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전선로의 구성

 

(1) 배전선로는 안정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경우에는 다중 회선으로 시설하여야 하며, 다중 회선의 가설 루트는 분리함을 원칙으로 한다.
① 단선 구간 : 1회선(필요시 2회선)
② 복선 전철구간 : 2회선
③ 지하구간 및 2복선 이상 구간 : 3회선

 

(2) 2회선으로 시설할 경우 가공선로 1회선, 지중선로 1회선을 시설함을 원칙으로 하되,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① 터널 및 교량구간이 60[%] 이상일 때에는 지중선로 2회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② 터널 및 교량구간이 60[%] 이상일 경우라도 토공구간 또는 100[m] 이내의 교량(함, 박스 등 포함)을 포함하는 토공구간이 연속 1[km] 이상인 예비선로는 가공으로 설치할 수 있다.
③ 최고운행속도 300[km/h] 이상구간, 역구내, 터널, 교량구간은 케이블로 시설함을 원칙으로 한다.
④ 배전선이 2회선 이상인 경우는 선로의 가선위치를 분리하여 시설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지중선로인 경우 현장 여건상 분리 시설이 곤란할 때에는 동일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⑤ 전철운행구간의 가공 배전선로는 원칙적으로 전차선로의 지지물과 공통한다.
⑥ 2회선 구간의 배전선 부하는 가급적 균등부하가 되도록 분포 시킨다.
⑦ 배전선로를 케이블로 시설하는 경우에는 정전전류를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하며, 전선관, 공동관로, 공동구를 사용하여 케이블을 보호하며 케이블의 접속, 분기점, 선로횡단개소에는 핸드홀을 설치하고 철도 또는 도로를 횡단하는 개소에는 예비관로를 시설하여야 한다.

 

 

2. 가공 배전선로와 지중 배전선로의 비교

구 분 지중 배전선로 가공 배전선로
회선 공급능력 다회선 공급가능 4회선 이상 불가능
외부영향 기상 여건등의 영향이 거의 없음 전력선 접촉이나 기상조건에 의한 정전빈도 높음
유지보수 설비의 단순고도화로 보수업무가 비교적 적음 설비의 지상노출로 보수업무 많은 편임
환경미화 쾌적한 도심환경 조성 도심환경 저해요인
건 설 비 건설비용 고가 건설비용 저렴
건설기간 장기간 소요 단기간 소요
고장복구 고장점 발견이 어렵고 복구가 어려움 고장점 발견과 복구용이
송전용량 발생열의 구조적 냉각장해로 전선의 능력에 비해 낮음 발생열의 냉각이 수월해 송전용량이 높은 편임
고장형태 외상사고, 접속개소 시공불량에 의한 영구사고 발생 수목접촉 등 순간 및 영구사고 발생
충전전류 제한 경부하시, 선로길이가 30[km] 이상 시 문제됨 문제없음
검토내용 배전선로의 2중화를 위해서 예비선로를 고려하면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할 수 있는 지중선로 1회선과, 사고 시 고장복구가 빠른 가공선로 1회선으로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배전용량 산정
(1) 공급구간의 부하설비용량에 대하여는 사용 상태에 따라 수용률, 부하율, 부하증가율, 부등률 등을 고려하여 그 최대부하에 따른 적정용량을 선정하고 그 기본값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역사실정과 부하특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 시 조정할 수 있다.

 

구분 수용[%] 부등률 비고
부하용변압기 전등전열용 50 -  
동력용 50 - 정격전류 적용
수전용변압기 40~60 1.2~1.4  

* 단, 부등률은 2단 이상 강압방식에만 적용


(2) 비상시 연장급전을 위하여 인접구간의 부하량을 고려하여 용량을 산정한다.
(3) 연장급전 시 전력공급의 우선순위에 따른 계통운영방안을 제시하여 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4. 배전선로의 전압

 

(1) 배전선로의 배전방식과 공칭전압 및 회로 최고전압

구분 표준 공칭
전압[V]
배전방식별 전압[V] 회로 최고전압[V]
단상 2선식 3상 3선식 3상 4선식
저압 220
380
440
220
-
-
220
-
440
220/380/440  
고압 3,300
6,600
6,600 6,600   7,200
특별고압 22,900 13,200 22,000 22,900 25,800

 

(2) 고압 및 특별고압선로의 전압강하율은 공칭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10[%] 이내이어야 한다.
(3) 저압배선의 전압강하는

