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그레이더

1. 모터 그레이더 운전원은 자격을 갖추었는가?

2. 운전석 좌석벨트는 설치되어 있는가?

3. 작업 시 유도자를 배치하였는가?

4. 클러치나 브레이크 폐달의 유격 및 브레이크액의 수준은 양호한가?

5. 각종 전기 점등장치(전조등 및 후미등)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

6. 운행 시 작업적합한 제한속도를 준수하는가?

7. 승차석외의 위치에 근로자를 탑승시키지는 않는가?

8. 모터 그레이더 작업 시 작업반경내 타작업자 출입을 제한하고 있는가?

9. 모터 그레이더 점검 및 수리 시 유동방지를 위하여륜막 등 필요한 조치를 하는가?

10. 모터 그레이더의 전락, 지반의 붕괴 등에 의한 근로자의 위험방지를 위해 지형 및 지반상태를 조사하고 기록하는가?

 

 

불도저

1. 불도저 운전원은 자격을 갖추었는가?

2. 운전석 좌석벨트는 설치되어 있는가?

3. 작업 시 유도자를 배치하였는가?

4. 클러치나 브레이크 폐달의 유격 및 브레이크액의 수준은 양호한가?

5. 각종 전기 점등장치(전조등 및 후미등)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

6. 불도저 운행 시 작업적합한 제한속도를 준수하는가?

7. 승차석 외의 위치에 근로자를 탑승시키지는 않는가?

8. 불도저 작업 시 작업반경내 타작업자 출입을 제한하고 있는가?

9. 수리 시 쟁기를 가장 낮은 위치에 두거나, 안전블럭 및 안전지주를 설치하고 수리하는가?

10. 불도저의 전락, 지반의 붕괴 등에 의한 근로자의 위험방지를 위해 지형 및 지반상태를 조사하고 기록하는가?

 

 

스크레이퍼

1. 스크레이퍼 운전원은 자격을 갖추었는가?

2. 운전석 좌석벨트는 설치되어 있는가?

3. 작업 시 유도자를 배치하였는가?

4. 클러치나 브레이크 폐달의 유격 및 브레이크액의 수준은 양호한가?

5. 각종 전기 점등장치(전조등 및 후미등)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

6. 운행 시 작업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준수하는가?

7. 승차석 외의 위치에 근로자를 탑승시키지는 않는가?

8. 작업 시 작업반경내 타작업자 출입을 제한하고 있는가?

9. 점검 및 수리 시 바퀴의 유동방지를 위한 조치를 하는가?

10. 스크레이퍼 전락, 지반의 붕괴 등에 의한 근로자의 위험방지를 위해 지형 및 지반상태를 조사하고 기록하는가?

 

굴삭기

1. 굴삭기 버킷 연결부는 견고히 부착되었는가?

2. 굴삭기 운전원은 자격을 갖추었는가?

3. 수리 시 버킷을 가장 낮은 위치에 두거나, 안전블럭 및 안전지주를 설치하고 수리하는가?

4. 굴착된 토사를 굴착면 상부에 과적재하지는 않는가?

5. 굴삭기 운행 시 작업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준수하는가?

6. 주변구조물 하부를 무리하게 굴착하지는 않는가?

7. 굴삭기 점검 및 수리 시 유동방지를 위한 조치를 하는가?

8. 각종 전기 점등장치(전조등 및 후미등)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

9. 굴착 작업 시 유도자를 배치하였는가?

10. 굴삭기 버킷에 부착된 인양고리는 양호한가?

 

로우더

1. 로우더 운전원은 자격을 갖추었는가?

2. 운전석 좌석벨트는 설치되어 있는가?

3. 암석의 낙하 등에 의한 낙하방지를 위해 견고한 헤드가드가 설치되어있는가?

4. 클러치나 브레이크 폐달의 유격 및 브레이크액의 수준은 양호한가?

5. 각종 전기 점등장치(전조등 및 후미등)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

6. 로우더의 버킷 허용하중을 준수하는가?

7. 승차석 외의 위치에 근로자를 탑승시키지는 않는가?

8. 로우더 작업 시 작업반경내 타작업자 출입을 제한하고 있는가?

