회전기는 온도상승이 심해져 계통의 보호장치 및 계측장치의 오동작을 초래하고, 또한 유도전동기는 토오크의 감소나 이상 온도상승을 발생한다. 따라서 교류식 전기
철도는 단상부하에 의한 불평형을 가능한 한 적게 하도록 설계, 시공하고 유지되어야 한다.

 

이 조항은 전압불평형 경감조치를 요구한 것으로서 전기설비기술기준 전압불평형율의 허용한도에서는 교류식 전기철도 변전소의 변압기 결선방식에 따라 계산식을 지정하고, 변전소의 수전점에 있어서 전압불평형율을 3% 정도 이하로 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국내의 불평형율 한도치는 각 기기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 다른 국가의 실적 등을 참고로 해서 정해진 것으로, 일반부하에 의한 영향은 무시하고 전철변전소 수전점에 있어서 이를 규제한 것이다. 그리고 단상부하는 연속 10분의 평균부하를 취하도록 되어 있으며, 단시간에서는 한도치 이상의 불평형을 발생하는 것은 전철부하의 특성상 어느 정도 불가피한 일이지만 단시간의 불평형도 가능한 한 작게 하도록 노력 하여야 한다. 아울러 종래의 전압 불평형율 한도 3% 값은 전용선 수전의 경우에는 큰 의미가 없으며, 독일이나 프랑스 등 철도선진국에서도 보다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최근의 국내의 경우 고속철도 급전시스템에서는 10분 평균 1.0%를 전압불평형 규제치를 만족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3. 전압불평형 경감대책

 

1) 효과가 큰 방안으로는 변전소에서의 변압기 결선방식을 V결선 또는 T결선으로 채택하는 방법

2)  단락용량이 큰 수전변전소를 선정하는 방법

3) 전차선로를 얼마만큼의 섹션으로 분리해서 3상 급전을 각 상으로부터 분할 공급하는 방법

4) T결선의 경우로서 각 상의 부하가 불평형일 때 3상회로에 대해서 부하를 평형시키는 위상보상방식

5) 회전기에 의한 상수변환방식

6) 콘덴서 및 리액터를 사용한 정적 상수변환방식 등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철주 용접검사 안전대책  (0) 2023.01.27
접지공사 안전대책  (0) 2023.01.27
현장 안전관리  (0) 2022.08.05
열차감시원의 준수사항  (0) 2022.08.04
주요공사 안전대책  (0) 2022.08.04

1. 변전소 등의 형식

(1) 변전소등은 옥내형으로 하며,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옥외형으로 할 수 있다.
① 주택 등과 멀리 떨어져 민원발생 등의 우려가 적은 지역의 경우
② 공해ㆍ 염해 등의 우려가 적은 지역의 경우
③ 인구밀집지역이 아닌 지역의 경우
④ 그 밖에 옥내형으로 건설이 곤란한 경우
(2) 변전기기는 수전측으로부터 급전측까지 일관되고 합리적으로 배치하고, 급전측이 선로방향이 되도록 한다.
단, 급전선이 지중으로 인출될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3) 변전소등의 건물설계를 위하여 GIS 등 기기들의 하중과 시공시 필요 공간, 소음 및 진동기준 등 인터페이스 조건을 고려하여야 한다.
(4) 시공 및 유지보수를 위해 필요한 진입로와 장래증설을 고려하여 여유 부지를 확보하도록 설계한다.
(5) 변전소의 용량증설 및 노후 등으로 설비개량이 필요할 경우 1뱅크를 시설 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의 확보를 고려한다.
(6) 옥외 변전소의 경우 철구와 기기가대 등은 지반 및 하중을 고려하여 강재 또는 철제 비임 및 철근콘크리트주 등을 이용한 적절한 구조로 한다.