① 최대 사용전류에 있어서 간선(인입선접속점으로부터 인입구까지의 부분 포함) 및 분기회로 - 2 이하

② 전기사용장소 내에 설치하는 변압기로부터 최원단부하까지

 (변압기의 2차측단자로부터 주배전반까지의 부분 포함) - 5 이하

(4) 인입선접속점 또는 전기사용장소 내에 시설하는 변압기로부터 최원단부하에 이르는 전선의 긍장이 60[m]를 초과하는 경우의 전압강하는

인입선접속점 또는 전기사용장소 내에 시설하는 변압기로부터 최원단부하에
이르는 사이의 전선 긍장[m]
표준전압에 대한 전압강하[%]
전기사용장소 내에 시설하는 변압기에서 공급하는 경우 저압으로 공급하는 경우
120 이하
200 이하
200 초과
5 이하
6 이하
7 이하
4 이하
5 이하
6 이하

(5) 시설 및 운영자산의 구분에 따라 전기회로를 분리하여 별도 전력사용량 검침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5. 배전계통의 구성

 

① 특별고압 배전계통은 1, 2호계 각 필요개소에 전원을 공급하며 기지설비를 제외하고 22.9[kV], 2회선 동등(Dual)급전을 원칙으로 한다.
② 기존 6.6[kV] 배전계통 개량 시 1, 2호계 각 필요개소에 전원을 공급하며 기지설비를 제외하고 3상 3선식 2회선 동등(Dual) 급전을 원칙으로 한다.
③ 저압 배전계통은 단상 2선식 220[V] 2회선과 3상 4선식 380/220[V] 2회선 이상으로 구성한다. 또한 차량기지에는 3상 3선식 440[V] 전원을 구비하여야 한다.
④ 전철변전소, 급전구분소, 보조급전구분소, 차량기지, 신호장, 수전실 및 역사 전기실 등의 사고 발생 시 연장급전이 가능하게 구성하여야 한다.
⑤ 특별고압 및 고압 배전선의 부하는 균등부하가 되도록 분포하게 하고, 평상시 부하에 인접한 수전실에서 전원을 우선 공급할 수 있도록 저압부분 절체상세도를 작성하여야 한다.
⑥ 배전선로의 동등(Dual) 급전에 따른 부하분담 결선도를 작성하여야 한다.
⑦ 신호 및 통신기계실용 변압기 2차측에 신호/통신용 차단기를 추가 설치하여 신호 및 통신기계실 분전반의 전원 이중화를 구성하여야 한다.

⑧ 고속선 운행선 상의 선로변 작업(관로 및 케이블 포설 등)은 철도공사의 야간차단 작업 승인 후 시공이 가능하므로 야간할증을 반영하여 설계서를 작성하여야 하며, 운행선상의 모든 작업공정을 세분화하여 열차빈도별 할증 및 야간할증 기준을 수립하여 감독의 승인을 득한 후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출처-국가철도공단 KRE-04010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상용 콘덴서 설비  (0) 2022.08.01
과전류차단기  (0) 2022.08.01
토목관련 전기설비  (0) 2022.07.28
전차선로 안전설비  (0) 2022.07.26
전기방식과 급전방식  (0) 2022.07.21

1. 토목관련 전기설비의 필요성


(1) 토목분야와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토목분야 시공 시 선 시공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분야(전철전력, 신호, 통신) 시설물을 토목공사에 반영 시공함으로서 최적의 시공품질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2) 규격 등의 자세한 내용은 토목 관련 전기설비 표준도를 활용한다.

 


2. 토목관련전기설비의 종류

 

(1)  토 공

ㆍ전선관로
ㆍ핸드홀
ㆍ접지설비
ㆍ횡단전선관로
ㆍ전기 및 신호, 통신 기능실 부지

(2) 교 량(고 가)

ㆍ전선관로
ㆍ전철주 기초
ㆍ구조체 접지(교각기초, 상판)
ㆍINSERT SLEEVE
ㆍ전기 및 신호, 통신 기능실 부지(교량하부)

(3) 터 널

ㆍ공동구(전선관로)
ㆍC-찬넬(전차선 지지용)
ㆍ구조체 접지
ㆍBLOCK OUT COVER 및 횡단전선관
ㆍ전기 및 신호, 통신 기능실 부지

 

 

3. 토목관련 전기설비 설치기준

 

(1) 전선관로(공동관로, 전선관)  