9. 수리 시 버킷을 가장 낮은 위치에 두거나, 안전블럭 및 안전지주를 설치하고 수리하는가?

10. 로우더의 전락, 지반의 붕괴 등에 의한 근로자의 위험방지를 위해 지형 및 지반상태를 조사하고 기록하는가?

 

로울러

1. 로울러 운전원은 자격을 갖추었는가?

2. 운전석 좌석벨트는 설치되어 있는가?

3. 작업 시 유도자를 배치하였는가?

4. 클러치나 브레이크 폐달의 유격 및 브레이크액의 수준은 양호한가?

5. 각종 전기 점등장치(전조등 및 후미등)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

6. 로울러 운행 시 작업적합한 제한속도를 준수하는가?

7. 승차석 외의 위치에 근로자를 탑승시키지는 않는가?

8. 로울러 작업 시 작업반경내 타작업자 출입을 제한하고 있는가?

9. 로울러 점검 및 수리 시 유동방지를 위한 조치를 하는가?

10. 로울러의 전락, 지반의 붕괴 등에 의한 근로자의 위험방지를 위해 지형 및 지반상태를 조사하고 기록하는가?

지게차  점검표

구 분 점검내용 점검결과 조치사항
전용통로
확보여부
전용통로 확보 및 운행여부
(지게차운행통로에 근로자출입통제여부)
   
사각지대 반사경 설치상태    
안전장치 설치 및 사용상태 안전벨트 설치 및 착용상태    
전조등 및 후미등 점등상태    
헤드가드 및 백레스트 설치상태    
운전목적외
사용금지
고소작업시 사용금지
(추락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한 경우 예외)
   
화물적재
운행의 안전성
운전자의 시야확보
(화물과다적재 후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포크를 과다상승 시킨 상태로 운행금지)
   
포크에 화물을 매단 상태에서 운행(급선회)금지    
급선회 방지를 위한 핸들 노브(knob)제거(권고사항)    
화물 과다적재 및 편하중 적재 금지    
안전운행을 위한
준수사항
선회장치(턴테이블) 고정볼트는 풀림 등의 이상이 없는가?    
붐 등 주요 구조부의 변형, 손상 및 조립부, 작동부에 이상이 없는가?    
전조ㆍ후미ㆍ안개ㆍ경광등의 기능은 정상 작동하는가?    
운전 중 휴대폰 사용금지    
후진시 협착위험예방대책을 포함한 작업계획서 작성    

 

 

 

 

 

터널용 고소작업차

'안전관리 > 안전수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사현장 안전수칙  (0) 2023.01.28
공사현장 안전수칙  (0) 2022.08.05
유해·위험물안전점검표  (0) 2020.09.10
안전‧품질점검표  (0) 2020.09.10
국가안전대진단 안전 점검표  (0) 2020.09.09

□ 철도안전관리체계 법령체계

구 분 내 용 비 고
철도안전법 ㆍ안전관리체계 승인(제7조), 안전관리체계 유지(제8조)
ㆍ승인의 취소(제9조)
ㆍ과징금(제9조의2)
권한의 위임, 위탁(제77조) (국토교통부➩한국교통안전공단에 위탁)
 
철도안전법
시 행 령
과징금 위반행위의 종류, 부과기준 및 징수방법  
철도안전법
시행규칙
ㆍ승인에 필요한 세부사항
경미한 사항의 변경내용
ㆍ정기, 수시검사에 대한 사항
ㆍ시정조치 명할 수 있는 경우
ㆍ취소, 제한 또는 정기 기준 및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세부사항
 
행정규칙
(국토부 고시)

ㆍ철도안전관리체계 기술기준
철도안전관리체계 승인 검사 시행 지침
- 승인(변경) 및 정기(수시) 검사기준, 절차, 방법
 

 

□ 제도 위반에 대한 제재 기준

○ 안전관리체계 관련 과징금의 부과기준(시행령 제6조 관련)