 

 

2.  변전소 등의 설비

변전소의 형식은 옥외 철구형, 옥내 및 옥외 GIS형, 철구형과 GIS를 혼합한 혼합형(Hybrid) 변전소로 분류한다. 옥외형은 배전반류와 제어반류를 건물 내에 설치하고, 다른 기기는 전부 옥외에 설치하는 것이며, 옥내형은 전부를 건물 내에 설치하는 것이다.
옥외식 변전소는 설비가 평면 배치로 되므로 용지 면적이 넓지만 공사비가 저렴하다.
옥내식 변전소는 다층 건축구조로 되어 설비의 배치설계가 입체적이기 때문에 용지면적을 축소할 수 있지만 건축비가 높게 된다. 따라서 변전소의 형태는 입지조건, 용지비 등 경제적 검토를 추가하여 결정한다.
옥내 철구형 변전소를 건설하는 것이 용지비, 건축비가 고가로 되는 경우는 가스절연 개폐장치(GIS)를 검토한다.

 

1) 변전설비 형식(GIS형, 철구형)
전철변전설비 형식에는 GIS형과 철구형으로 구분하며 각 형식별 경제성, 신뢰성, 안정성, 유지보수 등 장ㆍ단점이 있으며 건설비 측면에서는 철구형이 다소 유리하며, 토지이용, 운전유지보수, 신뢰성,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GIS형이 유리하다.

 

2) 변전설비 건설 방식(옥내, 옥외)
변전설비 형식을 GIS형으로 건설할 경우 그 건설방식(옥내 및 옥외)은 옥내방식의 경우 옥외방식에 비해 설치부지 면적 축소, 미관, 수명, 신뢰성, 안전성 및 무보수화, 무인화에 따른 보안 등의 이점이 있으므로 최근 국내 전력회사에서는 모든 신설변전소를 옥내 GIS화하는 추세이며 특히, 국가경제의 고도성장과 국민 의식구조 향상으로 인하여 변전설비 등은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시설물로 인식하고 있어 다소 건설비가 고가이나, 국토이용률의 극대화와 민원발생의 최소화를 위하여 환경 친화적인 건설방식인 옥내GIS화 방식이 바람직하다.
옥내GIS형이 투자비는 다소 증가하나 부지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민원 발생 우려가 적으며 또한 급전구분소 및 보조급전구분소의 무인화에 따른 보안상의 유익성 등을 고려하여 옥내GIS형을 추진하는 것이 유리하다.
ATP의 경우 부지여건 및 장래계획에 따라 옥내형 또는 옥외형으로 시설할 수 있다.

 

3) 옥내변전소
(1) 용지가 협소하기 때문에 옥외식으로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위치상 그 지점에 설치할 필요가 있어 다른 적당한 용지가 없는 경우이다.

(2) 경제적으로 옥내식으로 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 용지비와 건물비를 비교하여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용지비가 고가인 경우이다.
(3) 공해, 염진해, 주택지구 및 장래 주택예정지구 등 옥내식으로 할 필요가 있는 경우 공업지구로서 가스나 연진에 의해 기기의 성능이나 수명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장소가 해당된다.
(4) 옥내변전소는 전체의 설비를 옥내에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염진해대책의 경우는 애자 부분만 건물 내에 설치하는 등 경제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4) 옥외변전소
(1) 여건상 옥내형 건설이 곤란한 경우에 시설한다.
(2) 용지확보가 용이하고 용지비가 저가인 주택 등과 멀리 떨어진 지역에 시설한다.
(3) 소음, 진동 등에 의한 민원의 발생요소 등의 우려가 없는 지역에 시설한다.
(4) 염해 및 공해에 의한 피해가 상대적으로 높다.
(5) 유지 보수는 옥내형 보다 불리하다.

 


3. 변전소 등의 종류


1) 변전소(SS, Substation)
교류변전소에는 3상 전원의 불평형을 경감하기 위하여 3상을 2상으로 변환하는 스코트결선 변압기를 시설하며, 급전설비는 교류차단기를 각 방면별 상하선별로 회선을 나누어 단권변압기 급전방식(AT방식)을 갖춘 것으로 한다.
급전변압기는 M권선, T권선에서 각 방면별 AT측(55kV)에 전력을 공급하고, 2차측에는 필요에 따라 전력품질보상장치를 시설한다.

 

2) 급전구분소(SP, Sectioning Post)
인접변전소의 급전분계점의 절연구분장치에 바이패스 설비를 시설하여, 평상시에는 좌우 양 변전소의 위상이 다른 급전전원을 구분하고, 어느 변전소가 정전된 경우에는 급전구분소의 차단기를 투입하여 변전소 상호의 연장급전을 행한다. 이 설비가 급전구분소이다. 절연구분장치는 변전소의 부하분담을 고려하여, 변전소간의 중앙에 시설하고 급전구분소도 될 수 있는 한 근접한 장소에 선정한다.