구분 고속철도 일반철도
토공구간 ⦁상, 하선 양측에 4칸 개거식 콘크리트 공동관로 설치 ⦁깍기구간일 경우 상, 하선 양측에 3칸 개거식 콘크리트 공동관로 설치
⦁돋기구간일 경우 상, 하선 양측에 매입 전선관 설치
교량구간 ⦁상, 하선 양측에 콘크리트 공동관로 설치 ⦁상, 하선 양측 공동관로 설치
터널구간 ⦁상, 하선 양측 공동관로 설치 ⦁상, 하선 양측  공동관로 설치

 

(2) 횡단전선관

고속철도 일반철도
⦁상하선 양측을 매 150~250[m] 간격으로 횡단전선관 설치
⦁터널 및 교량 시, 종점부에 횡단전선관 설치 ⦁역구내, 전기실 및 배전소 등의 시스템분야 기능실 앞에 횡단전선관 설치
⦁터널 및 교량 시, 종점부에 횡단전선관 설치
⦁역구내, 전기실 및 배전소 등의 시스템분야 기능실 앞에 횡단전선관 설치
⦁보호선 연결 개소 : 1~1.2[km]마다 횡단

 

(3) 핸드홀

고속철도 일반철도
⦁역구내, 전기실 및 배전소 등 시스템분야 기능실 인출부 핸드홀 설치
⦁터널 및 교량 시․종점부 상하선 양 측에 핸드홀 설치
⦁토공구간 상하선 양측에 매 150~250[m] 간격으로 핸드홀 설치
⦁역구내, 전기실 및 배전소 등 시스템분야 기능실 인출부 핸드홀 설치
⦁터널 및 교량 시․종점부 상하선 양측에 핸드홀 설치

① 일반철도 핸드홀 종류 및 용도

② 고속철도 핸드홀 종류 및 용도

(4) 접지설비

① 토공구간 접지설비 설치기준

구 분 일반철도 고속철도
매설 접지선(CU 35㎟) ․상선 1회선 매설 ․상선 1회선 매설
절연 접지선(F-GV 70㎟)   ․상,하선 공동 관로내 2회선 포설
접지단자함 ․250m 간격으로 설치  
본딩선   ․ 250[m]
접속선   ․ 필요개소에서 분기

 

② 터널구간 접지설비 설치기준

구 분 일반철도 고속철도
매설 접지선 (CU 35㎟) ․상, 하선 2회선 매설 ․상, 하선 2회선 매설
절연 접지선 (F-GV 70㎟)   ․상,하선 공동 관로내 2회선 포설
접지단자함 ․250m 간격으로 설치  
본딩선   ․ 250[m]
접속선   ․필요개소에서 분기
구조물 접지

․접지용 평철 설치 200㎟이상 ․접지용 평철 설치 200㎟이상

 

③ 교량구간 접지설비 설치기준

구 분 일반철도 고속철도
절연 접지선 (F-GV 70㎟) ․상,하선 공동 관로내 2회선 포설 ․상,하선 공동 관로내 2회선 포설
접속선 ․필요개소에서 분기 ․필요개소에서 분기
구조물 접지 ․매 교각 마다 시설
․교량 신축이음장치 개소 접지
․매 교각 마다 시설
․교량 신축이음장치 개소 접지

 