위반행위 근거
법조문
과징금 금액(단위: 백만원)
1차 위반 2차 위반 3차 위반 4차 위반
법 제7조제3항을 위반하여 변경승인을 받지 않고 안전관리체계를 변경한 경우 법 제9조
제1항제2호
120 240 480 960
법 제7조제3항을 위반하여 변경신고를 하지 않고 안전관리체계를 변경한 경우 법 제9조
제1항제2호
경고 120 240
(3차위반
이상)
-
법 제8조제3항에 따른 시정조치명령을 정당한 사유 없이 이행하지 않은 경우 법 제9조
제1항제4호
240 480 960 1,920

 

□ 제도 위반에 대한 제재 기준

법 제8조제1항을 위반하여 안전관리체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않아 철도운영이나 철도시설의 관리에 중대한 지장을 초래한 경우

위반행위 과징금 금액 근거 법조문
1) 철도사고로 인한 사망자
가) 1명 이상 3명 미만
나) 3명 이상 5명 미만
다) 5명 이상 10명 미만
라) 10명 이상

3억6천

7억2천
14억4천
21억6천
법 제9조
제1항제3호
2) 철도사고로 인한 중상자
가) 5명 이상 10명 미만
나) 10명 이상 30명 미만
다) 30명 이상 50명 미만
라) 50명 이상 100명 미만
마) 100명 이상

1억8천

3억6천
7억2천
14억4천
21억6천
3) 철도사고 또는 운행장애로 인한 재산피해액
가) 5억원 이상 10억원 미만
나) 10억원 이상 20억원 미만
다) 20억원 이상

1억8천

3억6천
7억2천

장비작업 점검

점검항목 점 검 기 준 비고
장비원 교육 1) 장비원(작업자 포함) 교육은 실시했는가  
2) 신호원은 경험있는 자를 배치하였는가  
크레인 1) 크레인 작업시 작업순서를 지키고 있는가  
2) 작업반경내 출입을 금지 시키고 있는가  
3) 정격을 초과한 하중을 걸지 않았나  
4) 크레인 작업시 경사각은 지키고 있는가  
5) 크레인 작업시 근로자를 탑승한채 작업하고 있지 않나  
6) 크레인 작업시 무게균형을 지키고 있는가  
7) 크레인 작업시 위험물은 용기에 담아서 안전하게 이동하고 있는가  
8) 와이어로프와 체인은 적정규격의 걸이용구를 선정하였나  
9) 와이어 로프 마모는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지 않았고 소선은 10% 이상 절단되지 않았나  
10) 폭풍(순간풍속 30m/초) 및 중진이상의 지진에 이탈 방지조치를 하였는가  
11) 와이어로프는 꼬임, 변형, 부식, 이음매 등이 있는 것을 사용하지 않았나  
리프트 1) 권과방지를 위한 방호장치 등 필요한 조치를 했는가  
2) 적재하중을 초과하여 하중을 걸어서 사용하고 있지 않나  
3) 건설용리프트는 순간풍속 35m이상 초과시 사용중지 조치를 했는가  
4) 작업반경내 출입을 금지시키고 있는가  
하역운반 기계 1) 하역운반장비는 제한속도를 초과하지 않았나  
2) 전도의 방지조치를 하였는가  
3) 작업반경내 작업자의 출입을 금지시키고 있는가  
4) 화물은 편하중이 되지 않도록 적재했는가  
5) 화물 낙하방지를 위한 필요한 조치를 했는가  
지게차 1) 지게차는 전조등과 후미등을 부착하였는가  
2) 지게차는 헤드가드를 장착하였는가  
화 물 자동차 1) 화물차의 최대적재량을 초과하여 적재하지 않았는가  
2) 적재함에 작업자를 탑승시키고 있지 않았는가  
건 설기 계 1) 작업계획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가  
2) 건설작업장에서 제한속도(10km 이하)를 준수하고 있는가  
3) 건설기계는 전도의 방지조치를 했는가  
4) 작업장 작업반경내 출입을 금지시키고 있는가  
5) 운전원이 작업장 이탈시 필요한 조치를 취했나  
6) 건설기계는 주용도 외에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가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굴삭기, 로우더, 로울러 체크리스트  (0) 2022.05.06
철도안전관리체계 법령체계  (0) 2022.05.02
지하매설물 점검표  (0) 2022.04.29
강관틀 비계 점검표  (0) 2022.04.29
가시설 점검표  (0) 2022.04.29