 

3) 보조급전구분소(SSP, Sub-sectioning Post)
변전소와 급전구분소의 중간에 전차선로의 작업시 또는 사고시의 한정구분을 하기 위해 보조급전구분소를 시설한다. 또한 전차고, 기관차고, 야드 등의 본선에서의 분기개소에는 보호장치를 설비한 보조급전구분소를 시설한다.

 

4) 단말보조급전구분소(ATP, Auto-transformer Post)
AT방식의 경우에 전압강하보상, 통신유도장해의 경감을 위해 전차선로 말단에 단권변압기만의 단말보조급전구분소(ATP)를 시설한다.


5) 병렬급전소(PP, Parallel Post)
상하 전차선을 연결하는 차단기를 설치하여 병렬연결을 함으로서 전압강하를 줄일 수 있어 역간 거리가 길어지므로 고속전철운행에 적합한 급전방식이다.

 

 

4. 가선최대장력

  송전인류철구 구내가선철구 급전인출철구
22∼77kV
주 회 로
경동연선 55㎟
경알루미늄연선
200∼55㎟
4900∼9800N/조
경동연선
55∼150㎟
1960N/조
경동연선
150㎟
경알루미늄연선
95㎟
2940∼4900N/조
110kV∼154kV
주 회 로
강심알루미늄연선
7840∼9800N/조
경동연선
200∼300㎟
1960N/조
 
가 공 지 선 강 연선
22∼38㎟
3920∼4900N/조
강 연선
22∼38㎟
980N/조
 

 

5. 풍압하중

풍압을 받는 구분 구성재의 수직 투영면적 1㎡에 대한 풍압
목 주 588Pa
철 주 원형의 것 588Pa
삼각형 또는 마름모형의 것 1411Pa
강관에 의하여 구성되는 4각형의 것 1117Pa
기타의 것 복제가 전후면에 겹치는 경우에는
1627Pa, 기타의 경우에는 1784Pa
철근
콘크리트주
원형의 것 588Pa
기타의 것 588Pa
철 탑 단주 (완 철류는 제외함) 원형의 것 588Pa
단주 (완 철류는 제외함) 기타의 것 1117Pa
강관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단주는
제외함)
1254Pa
기타의 것 2156Pa
전선
기타 가접선
다도체(구성하는 전선이 2가닥마다 수평으로 배열되고 또한 그 전선 상호간의 거리가 전선의 바깥지름의 20배 이하인 것에 한한다. 이하 같다)를 구성하는 전선 666Pa
기타의 것 745Pa
애자장치(특별 전선용의 것에 한한다) 1039Pa
목주ㆍ철주(원형의 것에 한한다) 및 철근 콘크리트주의 완금속
(특별고압 전선로용의 것에 한한다)
단일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1196Pa, 기타의 경우에는 1627Pa

 

1) 전선의 피빙 및 빔(Beam)의 적설하중
전선에 빙설을 고려하는 경우는 가선 각조의 주변에 동축원통상의 두께 6㎜의 얼음이 붙어있는 것으로 하고, 피빙의 중량은 0.9 g/㎤로 한다. 빔의 적설중량은 빔 위에 관설(冠雪)이 있는 경우만 고려하고 기둥은 그 영향이 적으므로 무시한다.

 

2) 지진력
지진에 대한 학문이나 공학이 정립되기 이전에는 지진의 발생으로 인한 지상 구조물의 피해는 자연재해의 필연으로 받아들여졌고, 지진으로 인한 지반의 불규칙한 운동으로 구조물은 진동하게 되며, 지진력은 구조물의 기반에 작용하게 된다.
구조물의 상층에 작용하는 전단력은 구조물의 동적 거동의 결과에 따라 다르게 되고, 어느 특정지역에서 예상할 수 있는 지반운동의 크기와 특성을 알아내는 데는 한계가 있고 구조물이 지진에 대하여 잘 견딜 수 있는 능력은 탄성한계를 넘어 비탄성 범위내에서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파괴를 일으키지 않고 비선형적으로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조물의 연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기가 설치되지 않는 철구는 일반적으로 지진력에 의한 하중보다 풍압하중 쪽이 가혹하기 때문에 지진력은 고려하지 않는다. 기기가 탑재되는 철구는 지진력에 의한 하중과 풍압하중과 비교하여 가혹한 쪽의 조건으로 한다.

