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색 : 두 개의 로프를 이을 때 사용한다.

 

① 바로매기

 

 

 

② 단결색 : 치수가 다른 물건을 로프로 이을 때 사용한다.

 

 

 

③ 이중결색

         단결색과 같은 목적에 사용되나 더 강하다.


 

 

 


④ 꽈매기 : 물에 젖은 로프나 대강을 이을 때 사용한다.


 

 

 

⑤ 염소다리매기 : 임시로 로프를 줄이거나 혹은 약한 부분을 임시로

                  보강할 때 사용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 속   (0) 2008.09.05
결박   (0) 2008.09.05
각종 매기   (0) 2008.09.04
로프의 안전하중표(㎏)   (0) 2008.09.04
데릭을 이용한 작업시의 신호방법  (0) 2008.09.04

 

각종 매기

 

가). 홀쳐매기 : 끝이 풀리지 않게 감는 것

나). 매    듭 : 끝을 매어서 풀어지지 않게 하는 것

 

 

 

① 보통매기

 

 

 

② 팔자매기

 

 

 

③ 뭉쳐매기 : 갈피를 서로 동여 매어서 풀어지지 않게 하는 것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박   (0) 2008.09.05
결색  (0) 2008.09.04
로프의 안전하중표(㎏)   (0) 2008.09.04
데릭을 이용한 작업시의 신호방법  (0) 2008.09.04
표준신호방법   (0) 2008.09.04

 

마닐라 로프의 안전하중표(㎏)

로프의 굵기

단  선

(수 직)

      

인  치

     60°

     45°

     30°

3/8

1/2

5/8

3/4

1

1 1/4

1 1/2

1 5/8

2

9.5

12.7

15.9

19.1

25.4

31.8

38.1

41.3

50.8

108

215

318

410

735

1,100

1,510

1,837

2,530

188

370

560

760

1,270

1,900

2,615

3,175

4,380

154

300

460

620

1,035

1,555

2,130

2,590

3,580

105

215

318

435

735

1,100

1,495

1,837

2,530

 

 

와이어 로프의 안전하중표(㎏)

로프의 굵기

단  선

(수 직)

      

인  치

     60°

     45°

     30°

3/8

1/2

5/8

3/4

7/8

1

1 1/8

1 1/4

1 3/8

1 1/2

9.5

12.7

15.9

19.1

22.2

25.4

28.6

31.8

34.9

38.1

544

907

1,814

2,721

3,628

4,762

5,896

6,804

7,711

9,072

952

1,587

3,129

4,717

6,282

8,255

10,206

11,793

13,335

15,694

771

1,270

2,540

3,855

5,125

7,132

8,346

9,616

10,886

12,836

544

907

1,814

2,728

3,621

4,762

5,896

6,804

7,711

9,072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색  (0) 2008.09.04
각종 매기   (0) 2008.09.04
데릭을 이용한 작업시의 신호방법  (0) 2008.09.04
표준신호방법   (0) 2008.09.04
계 기 작 업   (0) 2008.09.01

 

데릭을 이용한 작업시의 신호방법

운전구분

1. 붐 위로 올리기

2. 붐 아래로 내리기

몸  짓

방  법

팔을 펴 엄지손가락을

위로 향하게 한다.

팔을 펴 엄지손가락을

아래로 향하게 한다.

호  각

짦게    짧게    길게

짧게            짧게

 

운전구분

3. 붐을 올려서 짐을 아래로 내리기

4. 붐은 내리고 짐은 올리기

몸  짓

방  법

엄지손가락을 위로 해서 손바닥을 폈다 오므렸다 한다.

팔을 수평으로 뻗고 엄지손가락을 밑으로 해서 손바닥을 폈다 오므렸다 한다.

호  각

짧게            짧게

짧게            길게

운전구분

5. 붐을 늘리기

6. 붐을 줄이기

몸  짓

방  법

두 주먹을 몸허리에 놓고 두 엄지손가락을 밖으로 향한다.

두 주먹을 몸허리에 놓고 두 엄지손가락을 서로 안으로 마주보게 한다.

호  각

강하고          짧게

길게            짧게

 

 

Magnetic 크레인 사용작업시의 신호방법

운전구분

1. 마그네트 붙이기

2. 마그네트 떼기

몸  짓

방  법

양쪽 손을 몸앞에다 대고 꽉 낀다.

양 손을 몸앞에서 측면으로 벌린다.(손바닥은 지면으로 향하도록 한다.)