지하매설물

점검항목 점 검 기 준 비고
시스템 동바리
(보 형식)
1) 구조검토에 의한 시공상세도에 따라 설치 여부  
2) 동바리 양단의 지지물 고정 등 탈락방지 여부(보와 보사이 수평연결재를 설치 여부)  
3) 보 설치지점의 콘크리트 연직하중 및 보의 하중이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가 여부  
사전조사 1) 지상전선로, 지하가스관, 상. 하수도관, 공동구 등 지하매설물을 사전조사 하였는가  
사전협의 1) 공사착수전 지하매설물 관리자와 시공단계별 안전조치, 매설물 방호, 입회, 비상연락방법, 안전조치실시 등의 사전협의 여부  
2) 작업자에게 안전교육을 실시 유무  
지 하 매설물 1) 지하매설물 또는 가공공작물에 대한 방호 이설계획은 수립여부  
2) 지하매설물 방호는 노변의 진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계획수립 여부  
3) 굴착작업에 선행하여 매설물 보호조치 표시여부  
4) 지하매설물의 밸브 및 맨홀 위치표시여부  
5) 굴착공사 흙막이공 등으로 인한 주변 지반침하 우려 유무  
6) 지하매설물에 근접하여 시공하는 경우 매설물 관리자의 입회하에 작업여부  
7) 매달기 방호시 부재에 균등하게 무게중심이 걸리도록 조치 여부  
8) 지하매설물 위에 적재물의 적치여부  
9) 고정부위(철골, 부재, 용접부, 볼트, 너트 등)의 변형유무  
10) 지하매설물 되메우기 받침방호,되메움토, 다짐방법 적정 시행여부  
11) 지하매설물의 방호상태를 용이하게 점검토록 점검 통로의 확보여부  
12) 지하매설물의 정기점검 수행여부  
13) 지하매설물 명시와 복공 작업용이와 보수 및 사용 편리여부  
14) 지하매설물의 파손시 재해발생에 대한 대책수립여부  
15) 지하매설관로 철거대책의 수립여부  
가설공사 1) 해체 시 훼손될 수 있는 가설전기선에 대해서 절연 방호 조치여부  
2) 자재의 낙하․비산방지 조치여부  
3) 해체작업은 조립의 역순으로 시행여부  
흙막이 공 사 1) 인접시설물에 근접해서 타설한 강널말뚝이나 H형 강말뚝을 인발하지 않고 그대로 놔두는 것을 고려하였는가  
2) 흙막이 해체작업 전 변위상태 확인여부  
3) 인발장비의 주행로 또는 설치장소의 지반 안전성을 확보여부  
콘크리트 공 사 1) 거푸집 해체시 표준시방서 규정대로 존치기간 확보유무  
2) 지주의 바꾸어 대기를 시행하고 있는가  
3) 해체작업 시 구조체에 과중한 충격제한 조치 확보여부  
4) 상․하작업이 동시에 이루어 질 때 상호간에 연락체계를 갖추었는가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도안전관리체계 법령체계  (0) 2022.05.02
장비작업 점검표  (0) 2022.04.29
강관틀 비계 점검표  (0) 2022.04.29
가시설 점검표  (0) 2022.04.29
운행선 인접공사분야 안전점검표  (0) 2022.04.29

강관틀 비계 점검

점검항목 점 검 기 준 비고
강관틀 비계 1) 강관 및 부속철물의 재료와 구조는 양호한가  
2) 밑둥 부분의 활동 및 침하방지 조치여부  
3) 접속부의 상태는 양호한가  
4) 가세 및 벽고정 방법은 양호한가  
5) 띠틀(작업대 받침틀) 설치상태는 양호한가  
6) 최대 적재하중의 표시는 양호한가  
7) 근접한 가공전선의 조치는 양호한가  
달비계 1) 달기 와이어로프와 체인은 안전한가  
2) 달기 와이어로프 및 달기 체인 등의 양단걸이 부분에 이상은 없는가
 