 

 모선의 높이 및 경간

[단위 : m]

전 압 철구경간 모선높이 모선 간격
인 류 구 내
22kV 4.0 6.0 1.2 0.7
33kV 5.0 7.0 1.5 0.9
44kV 5.0 7.0 1.5 1.1
66kV 7.0 7.0 2.0 1.5
77kV 7.0 7.0 2.0 1.7
110kV 9.0 9.0 2.5 2.3
154kV 12.0 10.0 3.5 3.0

 

 빔(beam)의 크기 및 철주의 지면폭

전압종별 빔(beam)의 크기 철주의 지면폭
하중방향 하중과 직각 하중방향 하중과 직각
22∼33kV 400~500 300~400 700~800 400~800
66∼77kV " " " "
110kV 500 400~500 700~1,000 500~1,000
154kV 700 700~1,000 700~1,000 700~1,000

 

 허용응력도표

재질 두께 또는
지름 t(㎜)
항복점
(N/㎟)
인장
강도
(N/㎟)
허용응력도(N/㎠)
인장 압축 전단 지압
강재 볼트
SS400 t≤16 245 401.8 16,170 16,170 16,170 9,310 11,760 26,950
16<t≤40 235 401.8 15,680 15,680 15,680 8,820 11,270 25,480
SS490 t≤16 285 490 18,620 18,620 18,620 10,780 13,230 30,870
16<t≤40 275 490 18,130 18,130 18,130 10,290 12,740 29,890
STK400   235 401.8 15,680 15,680 15,680 8,820 11,270 25,480

 

 콘크리트의 부착응력도

콘크리트(재령28일)의
압축강도(MPa)
부 착 응 력 (MPa)
형강ㆍ평강 봉 강 이형봉강
17.7이상 20.6미만 0.34 0.69 1.37
20.6이상 23.5미만 0.36 0.74 1.37
23.5이상 0.39 0.78 1.37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표65-2)

 

 

 철근의 장기허용응력도

종 별 허 용 응 력 도 N/㎠
인장 및 압축 전단 보강
SR235 15,680 15,680
SR295 15,680 19,600
SD235 15,680 15,680
SD295 19,600 19,600
SD345 21,560(19,600) 19,600
SD390 21,560(19,600) 19,600

(주) 1. D29이상을 사용하는 경우는 ( )내의 수치로 한다.
2. SD295, SD345, SD390의 경우 콘크리트강도 δ274.4가 1960N/㎠에 미치지 못하면 15680N/㎠로 한다.

 

 

출처-국가철도공단 KRE-02050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장점 표정장치(Locator)  (0) 2022.09.01
변전기기(가스절연 개폐장치)  (0) 2022.08.30
변전설비 구성 및 계획  (0) 2022.08.24
서지흡수기  (0) 2022.08.01
피뢰기  (0) 2022.08.01

自家撞着 (자가당착) 같은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아니하고 모순됨

 

拈華微笑 (염화미소) 말로 통하지 않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해짐

 

見物生心 (견물생심) 물건을 보면 욕심이 생김

 

孤掌難鳴 (고장난명) 혼자서는 어떤 일을 이룰 수 없음

 

惻隱之心 (측은지심) 남을 불쌍하게 여기는 타고난 착한 마음

 

同床異夢 (동상이몽)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 속으로는 각기 딴 생각을 함

 

龍蛇飛騰 (용사비등) 용이 살아 움직이는 것 같이 아주 활기 있는 필력

 

緣木求漁 (연목구어) 목적과 수단이 맞지 않아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함

 

千慮一失 (천려일실)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하나쯤은 실수가 있을 수 있다

 

自繩自縛 (자승자박)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신이 구속되어 어려움을 겪음

 

失牛治廐 (실우치구) 실패한 후에 일을 대비함

 