호  각

길게            짧게

     길게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종 매기   (0) 2008.09.04
로프의 안전하중표(㎏)   (0) 2008.09.04
표준신호방법   (0) 2008.09.04
계 기 작 업   (0) 2008.09.01
케이블 순시   (0) 2008.09.01

 표준신호방법

 

크레인, 데릭, 리프트 및 화물용 승강기에 있어서의 신호는 다음에 의한다.

1. 운전원은 한 사람만의 신호를 받아야 한다.

2. 책임자로부터 지명된 자만이 신호를 할 수 있고 그 밖에는 아무도 신호를 하여서는 않된다.

3. 신호는 표준신호도를 사용하고 신호도표를 운전대에 붙여두어야 한다.

4. 신호자는 신호를 발신하기 전에 운전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호각, 플래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1) 크레인 등의 손에 의한 공통적인 표준신호방법

* 호각부는 방법

 

 아주 길게

 

 길  게

 

 짧  게

 

강하고 짧게

 

 

 

 

운전구분

1. 운전자 호출

2. 운전방향 지시

몸 짓

호각 등을 사용하여 운전자와 신호자의 주의를 집중시킨다.

방 법

 

집게손가락으로 운전방향을

가리킨다.

호 각

아주 길게         아주 길게

짧게            길게

 

운전구분

3. 주권 사용

4. 보권 사용

몸 짓

방 법

주먹을 머리에 대고 떼었다

붙였다 한다.

팔꿈치에 손바닥을 떼었다

붙였다 한다.

호 각

짧게            길게

짧게            길게

운전구분

5. 위로 올리기

6. 천천히 조금씩 위로 올리기

몸  짓

방  법

집게 손가락을 위로 해서

수평원을 크게 그린다.

한 손을 들어올려 손목을

중심으로 적은 원을 그린다.

호  각

길게            길게

짧게            짧게

운전구분

7. 아래로 내리기

8. 천천히 조금씩 아래로 내리기

몸  짓

방  법

팔을 아래로 뻗고 집게 손가락을 아래로 향해서 수평원을 그린다.

한 손을 지면과 수평하게 들고 손바닥을 지면쪽으로 하여 2, 3회 적게

흔든다.

호  각

길게            길게

짧게            짧게

 

운전구분

9. 수평 이동

10. 물건 걸기

몸  짓

방  법

손바닥을 움직이고자 하는 방향의

정면으로 하여 움직인다.

양쪽 손을 몸 앞에다 대고

두 손을 깍지 낀다.

호  각

강하고          짧게

길게            짧게

운전구분

11. 정  지

12. 비상 정지

몸  짓

방  법

한손을 들어올려 주먹을 쥔다.

양 손을 들어올려 2, 3회 좌우로 흔든다.

호  각

아주 길게

아주 길게           아주 길게

운전구분

13. 작업 완료

14. 뒤집기

몸  짓

방  법

거수경례 또는 양 손을 머리위에

교차시킨다.

양 손을 마주보게 들어서 뒤집으려는 방향으로 2, 3회 절도 있게 역전시킨다.

호  각

아주 길게

길게            짧게

 

운전구분

15. 천천히 이동

16. 기다려라

몸   짓

방  법

방향을 가리키는 손바닥 밑에 집게 손가락을 위로 해서 원을 그린다.

오른쪽으로 왼손을 감싸 2,3회 작게 흔든다.

호  각

짧게            길게

길게

운전구분

17. 신호 불명

18. 기중기의 이상 발생

몸  짓

방  법

운전자는 손바닥을 안으로 하여 얼굴 앞에서 2, 3회 흔든다

운전자는 사이렌을 울리거나 한쪽 손의 주먹을 다른 손의 손바닥으로 2,3회 두드린다.

호  각

짦게            길게

강하고          짧게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프의 안전하중표(㎏)   (0) 2008.09.04
데릭을 이용한 작업시의 신호방법  (0) 2008.09.04
계 기 작 업   (0) 2008.09.01
케이블 순시   (0) 2008.09.01
케이블 포설   (0) 2008.09.01

 계 기 작 업


일반 사항

1. 고소에서 작업하여야 할 경우에는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안정된 자세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며 추락, 또는 전도의 위험에 유의하여야 한다.

2. 작업장소는 충분한 밝기의 조명을 확보한 후 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3. 지하 및  밀폐장소 등에서의 작업은 충분히 환기하여 질식 등의 우려가 없도록 한다.