3) 작업대는 양호한가  
4) 요동 및 뒤집어짐 방지장치는 양호한가  
5) 달비계 위의 작업금지 조치는 시행했나  
이동식 비계 1) 비계재료는 양호한가  
2) 최대 적재하중과 작업대는 양호한가  
3) 조립, 해체 및 변경시 조치는 적정한가  
4) 이동방지를 위한 조치는 되어 있는가  
5) 승강설비는 양호한가  
6) 이동식 조치와 하중의 적재 적절한가  
이동식 비계
사다리 작업대
1) 사다리구조는 튼튼하며 수평각은 양호한가  
2) 떨어짐 방지 철물은 양호한가  
3) 작업대의 면적은 작업에 충분한가  
4) 미끄럼과 넘어짐 방지조치는 양호한가  
낙 하 물 방 지 망

1) 망의설치는 적정한가  
2) 낙하물방지망 또는 방호판의 설치는 적절한가  
3) 투하시설의 설치는 양호한가  
4) 위험한 장소에 출입금지조치는 하였는가  
5) 비래물 방호조치는 양호한가  
거 푸 집 지 보 공 1) 조립도 작성되어 있는가  
2) 거푸집 지보공의 구조에 대한 필요한 조치는 양호한가  
3) 조립 및 해체작업시 안전담당자를 지정하여 작업을 지도 감독하는가  
4) 거푸집 지보공의 재료가 변형, 부식 및 손상되지 않았는가  
파 이 프 서 포 트 1) 파이프 서포트를 3본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았는가  
2)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할 때 4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는가  
3) 높이 3.5m를 초과할 경우 수평연결재를 2방향으로 설치하고 수평연결로 변위 방지가 되는가
 
4) 구조ㆍ규격은 양호한가  
강관지주 1) 지주 밑둥에 활동방지는 되어있는가  
2) 지주연결은 볼트, 크램프 등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연결하는가  
3) 곡면 거푸집의 부상방지 조치는 되어 있는가  
4) 높이 2m이내마다 2개 방향의 수평연결재로 고정과 수평연결재의 변위방지조치는 했는가  
5) 높이 4m 이상인 경우 4m 이내마다 수평 연결재를 설치하고 수평변위는 방지되었는가  
시스템동바리
(지주형식)
1) 구조계산에 의한 조립도 작성 여부 확인
- 시공상세도에 따라 정확히 설치 및 검사
 
2) 수평재 및 가새재 설치여부 및 수평하중지지 여부
- 경사진 구조물의 경우 편경사는 6%이내 준수
- 좌굴방지를 위해 설치높이는 단면폭의 3배 이내
 
3) 지반에 설치시 연직하중 및 지지력을 검토하여 강재, 목재 등을 깔판, 깔목 설치 여부 확인
- 지반다짐후 콘크리트 타설 등 상재하중 침하방지 등
 
4) 높이 2m이상의 경우 작업발판설치 및 설치곤란시 추락방지망 설치,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여부
- 높이 4m초과시 4m이내마다 수평연결재 2개의 방향으로 설치 여부 및 변위방지 여부
 
5) 멍에재가 U헤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여부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비작업 점검표  (0) 2022.04.29
지하매설물 점검표  (0) 2022.04.29
가시설 점검표  (0) 2022.04.29
운행선 인접공사분야 안전점검표  (0) 2022.04.29
노반분야 점검표  (0) 2022.04.27

가시설 점검

점검항목 점 검 기 준 비 고
가 설 계 획 1) 가설공사 계획의 적정성  
2) 비계발판  
비 계 발 판 1) 비계용 자재의 규격과 상태  
2) 외부비계와 구조물의 연결상태  
3) 발판의 설치상태  
4) 비계용 브라켓 사용시 고정상태 및 강도  
5) 틀비계의 전도 방지 시설  
낙하물 방 지 1) 낙하물 방지시설 재료의 규격과 상태  
2) 낙하물 방지망의 돌출거리 및 설치각도  
3) 벽면과 비계사이에 낙하방지망 설치상태  
고 소 작 업 1) 작업대 끝, 개구부 등에 대한 안전조치 상태  
2) 안전대 부착상태와 작업자의 안전대 착용유무  
안전망 1) 안전망은 평평하게 설치여부  
2) 안전망의 강도는 적정여부  
3) 안전망의 정기시험은 실시여부  
통 로 1) 안전통로의 설치는 적절한가  
2) 채광 및 조명은 양호한가  
3) 경사로의 구조는 양호한가  
개구부 1) 난간대 설치와 개구부 덮개 설치 적정여부  
2) 개구부 위치표시 조명은 양호한가  
3) 불필요 개구부 및 수직터널의 폐쇄여부  
비 계 의 조립해체 1) 안전담당자의 지정유무  
2) 비계의 구조, 재료는 규격품인가  
3) 조립해체 변경작업시 작업지휘자 선임여부  
4) 작업대는 양호한가  
5) 조립, 해체 및 변경시 조치는 양호한가  
6) 최대적재하중의 표시는 적정한가  
콘크리트 타 설 1) 콘크리트 타설은 계획에 따라 실시유무  
2)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과 거푸집의 지보공을 점검하며 대피조치계획 수립여부
 