(5) 매설접지의 배관, 전선의 규격 및 설계/시공 주체

구 분 규격[㎟, ㎜] 설계주체 시공주체
일반 고속 일반 고속 일반 고속
토공 매설접지선
(연동연선)
역간 CU 35 CU 35 전력 전력 토목 토목
역구내 CU 35 CU 35 전력 전력 전력 토목
접지인출선(절연접지선) F-GV 70 F-GV 70 전력 전력 토목 토목
공동관로내 절연접지선 F-GV 70 F-GV 70 - 전력 - 전력
임피던스 본드 F-GV 70 F-GV 70 신호 신호 신호 신호
횡단접속
(CPW,NW)
배 관 PP 50 HIPVC 36 전차선 전차선 토목 토목
배 선 F-GV 70 F-GV 70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횡단접속
(ICL)
배관 HIPVC 36 HIPVC 36 - 신호 - 토목
배선 F-GV 70 F-GV 70 - 신호 - 신호
단자함,보호선간 접지 F-GV 70 F-GV 70 - 전차선 - 전차선
접지단자함     전차선 - 전차선 -
역구내 매설접지선(연동연선) CU 35 CU 35 전력 전력 토목 토목
공동관로내 절연접지선 F-GV 70 F-GV 70 - 전력 - 전력
접지인출선(절연접지선) F-GV 70 F-GV 70 전력 전력 토목 토목
접지단자함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교량 교각접지 및 접지동관단자     토목 토목 토목 토목
공동관로내 절연접지선 F-GV 70 F-GV 70 전력 전력 전력 전력
임피던스 본드 F-GV 70 F-GV 70 신호 신호 신호 신호
횡단접속
(CPW,NW)
배 관 HIPVC 36 HIPVC 36 전차선 전차선 토목 토목
배 선 F-GV 70 F-GV 70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횡단접속
(ICL)
배 관 HIPVC 36 HIPVC 36 - 신호 - 토목
배 선 F-GV 70 F-GV 70 - 신호 - 신호
단자함, 보호선간 접지 F-GV 70 F-GV 70 - 전차선 - 전차선
터널 구조체접지,접지동관단자     - 토목 - 토목
매설접지선(연동연선) CU 35 CU 35 전력 전력 토목 토목
접지인출선(절연접지선) F-GV 70 F-GV 70 전력 전력 토목 토목
공동관로내 절연접지선 F-GV 70 F-GV 70 - 전력 - 전력
임피던스 본드 F-GV 70 F-GV 70 신호 신호 신호 신호
횡단접속
(CPW,NW)
배 관 HIPVC 36 HIPVC 36 전차선 전차선 토목 토목
배 선 F-GV 70 F-GV 70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전차선
횡단접속
(ICL)
배 관 HIPVC 36 HIPVC 36 - 신호 - 토목
배 선 F-GV 70 F-GV 70 - 신호 - 신호
단자함, 보호선간 접지 F-GV 70 F-GV 70 - 전차선 - 전차선
접지단자함     전차선 - 전차선 -

 

(6) 전기 및 신호, 통신 기능실 설치기준

① 변전소

⦁약 10[km] 간격으로 설치

② 터널배전소

⦁터널 전원공급용 배전소
- 2[km] 이하 : 터널의 시점 또는 종점부에 1개소 설치
- 2[km] ~ 4[km] 이하 : 터널의 시점, 종점부에 1개소씩 설치
- 4km 이상 : 터널의 시점, 종점부 및 내부에 1개소씩 설치

③ 신호, 통신용 설비 기초

⦁신호기계실 설치 개소 

⦁터널 연선전화 500[m] 간격 설치 

⦁무선중계증폭기(시뮬레이션) 설치 위치마다 1개소 설치

 

(7) 터널내 C-Channel 설치기준

① 일반개소 - 터널 시․종점부에서 5m 위치에 설치하고 40~50m 간격으로 설치

② 평행개소 - 터널 내 매 700m 간격으로 2~4 개소 설치

 

(8) 교량 전철주 기초 설치

 

출처-국가철도공단 KRE-04010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전류차단기  (0) 2022.08.01
배전선로의 구성  (0) 2022.07.28
전차선로 안전설비  (0) 2022.07.26
전기방식과 급전방식  (0) 2022.07.21
전철전원설비 용어  (0) 2022.07.04

1. 접지설계


(1) 전차선의 지락과 같은 사고 시에도 레일 전위의 상승을 억제하여 사람 등을 보호하고, 낙뢰에 의한 피해 및 유도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접지설비를 하여야 하며, 모든 접지는 서로 연결되는 공용 접지방식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상세 접지 방법은 규정에 따른다. 다만 선로변에서 원거리 금속체는 개별 접지를 할 수 있다.

 


2. 안전설비의 반영


(1) 화물홈․도로변 등 차량 및 통행인에 의하여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는 지지물은 철책․콘크리트벽 등으로 방호설비를 하여야 한다.
(2) 전차선로가 가설되는 건널목에 시설하는 빔 또는 스팬선 시설은 전차선로와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여야 하며, 구조물이 철제인 경우에는 접지를 하고 사람 등이 감전되지 아니하도록 위험방지 시설을 설계에 포함하여야 한다.
(3) 가공 전차선로가 지나가는 과선교나 고상 승강장 또는 교량에는 다음 각 호의 안전시설을 반영하여야 한다.
① 전차선로의 가압 부분과 과선교 등과의 이격거리는 300[mm] 이상으로 하고, 조가선이나 급전선은 피복 전선으로 하거

나 절연 방호관을 적용하여야 한다.
② 안전벽 혹은 보호망(책)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과선도로교의 경우에는 강성방호울타리를 설치하고, 3[m] 이상

높이의 안전막을 시설하여야 한다.
③ 교량의 난간, 거더 등의 금속부분은 접지하여야 한다.
(4) 안전상 필요한 장소에는 부착할 시설물에 적합한 전기위험표지를 설치하며 다음 각호와 같이 설계 하여야 한다.
① 전철주에 설치하는 표지는 전주번호표와 같은 방향으로 역간에는 5경간마다, 역구내는 모든 전철주에 설치한다.
② 과선교 및 터널 등 보호망에는 합성전차선 직상부에 각각 선로(線路)의 수량과 같은 갯수의 표지를 설치한다.
③ 역구내 선로변 및 도로에 인접한 개소 울타리에는 100m 간격으로 설치하고, 역간의 울타리는 출입문에 설치한다.
(5) 강심알루미늄연선 지지점에는 바람 등으로 인한 전선의 소손방지용 아마테이프 등을 시공하여야 한다.