膠漆之交 (교칠지교) 아주 친밀하여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교분

 

'한줄메모 > 한줄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以人爲鑑 (이인위감)  (0) 2022.08.26
口者關也 (구자관야)  (0) 2022.08.26
老馬之智 (노마지지)  (0) 2022.08.24
內疏外親 (내소외친)  (0) 2022.08.23
知人之鑑 (지인지감)  (0) 2022.08.23

晩時之歎 (만시지탄) 시기에 늦어 기회를 놓쳤음을 안타까워하는 탄식

 

內庭突入 (내정돌입) 남의 집 안에 주인의 허락도 없이 불쑥 들어감

 

內淸外濁 (내청외탁) 깨끗하고 곧은 마음으로 어지러운 세상을 삶

 

老馬之智 (노마지지) 아무리 하찮은 대상이라도 그 나름대로 장점과 배울 점이 있음

 

勞心焦思 (노심초사) 마음을 몹시 졸이며 애를 태움

 

能大能小 (능대능소) 재주와 주변이 좋아 모든 일에 두루 능함

 

能文能筆 (능문능필) 문장을 짓는 솜씨와 글씨를 쓰는 솜씨가 능란함

 

多情佛心 (다정불심) 다정다감하고 착한 마음

 

進退維谷 (진퇴유곡) 앞으로도 뒤로도 나아가거나 물러서지 못하는 궁지에 빠진 상태

 

公明正大 (공명정대) 마음이 공평하고 사심이 없으며 밝고 큼

 

安分知足 (안분지족) 자기 분수에 만족하여 다른 데 마음을 두지 않음

 

結者解之 (결자해지) 일을 저지른 사람이 그 일을 해결해야 함

 

 

'한줄메모 > 한줄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者關也 (구자관야)  (0) 2022.08.26
拈華微笑 (염화미소)  (0) 2022.08.24
內疏外親 (내소외친)  (0) 2022.08.23
知人之鑑 (지인지감)  (0) 2022.08.23
萬年之計 (만년지계)  (0) 2022.08.23

1. 변전설비


변전실비는 가공 또는 지중 수전선로를 통하여 수전한 154kV의 전원을 전기차량 운행에 필요한 전력으로 변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설비들을 총칭한다.
(1) 변전소는 일반적으로 그 형태에 따라 철구형 변전소, GIS형 변전소 및 혼합형(Hybrid) 변전소로 분류한다.
(2) 변전설비는 급전계통 구성에 따라 전철변전소, 급전구분소, 보조급전구분소, 병렬급전소, 단말보조급전구분소로 구성한다.
(3) 변전설비는 170kV GIS, 72.5kV GIS, 단권변압기, 전철제어반, 소내전원설비, 고장점 표정반, 원격진단장치, 전력품질개선장치 등으로 구성한다.

 


2. 급전계통


(1) 교류전철화 구간에는 방면별로 급전하며, 각 변전소의 중간에 급전구분소를 시설하여 차단기 등의 보호장치와 함께 절연구분장치를 설치한다.
(2) 절연구분장치는 각 변전소의 급전전압의 위상이 다른 경우 계통을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3) 보통의 급전상태는 양단변전소에서 급전구분소의 절연구분장치까지 단독으로 급전하지만 사고와 작업 등의 경우에는 급전구분소에서 인접 변전소까지 급전을 연장한다.
(4) 변전소의 간격이 비교적 긴 경우 보수작업이나 사고 시에 급전구간을 구분하는 목적으로 보조급전구분소를 시설한다.
(5) 종래에는 BT급전방식을 사용하였으나 부하용량의 증가로 최근에는 AT방식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신설 설비는 AT급전방식을 표준으로 한다.
(6) 급전방식은 교류 단상 2만5천볼트 단권변압기 비절연보호방식을 표준으로 한다.
(7) 수전측의 상불평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급전용변압기는 스코트 결선을 사용하며, 급전용변압기 2차측의 M, T상은 단권변압기를 통하여 변전소에서 선로를 향할 때 좌 또는 우방향으로 급전구분소까지 공급한다.
(8) 변전소에서 전기차량까지 구성되는 회로의 전압보상을 위하여 단권변압기를 적절하게 분산배치하며, 단권변압기의 중성점과 매설접지선, 보호선, 궤도를 연결하여 전류를 변전소까지 귀환시켜 통신 유도장해와 사고파급을 최소화 되도록 설계한다.
(9) 각종 사고 또는 고장시 파급 등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보호방식을 제시하여야 한다.
(10) 전차선로의 상하선 구분 없이 방면별 급전되도록 회로를 구성한다.
(11) 3개 이상의 선로에 급전하는 경우 적정하게 부하가 분담되도록 회로를 구성한다.