3) 콘크리트 타설중에 거푸집 지보공의 점검의 시행유무  
4) 지주의 조정나사의 이완유무 상태  
강관비계 1) 강관 및 부속철물의 재료는 양호한가(강관, 연결철물, 고정철물, 베이스 철물)  
2) 밑둥부분의 활동 및 침하방지는 양호한가  
3) 가세 벽고정, 완목설치는 양호한가  
4) 접속부 및 교차부 상태는 양호한가  
5) 단관비계 구조, 기둥, 띠장위치 양호한가  
6) 띠장틀 또는 수평연결재를 설치유무  
시스템 비 계 1) 구조안전성 검토후 조립도에 따라 설치여부
- 시스템비계 수직재,수평재, 가새의 간격등 확인
 
2) 벽이음은 전용철물로 제조사 기준에 따라 설치
- 기준이 없는경우 수평방향 5m, 수직 5m 이내로 설치
 
3) 작업발판 상부에 자재를 최대하중 이내로 적재여부  
4) 작업발판 상하간 이동 승강설비 설비 여부  
5) 벽이음철물과 마감작업 간섭시 Block out 공법 등 안전한 방법으로 작업여부  
6) 수직재 기둥하부에 침하방지(다짐,콘크리트 등) 조치 여부  
7) 작업발판 단부에는 안전난간대(2단) 설치여부  
8) 작업발판 폭 40cm이상 확보, 2곳이상 고정여부  
9) 고압선이 있는 경우 최소안전거리 3m유지 및 절연방호구를 설치여부  
10) 비계설치ㆍ해체시 작업발판 설치, 안전대착용 등 안전보호구 착용여부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매설물 점검표  (0) 2022.04.29
강관틀 비계 점검표  (0) 2022.04.29
운행선 인접공사분야 안전점검표  (0) 2022.04.29
노반분야 점검표  (0) 2022.04.27
궤도분야 점검표  (0) 2022.04.27

운행선 인접공사분야 안전점검

점검항목 점 검 기 준 비고
공 통사 항 1) 작업책임자 지정 및 현장 배치  
2) 철도운행안전관리자 지정 및 현장 배치(자격증 확인)  
3) 전기안전관리자 지정 및 현장 배치(교육필증 확인)  
4) 열차감시원 지정 및 배치(겸직 금지)
- 단선 운행구간 양 방향 배치 여부
- 원거리 직선 관찰난이 개소의 열차 감시자 추가 배치여부
 
5) 작업자에 대한 안전교육 시행
- 당일 작업내용 및 안전수칙, 교육 시행 여부
 
6) 차단장비 운전원과 안전요원 적정여부
- 작업지휘자, 유도자, 전기안전관리자, 열차감시원 등
- 신호체계 적정 여부
 
7) 매설물(지중 케이블 등) 및 지장 설비 등 사전 확인 유무  
8) 지장건널목 임시관리원 배치 유무  
9) 작업 전 사전점검 시행 유무 및 안전조치 적정성  
10) 보호구 장구 착용상태(안전모, 안전화, 조끼 등)  
11) 야간작업 시 조명설비 설치 유무  
주요 취약개소
선정 및 점검
1) 주요취약개소 선정 및 현장점검 시행 여부  
2) 취약개소 관리카드 작성 및 관리 상태  
계절별
안전관리 대책
1) 운행선 인접공사 계절별 안전관리 대책수립여부
- 비상연락망 구축 적정성
- 응급복구용 자재‧복구장비 및 인력동원 계획 수립 적정성
- 개인별 휴대용 비상연락망 휴대 여부
 