 


3. 직류유류저지장치


직류 운전구간의 전류가 궤도회로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곳에는 직류유류저지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4. 터널입구 이물질 접촉방지설비


터널입구 수목 등 이물질 접촉으로 전차선 장애발생이 예상되는 장소에는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요인을 제거하거나 적합한 차단설비를 하여야 한다.

 


5. 조류서식방지설비


(1) 조류 서식에 의한 접촉으로 전차선 장애발생이 예상되는 개소에는 조류서식방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① 고정빔에 설치되는 조류서식방지설비는 내후성, 내열성,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써, 빔의 내부를 감싸는

밀폐형 망구조 형태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파이프로 설치한다.
- 밀폐형 망구조 형태로 설치할 경우 가압부분 직상부에 설치하고, 직상부에서 좌우 수평으로 1[m]부분까지 설치한다.
- 스테인리스 파이프 형태로 설치할 경우 빔의 전체에 설치하도록 한다.
② 전압센서, 개폐기(단로기 등), 평행완금 개소에는 텐트형 조류서식방지 설비를 설치한다
③ 전철변전소 등(SS, SP, SSP, PP)의 인출개소 고정빔을 포함한다.

 


6. 철새의 보호 설비


(1) 철새와 전기설비 충돌로 인하여 조류의 상해 및 전기설비의 장애 발생이 예상되는 구간의 송전선로, 배전선로, 전차선로(급전선, 조가선)에는 다음사항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① 송전선로 및 배전선로는 철새보호지구를 통과를 최소화하도록 계획하고, 부득히 설치하는 경우에는 송전선로는 가공

또는 지중화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야 하며, 배전선로는 지중화를 원칙으로 한다.
② 가공 배전선로, 급전선에는 절연방호관 또는 표식 등을 급전선이 없는 구간의 조가선에는 현수형 표식(전기위험표지

등)를 10m 간격으로 설치한다.
③ 절연방호관 또는 표식, 현수형표지 등으로 인한 수직하중, 수평하중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2) 철새 관련자료 및 기관을 조사하여 철새보호지구를 설계하여야 한다.

 


7. 철재의 방청


전차선로에 사용하는 모든 철재 지지물(철주․빔․문형완철 등)과 철재 금구류 등을 신설할 때에는 특별히 지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용융아연도금 또는 용융알루미늄도금을 시행하여야 한다. 다만, 기존 철재 지지물을 도장할 경우는 2회 도장을 시행한다.

 

 

8. 지장수목 제거


(1) 전차선 등과 식물과의 이격거리는 5[m] 이상으로 한다.
(2) 전차선 등과 식물과의 이격거리를 5[m] 이상 확보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현장여건을 감안하여 방음벽 설치, 대체수목 식재 등의 안전조치를 하여야 한다.

 


9. 터널안의 재난설비


(1) 터널에는 필요에 따라 환기, 조명, 재난 및 재해 등에 대비한 설비를 하여야 하며, 철도시설 안전세부기준에 의한다.
(2) 터널에 비치하는 전차선로용 접지걸이는 철도시설의 기술기준에 따라 설치하되 적합한 내부식성 함에 수용하여야 하며, 보수자나 구급요원이 진출하는 수직구(비상출입구)가 설치되는 터널의 경우 수직구 또는 출입구의 적합한 개소에 비치한다. 또한 전동차 전용선로인 지하철 구간은 구간은 승강장에서 터널로 진입하는 입구(좌, 우)에 비치한다.

 

 

출처-국가철도공단 KRE-03280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전선로의 구성  (0) 2022.07.28
토목관련 전기설비  (0) 2022.07.28
전기방식과 급전방식  (0) 2022.07.21
전철전원설비 용어  (0) 2022.07.04
원격제어설비 용어  (0) 2022.07.04

전기철도의 급전방식은 단권변압기방식(급전선과 레일사이 및 전차선과 레일사이는 25[kV], 전차선과 급전선 사이는 50[kV]가 급전되는 시스템, 이하 “AT방식”이라 한다)으로 한다.