(12) 부하측에서 발생되는 고조파의 크기를 검토하여 필요시 저감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3. 변전소 건설방식(옥내, 옥외)


1) 기기 건설방식에 의한 분류
변전설비의 기기건설은 차단설비의 건설방식에 의해 구분되는데 공기절연형과 SF6가스 절연형이 있다. 현재 건설되는 한전, 한국철도공사 및 운영중인 경부고속철도 우선개통구간(서울~부산)의 변전소 기기는 공기절연형에 비해 염해등 외부환경 또는 이물질 접촉에 의한 사고가 없고, 유지보수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각 기기가 표준화된 조립방식에 의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작공장에서 조립한 상태로 수송하기 때문에 현장 설치작업의 공기가 단축 및 보수 점검 업무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운전경비가 절감되며 설치면적 축소가 가능한 GIS(SF6가스 절연형)방식으로 건설되고 있다.


2) 건축물 건설방식에 의한 분류
변전설비의 각종기기(변압기 및 차단설비등)는 옥외에 설치하고 배전반 및 각종 감시 장비만 옥내에 설치하는 옥외방식과 변전설비의 모든 기기를 건축물내에 설치하는 옥내 방식이 있으며, 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옥내GIS방식은 초기투자비가 다소 불리하나 국토이용효율의 극대화와 설비의 기능성, 유지보수성, 보안성, 기기의 내구성, 민원 해소를 감안할 때 옥내GIS가 가장 유리한 건설방식이다. 특히, 최근에는 경제성장과 함께 삶의 질을 추구하는 국민의식 변화에 따라 자기주변의 변전설비에 대한 거부감을 갖고 있어 집단민원발생으로 건설에 어려운 실정이므로 한전에서도 기존 설비(옥외철구형)를 옥내GIS방식으로 개량하고 있으며, 철도 전철화시 변전설비도 옥내GIS형으로 건설하고 있는 추세이다.

 

 

4. 변전설비 하중표 조사 (샘플)

 

(1) 옥내 전철S/S

구 분 산 출 비 고
1층 M.TR 100.6[t] x 2 = 201.2[t] (30/40MVA기준)
AT 15.1[t] x 5 = 75.5[t] (7,500kVA기준)
배전반 1[t] x 6 = 6[t] 6면 기준
소계 282.7[t]  
2층 무근 35.6[㎡] x 2.3[t/㎡] = 81.88[t] -
제어반 11[면] x 1[t]=11[t] 11면 기준
소계 92.88[t]  
3층 무근 100.8[㎡] x 2.3[t/㎡] = 231.84[t] -
72.5㎸ GIS 정하중 : 94.5[tf]
동하중 : 112[tf]
동하중
소계 343.84[tf]  
4층 무근 131[㎡] x 2.3[t/㎡] = 301.3[t] -
170㎸ GIS 정하중 : 68[tf]
동하중 : 82[tf]
동하중
소계 383.3[tf]  
옥상 전력품질개선장치 9[t] x 2 = 18[t] 55㎸ 1SET
기준(M상, T상)
무근 50[㎡] x 2.3[t/㎡] = 115[t]  
소계 133[t]  

 

(2) 옥내SP

구 분 산 출 비 고
1층 AT 15.1[t] × 4 = 60.4[t] (7,500kVA기준)
2층 72.5㎸ GIS 정하중 : 54 [tf]
동하중 : 62 [tf]
동하중 기준
  제 어 반 1[t] × 3면 = 3[t]  
  배 전 반 1[t] × 5 = 5[t]  
  무근콘크리트 74.85[㎥] × 2.3 = 172.155[t]  
  소 계 302.555[t]  
옥상 R-C BANK 2[t] × 4 = 8[t]  