열차운행선 보호
방호물 설치상태
1) 건축한계(선로중심에서 2.1m) 침범 여부  
2) 방호물의 식별 용이성, 설치 견고성 여부  
3) 근로자 보호를 위한 안전설비 설치(추락방지 시설 등)  
공사작업예고
표지설치상태
1) 표지판 설치위치 적정성 여부(작업 현장에서 약 500m ,200m전방)  
2) 기관사의 표지판 식별용이 여부  
3) 단선 운행구간 양 방향 설치 여부  
작업현장공사
알림판(안내판)
설치
1) 표지판규격이 철도시설안전표지류 설치지침에 부합 여부  
2) 표지작성 내용의 적정성 여부
(공사명, 발주기관, 공사기간, 감리사, 시공사, 비상연락처 등)
 
방호조치 및
전차선 근접
안전상태
1) 급전된 전차선로 근접작업 시 절연방호관 설치 유무  
2) 전차선로 1m이내 근접 작업 시 전차선로 단전 후 시행 유무  
3) 이물질 낙하 우려개소 낙하물방지시설 설치  
4) 기타 안전 작업을 위한 제반 안전 확보 조치  
건설장비 1) 건축한계(선로중심에서 2.1m) 침범 여부  
2) 작업지휘자 또는 유도자 배치 유무  
3) 건설장비 사전 점검(정상 기능 확보 유무 등)  
4) 장비 전도사고 예방 대책 구비
- 지반, 이동경로, 인양능력 등의 안전성 검토
- 작업반경 확인(운행선 및 전차선로 지장)
 
위험,유해물관리 1) 보관방법 적정성 여부  
2) 관리의 적정성 여부(관리대장, 점검대장 비치여부)
 
가설시설물
안전상태
1) 토류관, 동바리, 비계, 거푸집 등의 건축 한계 침범 여부  
2) 위 시설물들의 버팀목 상태 및 변형여부  
터파기시공
안전상태
1) 터파기 끝 단면의 건축한계(2.1m) 침범 여부  
2) 터파기시 흙막이 지보공, 방호막 설치 여부  
3) 지하수 용출 과다시 응급조치여부  
4) 침하방지 대책 수립(계측관리, 선로보수 요원 배치 등) 유무  
비탈깍기
시공 안전상태
1) 낙반이나 토사물의 건축한계(2.1m) 침범 우려 여부  
2) 열차운행선 보호를 위해 안전막이나 펜스 등이 설치시 보호물의 견고성여부  
입체교차로
시공안전상태
1) 선로횡단 지하도, 고가로, 고가교 등의 지지보와 기둥의 외관상 균열, 처짐, 변형여부  
2) 선로부근 낙하방지턱 설치여부  
3) [고가교 공사] 운행선로에 물체 낙하방지를 위한 그물망, 펜스 등의 안전망 설치여부
 
공사완료 후
뒷정리
1) 운행선 인근에 폐자재ㆍ폐기물 방치 여부  
2) 비산물품 밀폐보관 여부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관틀 비계 점검표  (0) 2022.04.29
가시설 점검표  (0) 2022.04.29
노반분야 점검표  (0) 2022.04.27
궤도분야 점검표  (0) 2022.04.27
건축분야 점검표  (0) 2022.04.26

노반분야 점검

점검항목 점 검 기 준 비고
일반사항 1) 안전관리계획서 작성 및 이행의 적정 여부  
2) 시공계획서 작성 및 이행의 적정 여부
․ 시공상세도 작성 및 검토
 
3) 안전 및 안전관리비 집행의 적정여부  
4) 건설사업관리업무수행의 적정 여부
건설사업관리업무 수행계획서 작성, 시공계획서, 상세도 검토. 확인
․ 안전관리계획서 검토. 확인
 