 

1. AT급전방식
단권변압기(Auto-Transformer) 급전방식에서는 급전선과 전차선과의 사이에 단권변 압기를 병렬로 삽입하고 중성점은 레일 및 비절연보호선(FPW)에 접속되어 전기차의 부하전류의 귀선회로를 구성한다. 또 통신유도장해를 보다 경감하기 위하여 AT-AT의 중간에서 보호선용접속선(CPW)에 의하여 비절연보호선과 레일을 접속하고 있다.
단권변압기는 전자적인 밀결합으로 설계된 변압기로 약 10㎞간격으로 배치한다. 권선의 중앙을 레일에 접속하고 양단자의 어느 한편과 레일과의 사이의 전압을 전기운전에 적합한 전압(25kV)으로 선정하여 전차선에 급전하고 다른 한 단을 급전선에 접속한다.

 

2. BT급전방식
흡상변압기(Booster Transformer) 급전방식은 전차선과 부급전선을 시설하고 약 4㎞마다 흡상변압기를 직렬로 시설하여 레일에 흐르는 귀선전류를 부급전선에 흡상시켜 전차선 전류에 의한 통신선의 유도장해를 감소시켜주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흡상변압기는 교류전차선과 직렬로 설치되며 유도작용을 경감하기 위하여 대지로 흐르는 전류를 경감시키고 이것을 부급전선에 총체적으로 흡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전류를 흡상하므로 흡상변압기라 부른다. 흡상변압기는 권선비 1:1의 변압기로서 그 1차측을 전차선에 접속하며 2차측은 부급전선 또는 레일에 접속한다.

 

3. 급전방식의 비교

1) 상 하선 분리방식(SSP급전)
상선과 하선을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급전하고 비상시에 구분소(SP)에서 상선과 하선을 Tie로 연결한다.

• 선로 임피던스가 크다
• 전압강하가 크다.(PP기준 최소95%, Tie기준 최소 94.9%)
(상선과 하선에 각각 동일한 부하가 있을 경우 모든 급전방식이 동일)
• 상대적으로 고조파 공진차수가 높고 확대율이 크다
• 회생전력 이용률이 낮다.
• 급전구분소(SP)의 단권변압기 대수가 많다.(4대)
• 급전구분소(SP)에 GIS 설비가 적다(GIS 4-Bay)
• SSP 개소에 상 하선 Tie 차단설비가 필요 없다.
• 계통보호에 용이(고장위치 파악 용이)
• 역간이 짧고 저속운행구간에 적합하다.
(장애 및 일부구간 정전작업시 정전구간 및 열차운행지장 최소화)

 

2) 상 하선 Tie연결방식(Tie급전)
급전시스템 구성은 SSP 급전방식과 동일하나, 급전구분소(SP)에서 상선과 하선을 상시 Tie 로 연결하여 운용한다.

• 선로 임피던스가 작다.(SSP기준 80%[선로 중간], 50%[선로 말단])
• 전압강하가 작다.(PP기준 최소 98.995%)
• 상대적으로 고조파 공진주파수가 낮고 확대율이 작다
• 회생전력 이용율이 비교적 높다.
• 급전구분소(SP)의 단권변압기 대수가 많다.(4대)
• 급전구분소(SP)에 GIS 설비가 적다(GIS 4-Bay)
• SSP 개소에 상 하선 Tie 차단설비가 필요 없다.
• 계통보호에 용이(고장위치 파악이 용이)
• 역간이 짧고 저속운행구간에 적합하다.
(장애 및 일부구간 정전작업시 정전구간 및 열차운행지장 최소화)

 

3) 상 하선 연결방식(PP급전)
상선과 하선을 각 SSP 개소 및 SP 개소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선로장애 발생시 상 하선을 구분하여 건전선로만 운용한다.