 

(3) 옥내SSP

구 분 산 출 비 고
1층 AT 15.1[t]× 2=30.2[t] (7,500kVA기준)
2층 72.5㎸ GIS 정하중 : 32 [tf]
동하중 : 36 [tf]
동하중 기준
  제 어 반 1[t]× 2면=2 [t]  
  배 전 반 1[t]× 5 = 5 [t]  
  무근콘크리트 28.65[㎥]× 2.3= 65.895 [t]  
  소 계 139.095[t]  

 

 

5. 변전설비 강제 통풍량 계산

 

종 류 용 량[㎸A] 효 율[%] 손 실[㎾] 공기소요량
[㎥/min]
배기팬모터
[HP]
단권변압기 5,000 99.3 35 387.8 5
7,500 99.3 52.5 581.7 7.5
주변압기 30,000 99.53 141 1,562.28 15
40,000 99.4 240 2,659.2 25
50,000 99.45 275 3,047 40

 

출처-국가철도공단 KRE-02030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전기기(가스절연 개폐장치)  (0) 2022.08.30
변전소 등의 형식  (0) 2022.08.25
서지흡수기  (0) 2022.08.01
피뢰기  (0) 2022.08.01
지락차단장치  (0) 2022.08.01

天作之合 (천작지합) 하늘이 맺어준 배필

 

千載一遇 (천재일우) 좀처럼 얻기 어려운 좋은 기회

 

寸草春暉 (촌초춘휘) 부모의 은혜는 일만분의 일도 갚기 어려움

 

七寶丹粧 (칠보단장) 여러 가지 보물로 머리나 얼굴, 옷을 아름답게 꾸밈

 

琴瑟之樂 (금슬지락) 부부간의 화목한 즐거움

 

氣味相適 (기미상적) 생각하는 바나 취미가 서로 맞음

 

杞人之憂 (기인지우) 쓸데없는 군걱정, 헛걱정, 무익한 근심을 말함

 

吉祥善事 (길상선사) 더할 나위 없이 기쁘고 매우 좋은 일

 

樂生於憂 (낙생어우) 쾌락은 항상 고생하는 데서 나옴

 

亂我心曲 (난아심곡) 갖가지 일로 마음이 산란함

 

狼多肉少 (낭다육소) 금액은 적은데 분배를 원하는 사람은 많음

 

內疏外親 (내소외친) 마음속으로는 소홀히 하고 겉으로는 친한척함

 

'한줄메모 > 한줄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拈華微笑 (염화미소)  (0) 2022.08.24
老馬之智 (노마지지)  (0) 2022.08.24
知人之鑑 (지인지감)  (0) 2022.08.23
萬年之計 (만년지계)  (0) 2022.08.23
大人君子 (대인군자)  (0) 2022.08.22

輾轉反側 (전전반측)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함

 

切磨箴規 (절마잠규) 열심히 닦고 배워서 사람으로서의 도리를 지켜야 함

 

漸入佳境 (점입가경) 일이 점점 더 재미 있어지는 지경으로 돌아감

 

正心工夫 (정심공부) 마음을 바르게 가다듬어 배워 익히는 데 힘씀

 

措手不及 (조수불급) 일이 매우 급하여 손댈 겨를이 없음

 

縱橫無盡 (종횡무진) 자유자재로 행동하여 거침이 없는 상태

 

仲尼再生 (중니재생) 공자에 버금갈 정도로 현명함

 

知人之鑑 (지인지감) 사람을 잘 알아보는 능력

 

倉卒之間 (창졸지간) 어떻게 할 수 없이 갑작스러운 동안

 

責人則明 (책인즉명) 자기의 잘못을 덮어두고 남만 나무람

 

天經地緯 (천경지위) 영원히 변치 않는 진리나 법칙

 

千辛萬苦 (천신만고) 한없이 수고하고 애를 쓰며 고생함

 

 

'한줄메모 > 한줄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馬之智 (노마지지)  (0) 2022.08.24
內疏外親 (내소외친)  (0) 2022.08.23
萬年之計 (만년지계)  (0) 2022.08.23
大人君子 (대인군자)  (0) 2022.08.22
毋望之福 (무망지복)  (0) 2022.08.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