5) 공단 지시사항의 적정 이행여부  
6) 구조물검측 및 시공확인의 적정 여부  
안전관리 1) 안전관리계획 이행의 적정 여부  
2) 자체안전점검 및 정기안전점검 실시 여부  
3) 정기안전점검결과 조치사항 이행여부  
4) 주요 가설재에 대한 구조검토 실시 여부  
토공 1) 절, 성토 법면 안정구배(안식각) 확보상태  
2) 절, 성토면 상단부 붕괴방지조치 (다짐, 상재 하중제거 등) 상태
 
3) 산마루 측구, 배수로등 외수유입 방지시설상태  
4) 연약지반 및 성토구간 우천대비 방수쉬트 설치상태  
5) 가설도로 다짐상태 및 안전휀스 설치상태  
6) 비산먼지 방지시설 설치 및 운영상태  
7) 도로 노견 안전난간대 설치등 추락방지시설상태  
8) 굴삭기, 덤프등 건설장비 유도자 배치상태  
9) 현장내 규정속도 제한 표지판 설치상태  
10) 각종 굴착장비의 브레이크, 경음기, 후진경고등 등 안전점검상태  
11) 구조물 설치시 작업발판ㆍ가설통로 설치상태  
12) 구조물 거푸집동바리 설치상태  
13) 도로 근접작업시 안전휀스ㆍ방호판 설치상태  
14) 야간작업시 조명ㆍ윙카ㆍ경광등ㆍ안내표지판 설치상태  
15) 차량 통제요원, 라버콘, PE드럼등 교통통제시설 설치상태  
16) 가설전기 분전함 시건장치 및 NFB 설치상태  
17) 가설전선 피복손상유무 및 도로횡단부분 방호조치 상태  
18) 근로자의 안전모, 야광조끼등 개인보호구 착용상태  
교량 1) 작업장 및 통행로 정리정돈 상태  
2) 위험장소 안전표지류 부착상태  
3) 비계(강관비계, 틀비계)의 설치상태  
4) 비계상 작업발판의 설치 및 추락방지용 난간의 상태  
5) 굴삭기, 크레인 등 각종 건설장비의 유도자, 신호수 배치상태  
6) 발전기 등 임시전기 사용시의 감전방지조치 (누전차단기 부착)  
7) 교류아크용접기의 방호장치(자동전격방지기)부착상태  
8) 가설전선 피복손상유무 및 도로횡단부분 방호조치 상태  
9) 추락방지시설물의 설치상태 (굴착단부난간, 작업대 단부난간 등)  
10) 굴착저면, 고소작업장소(Pier, Coping)등에 대한 승강로 설치 상태  
11) 하부공, 상부공 작업시 작업자 추락방지조치(안전대 착용 등)  
12) 도로 근접작업 시 안전휀스․방호판등 안전시설물 설치상태  
13) 야간작업시 조명․윙카․경광등․안내표지판 설치상태  
14) 콘크리트 타설시 붕괴방지 조치상태(거푸집 및 동바리)  
15) 작업자의 복장 및 개인보호구 착용상태  
터널 1) 지층․지하수․가스유무등 조사․기록관리 상태  
2) 터널입구의 부석․균열등 점검상태  
3) 터널지보공의 변형․부식․파손등 점검상태  
4) 터널내부 조명, 적정온도, 환기, 산소농도상태  
5) 가설전선 피복손상 및 분․배전함, NFB 사용상태  
6) 화약고․취급소․저장소 관리상태  
7) 발파작업시 신호 및 대피방법의 적정상태  
8) 발파후 부석제거등 낙석, 낙반방지 조치상태  
9) 궤도의 경사ㆍ분기점 표지등 탈선방지 조치상태  
10) 대차에 자재적재시 적재량 및 낙하방지 조치상태  
11) 대차의 전조등ㆍ점멸등ㆍ후미등 등 조명상태  
12) 유도자, 신호수등 안전담당자 배치상태  
13) 소화기구, 경보장치, 구급장비, 피난시설 관리상태  
14) 비상시 대비 교육․훈련 실시상태  
15) 방진, 방음, 안전모, 안전화 등 개인보호구 착용상태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시설 점검표  (0) 2022.04.29
운행선 인접공사분야 안전점검표  (0) 2022.04.29
궤도분야 점검표  (0) 2022.04.27
건축분야 점검표  (0) 2022.04.26
전기(통신, 신호)분야 점검표  (0) 2022.04.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