• 선로 임피던스가 가장 작다.(SSP기준 65%[선로중간], 50%[선로 말단])
• 전압강하가 작다.( VSSP≪VTie≤VPP )
• 상대적으로 고조파 공진주파수가 낮고 확대율이 작다
• 회생전력 이용율이 높다.
• 급전구분소(SP)의 단권변압기 대수를 줄일 수 있다.(2대)
• 급전구분소(SP)의 GIS설비가 많다.(GIS 5-Bay)
• PP에 상 하선 Tie 차단설비가 필요하다.
• 역간이 길고 고속운행구간에 적합하다.
(장애 및 정전 작업시 변전소 급전구간 모두 정전필요)

 

4) 선로임피던스

급전방식 선로중간(15㎞지점) 선로말단(30㎞지점)
임피던스 비율 임피던스 비율
SSP 5.9914+j13.3529 100% 9.6493+j22.3685 100%
Tie 4.8197+j10.6732i 80% 4.8447+j11.1842 50.03%
PP 3.9973+j 8.6446i 65% 4.8447+j11.1842 50.03%

 

5) 집전전압

  최대 집전전압 차(V) 비율(%)
SSP -3,740 85.07
PP 325 101.29

※ Tie 급전방식 100% 기준

 

 

4. 급전방식별 비교 검토

평가항목 Tie급전 PP방식 비고
특징 - 방면별 상하선 분리
  급전
- SP, SS에서 상하연결
- 일반철도에 적용
- SSP에 상, 하선 Tie
  차단설비 필요 없음
- 구분소의 단권변압기
  대수 많음(4대)
- 방면별 상하선 병렬
  급전
- 고속철도에 적용
- PP에 상하선 Tie
  차단설비 필요
- 구분소 단권변압기
  대수 감소(2대)
 
전기적 측면 임피던스 크다 작다 약 2Ω차이
전압강하 크다 작다 약400[V]
단락전류 작다 크다 약2,000A
사고구분 SS, SP, SSP에서 구분 SS, SP 건넘선에서 
구분
 
집전전압 다소 불리 다소 유리  
급전부하 다소 불리 다소 유리  
경제적 측면 설비구성 다소 복잡 다소 간단  
건넘선 불필요 필요  
동력단로기 불필요 필요  
건물면적 다소 크다 작다  
운영자 측면 유지보수         다소 용이
- 구조 단순
- 장애 및 일부구간 정
  전작업시 정전구간
  및 열차운행지장
  최소화
        다소 곤란
- 별도의 보호방식이
  필요
 
사고대처 다소 용이 다소 곤란  
고장점표정 다소 용이 다소 미흡  
선로보안성 다소 미흡 용이  
호환성측면 연계성 용이 개선 필요 기존선
고속화시
시스템운용성   - 계통보호 용이
- 기존선 구간 표준방식
- 역간이 짧고 저속운행
  구간에 적합
- 장애 및 정전 작업시
  변전소 급전구간 모두
  정전필요
- 역간이 길고 고속운행
  에 적합
- 고속철도 급전시스템
  과 동일 (고속철도만
  운행시 동일 시스템으
  로 최적)
 

 

출처-국가철도공단 KRE-01050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목관련 전기설비  (0) 2022.07.28
전차선로 안전설비  (0) 2022.07.26
전철전원설비 용어  (0) 2022.07.04
원격제어설비 용어  (0) 2022.07.04
전차선설비 용어  (0) 2022.07.04

전철전원설비 용어

 

(1) 가스절연개폐장치(GIS) :

SF6 가스를 절연체로 하여 모선 개폐장치, 계기용 변성기, 변류기, 피뢰기 등을 내장한 금속압력기기로 된 회로군

(2) 급전구간 :

차단장치에 의하여 전력공급구간을 구분할 수 있는 급전회로의 1구간

(3) 급전구분소(Sectioning Post) :

전철변전소간 전기를 구분 또는 연장급전을 하기 위하여 개폐장치, 단권변압기 등을 설치한 장소

 

(4) 급전점 :

전철변전소의 전력을 급전회로에 공급하는 점

(5) 급전회로 :

전기철도에 있어서 급전선, 합성전차선, 귀선(부급전선, 보호선, 레일) 등으로 구성되는 전기회로

(6) 단권변압기 :

교류전차선로에서 전압강하 및 유도장해 등을 경감시킬목적으로 전차선로에 설치하는 변압기

 

(7) 단말보조급전구분소(Auto Transformer Post) :

전차선로의 말단에 가공전차선의 전압강하 보상과 유도장해의 경감을 위하여 단권변압기를 설치한 장소

(8) 병)렬급전 :

1급 전 구간에 2이상의 급전점을 가진급전방식

(9) 병)렬급전소(Parallel Post) :

전압강하의 보상 및 유도장해 경감을 목적으로 전차선로의 상, 하선을 병렬로 연결하기 위하여 개폐장치를 설치한 장소

 

(10) 보조급전구분소(Sub Sectioning Post) :

선로의 작업, 고장, 장애또는 사고시에 정전 (단전)구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급전계통의 분리에 필요한 개폐장치와단권변압기 등을 설치한 장소