육안 조사 

1. 계기 설치 작업 전 설치조건(부설장소 및 위치 등)에 적절한지 육안 조사를 한다.

2. 육안 조사 결과 위험요소를 발견하면 작업 전에 전원을 차단해야 하며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가압 상태에서 계기를 설치할 수 있으나 부하전류를 차단하고 안전공구를 착용한다.

3. 안전공구는 안전모, 보안면(보안경), 방염복, 절연고무장갑 등으로 구성한다.

  

계기 설치 및 철거

1. 저압용 계기작업

1). 단상 3선식 계기 작업시 전력선과 중성선을 정확히 확인 후 결선해야 한다.

2). 3상 계기를 설치할 때는 상순을 필히 확인해야 한다.

3). 계기의 설치 및 철거는 가능한 한 정전상태에서 작업하되 부득이 활선 상태에서 작업하여야 할 경우에는 부하 전류를 차단해야 하며 필요한 안전공구를 착용하고 단락 또는 지락이 발생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4). 활선 상태에서 계기 결선 작업 시에는 부하를 차단한 후 부하측을 먼저 연결하고 전원측을 연결하여야 하며 분리 작업에는 전원측을 먼저 분리한 후에 부하측을 분리하여야 하며 계기 단자를 푼 후 전선을 단자에서 단시간 내 한 번에 뽑아낸다.

5). 계기의 신설 또는 인입구 배선 재보수의 경우와 같이 계기의 1차측이 가압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계기의 결선작업을 시행할 경우에는 계기의 1, 2차 결선을 완료한 이후에 인입구 배선을 보수하여 가압토록 한다.

6). 임대상가의 요금 미납으로 단전 시에는 제거된 부하측 전선 노출부분에 각 전선별로 절연처리(비닐 절연테이핑 또는 단말캡 등)를 충분히 하여 이물질 부착이나 상 간 혼촉이 되지 않도록 하고, 상표시를 철저히 하여 재공급시 역상이 되지 않도록 한다.

 

고압용 계기 작업

1).고압 임대상가 전기설비의 작업을 시행하여야 할 경우에는 사전에 해당 임대상가에 사전 안내하여 유지관리 당일 임대상가측 안전관리자가 입회할 수 있도록 사전 조치한 후 필요한 안전공구를 착용하고 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2).정전 작업의 경우에는 작업 전에 단로기의 개방 상태를 확인한 후 검전과  접지를 시행하고 작업에 착수하여야 한다.

3). 정전축전기가 시설되어 있는 임대상가의 변압기 공동 이용설비 점검 작업 시에는 전원차단기를 개방한 후 5분 이상 기다렸다가 방전상태를 검전기로 확인한 후에 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4). 단로기는 부하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조작하여서는 않된다.

5). COS, PF 등을 조작할 경우에는 COS 조작봉을 사용하여야 한다.

6).가압된 전기설비에 근접하여 계기 결선용 전선이나 장비 등을 취급하여야 할 경우에는 활선접근경보기 및 안전공구를 착용하고 충분한 전기안전작업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7).작업 시 변류기 2차 회로는 항상 폐로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하며 2차 회로에 계기 또는 보호장치 등이 연결되기 이전에 개방하여서는 않된다.

8). 전력계통의 중성선은 차단하거나 개로하지 말아야 하며 보수나 위치변경의 경우에도 분리하여서는 않된다.

9). 활선상태에서 검측봉 이외의 막대기나 전선 등을 이용하여 전기시설물의 높이를 측정하거나 길이를 측정하여서는 않된다.

10). 철제로 된 계기함, MOF 외함 및 계기는 전기설비기술기준에 의한 접지를 설치하여 검침, 점검 시 감전의 위험이 없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계기 창고 및 시험실

1. 계기 창고는 항상 정리정돈 되어야 한다.

2. 작동 기계 주위에서 일하는 경우는 복장을 단정히 하고 보안경을 착용한다.

3. 계기 시험을 위하여 계기를 설치, 제거시 전원 공급을 차단해야 한다.

4. 계기 뚜껑을 제거할 때 장갑과 보안경을 착용한다.

5. 취급 및 저장 시 포장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규정 단수 이내로 적재하여야 한다.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릭을 이용한 작업시의 신호방법  (0) 2008.09.04
표준신호방법   (0) 2008.09.04
케이블 순시   (0) 2008.09.01
케이블 포설   (0) 2008.09.01
케이블 접속   (0) 2008.09.01

 케이블 순시

 

맨홀 또는 전력구내 케이블(부속설비 포함)은 주기적인 순시를 하여야 하며 유수 또는 기름걸레나 누설된 연소가스 등이 모여서 대규모의 지하폭발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순시원은 맨홀, 전력구내에서 항상 주의하여야 한다.

 

 케이블의 접지

케이블 및 맨홀 내 기기의 접지는 반드시 하여야 한다.

 

 케이블 상태의 확인

케이블 접속 전 가압 및 접지여부, 절연저항 및 상 측정을 규정된 측정기구에 의하여 확인하여야 하며 확인 후에는 반드시 방전시켜야 한다.

1). 옥내작업이거나 또는 긴급한 경우를 제외하고 우천 시에는 원칙적으로 접속작업은 시행하지 않는다.

2). 케이블 접속작업 시 가압 중인 기설 케이블과는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고 착각을 방지하도록 접속개소에 작업 중 표지를 부착하여야 한다.

3). 케이블 절단 및 접속 작업 시는 다른 케이블이나 접속부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또 이들 케이블에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호판을 설치하고 반드시 사업책임기술자 확인 후에 별도의 작업대 위에서 작업하여야 한다.

 

 케이블의 외력 배제

케이블 시설은 외부로부터 힘을 받아서는 않되며 케이블 위에 앉거나 올라서지 말아야 한다.

 

사용 중인 케이블의 조치

사용 중인 케이블은 고장 등으로 인해 잠시 송전이 중단되었을지라도 시험 또는 방전하기 전에는 활선으로 취급하여야 한다.

 

케이블 시험

1). 케이블 시험 시 가압선로에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조치를 하여야 한다.

2). 케이블 시험(내압시험, 절연저항시험)후 케이블에 충전된 잔류전하를 안전하게 방전시키기 전에는 활선상태로 간주하고 취급하여야 한다.

 

 중성선

계통 중성선을 차단하거나 개로하지 말아야 하며 보수나 위치 변경의 경우에도 분리하여서는 않된다.

 

 초충전

작업 후 처음으로 전압을 인가 시는 케이블이나 기기로부터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해야 하며 전기작업원은 맨홀 밖으로 나와야 한다.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신호방법   (0) 2008.09.04
계 기 작 업   (0) 2008.09.01
케이블 포설   (0) 2008.09.01
케이블 접속   (0) 2008.09.01
지상 기기 설치 및 운용   (0) 2008.09.01

케이블 포설

 

1. 케이블 포설작업 중 전기작업원이 맨홀 내에 들어갈 필요가 있을 때는 작업을 중지한 후 들어가야 한다.

2. 맨홀과 전력구 내 케이블 및 접속개소는 반드시 선로명, 상표시를 하여야 한다.

3. 케이블 포설시 가이드 파이프는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하고 감시인은 안전한 위치에 있어야 한다.

4. 케이블 드럼은 중량물이므로 적당한 장비를 사용하여 운반하여야 하며 감시원을 배치하여야 한다.

5. 드럼용 비계는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하며 포설 중 감시원은 비계의 진동 및 비틀림 등에 특히 유의하여야 한다.

6. 포설 전 맨홀 내부에 설치된 훅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야 하며 포설시 장력계를 부착하여 장력을 감시하여야 한다.

7. 드럼 야적 시에는 무너지거나 굴러가는 일이 없도록 받침대를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8. 맨홀 및 전력구 등에서의 포설시 조명을 충분하게 하여야 한다.

9. 드럼 설치 시 잭의 방향은 케이블 장력방향과 일치시켜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10. 케이블은 지정된 허용장력을 초과하여 포설하여서는 않된다.

11. 케이블은 과도한 속도로 포설하여서는 않되며 반드시 적정 속도를 지켜야 한다.

12. 케이블을 포설하는 경우에는 일반인이나 작업자들이 위험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포설장비를 안전하게 설치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 일반인이나 차량을 우회하도록 하여야 한다.

13. 케이블을 철거 또는 신설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당기는 경우에 맨홀에 작업자가 있어서는 않된다.

14. 보도를 가로 질러서 임시방편으로 놓여있는 케이블은 보행자에게 해를 주지 않기 위해서 적절하게 보호되어야 한다.

15. 충전설비 또는 도체 주위에서 윈치 밧줄로 케이블을 제거하거나 설치할 때에는 고무제품 혹은 적절한 방호물을 사용해서 윈치 밧줄을 격리시키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16. 충전설비 또는 도체 주위에서 케이블을 제거 또는 설치할 때 Pulling 장비는 접지해야 한다.

17. 도로를 횡단하여 케이블을 포설할 경우에는 임시덮개 또는 보호판 등으로 케이블을 보호하여 케이블 손상을 방지하고 작업자와 일반인의 안전을 유지해야 한다.

 

케이블 공사

1). 케이블 포설시 드럼 측과 윈치 측을 서로 연락할 수 있도록 무전기나 전화기를 준비하여야 하고 연락 전담자를 두어야 한다.

2). 케이블 작업 전 기설 케이블이 있으면 미리 방호조치를 하여야 한다.

3). 케이블 절단은 2인 이상이 확인 후 공동으로 시행하여야 하며 절연 가대 위에서 시행토록 한다. 기설 케이블 위에서의 절단작업은 금지하여야 한다.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 기 작 업   (0) 2008.09.01
케이블 순시   (0) 2008.09.01
케이블 접속   (0) 2008.09.01
지상 기기 설치 및 운용   (0) 2008.09.01
굴 착   (0) 2008.09.01

케이블 접속

 

접속일반

1). 케이블 접속 작업 전 다음 조치를 취해야 한다.

가). 케이블 양 단의 개폐기를 개방한다.

나). 정전된 케이블의 각상을 검전한다.

다). 정전된 케이블을 접지한다.

 

2). 케이블 절단은 적정 공구를 사용하고 기설 케이블은 접지 후 절단한다.

3). 작업하는 동안 금속성 시스의 연속성을 유지한다.

4). 충전 케이블은 원형을 변형해서 이동시켜서는 않된다.

5). 작업자는 케이블을 밟아서는 않된다.

 

케이블 접속

1). 케이블 종단접속은 반드시 작업대를 설치하고 그 위에서 작업하여야 한다.

2). 맨홀 및 전력구 내에서 임시전원을 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케이블의 연결부를 닦는 걸레는 깨끗이 하여야 하며 작업자는 걷은 소매를 내리고 반지나 손목시계는 착용하지 말아야 한다.

 

케이블 상확인

1). 케이블 상 확인 작업은 직선접속점 충전부에서 시행하도록 한다.

2). 상 측정시 검전핀과 검전핀 간 또는 검전핀과 대지 간에 섬락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3). 검전 중인 2개의 단말부에만 검전핀을 삽입하여 상확인 작업을 실시하며 나머지 단말부는 절연 캡으로 절연시켜 둔다.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블 순시   (0) 2008.09.01
케이블 포설   (0) 2008.09.01
지상 기기 설치 및 운용   (0) 2008.09.01
굴 착   (0) 2008.09.01
전력구   (0) 2008.09.01

지상 기기 설치 및 운용

 

지상형 기기 설치

지상형 기기의 설치 시는 잠금장치 및 외함 접지를 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한 방호시설을 하여야 한다.

1). 지상 개폐기는 가스 압력 및 붓싱 접속 상태, 접지 상태를 확인한다.

2). 지상 변압기는 절연저항 시험과 유면 위치, 휴즈 정격, 탭 위치, 붓싱 접속 상태를 확인한다.

 

지상 개폐기 조작 및 접지

1). 충전된 1차 회로를 개폐할 때는 안전공구(절연 고무장갑, 안전모, 방염복, 보안면 등)를 착용하고 조작봉을 사용한다.

2). 조립식 접속재의 연결, 분리는 안전공구를 사용한다.

3). 지상개폐기를 접지시킬 때는 해당 선로가 사선임을 확인한 후 시행한다.

 

 지상 변압기 조작 및 접지

1). 변압기의 단말부는 무전압 상태에서 설치 및 분리작업을 하여야 하며 안전보호구를 착용하고 안전공구를 사용하여 조작하여야 한다.

2). 단말 충전부의 검전은 용량성 검전기를 사용하여 검측단자에 접촉시켜 검전한다.

3). 휴즈류의 조작(교체)은 반드시 무전압 상태에서 안전보호구를 착용하고 안전공구를 사용하여 변압기 정면과 45〫° 이상의 측면에 서서 조작하여야 한다.

4). 변압기의 접지는 해당선로가 사선임을 확인하고 단말재를 분리한 후 부싱에 접지용 접속재를 삽입하여 접지시킨다.

 

'안전관리 > 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블 포설   (0) 2008.09.01
케이블 접속   (0) 2008.09.01
굴 착   (0) 2008.09.01
전력구   (0) 2008.09.01
가스 검출   (0) 2008.09.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