(11) 수전선로 :

한국전력변전소에서 전철변전소 또는 수전설비 간의 전선로와이에 부속되는 설비

(12) 연장급전 :

2개소 이상의 급전점에서 급전할 수 있는 급전구간을 1개소의 급전점에서 급전하는 방식

 

(13) 원격진단장치(예방진단설비) :

전기철도용 변전소(S/S), 급,전구분소(SP), 보조급전구분소(SSP), 병S렬급전소(PP), 단말보조급전구분소(ATP) 등에서 운전 중인 변전설비 (변압기,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열화 상태를 상시 원격으로 감시 및 진단할 수 있는 장치

(14) 전철변전소 등 :

전철변전소, 급전구분소, 보조급전구분소, 단말보조급전구분소, 병렬급전소를 총칭함

(15) 전철변전소(Sub Station) :

전기차량 및 전기철도설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구외로부터 전송된 전기를 구내에 시설한 변압기, 전동발전기, 회전변류기, 정류기 등 기타의 기계 기구에 의하여 변성(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는 것)하는 장소로서 변성한 전기를 다시 구외로 전송하는 장소

 

(16) 절연구분장치(Neutral Section) :

전차선로에서 서로 다른전기방식(교류/직류) 또는 다른위상(교류/교류)을 가진전기를 구분하는 구간에 설치하는 설비

(17) 흡상변압기 :

교류 전차선로에서 통신유도장해 경감을 위하여 급전회로에 직렬로 연결하여 레일에 통하는 운전전류를 부급전선으로 흐르게 하는 변압기

(18) 흡상선 :

흡 상변압기방식에서 부급전선과 귀선레일을 접속하는 전선

 

 

출처-국가철도공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차선로 안전설비  (0) 2022.07.26
전기방식과 급전방식  (0) 2022.07.21
원격제어설비 용어  (0) 2022.07.04
전차선설비 용어  (0) 2022.07.04
접지설비 설치기준 및 시공주체  (0) 2022.07.01

원격제어설비 용어

 

(1)소규모 원격제어장치:

변전소 또는 역사에 설치되는 SCADA 시스템을 말하며 유사시 현장에서 중앙감시제어장치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로써 해당 변전소 급전구간 및 전력설비 전력공급구간의 원격제어 및 감시를 수행

 

(2) 스카다(SCADA) :

원방감시제어시스템으로서 전철변전소, 수전실, 전기실 등 원격지에 설치된 전기설비를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전기관제실의 전기관제사 및 변전실에서 개폐기 등 각종 기기를 감시, 제어통제 할 수 있도록 설치한 일체의 설비

 

(3) 원격소장치:

전철전력설비(변전소, 구분소, 전기실, 전차선 설비 등)가 설치된 장소에 설치되어 현장의 상태 및 아날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기관제실 및 소규모 원격제어장치에 전송하는 장치

 

(4) 전기관제실 :

전력계통운영 및 전력설비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원격감시제어장치(이하 “원제장치”라한다)에 의하여 전철변전소, 전기실 등의 원격감시제어와설비의 유지관리 및 계통운용, 보호계전기 정정 등에 대하여 지시와통제를 하는 장소

 

 

출처-국가철도공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방식과 급전방식  (0) 2022.07.21
전철전원설비 용어  (0) 2022.07.04
전차선설비 용어  (0) 2022.07.04
접지설비 설치기준 및 시공주체  (0) 2022.07.01
사전점검 점검표  (0) 2020.09.04

전차선설비 용어

 

(1) 가고 : 합성전차선의 지지점에서 조가선과 전차선과의 수직 중심간격

(2) 가공전차선 : 합성전차선과 이에 부속된 곡선당김장치, 건넘선장치, 장력조정장치, 구분장치, 급전분기장치, 균압장치, 흐름방지장치등을 총괄한 것

(3) 가공지선(overhead Ground Wire) : 가공전선로의 뇌격방지를 위하여 전선로 상부에 설치하는 접지전선

(4) 강체전차선 : 전기차량의 집전장치에 접촉, 동작하여 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강체레일 형태의 도체 바(bar)

(5) 강체전차선로 : 강체전차선 및 이를 지지하는 설비(지지금구, 연결금구, 리지드바, 롱이어, 애자, 브래킷등)를 총괄한 것

 

(6) 건넘선 장치: 선로가 교차하는 분기장소에 있어서 각 선로에 전기차를 운전할 수 있도록 전차선을 교차시켜서 팬터그래프의 집전을 가능하게 하는 설비

(7) 건식게이지(Gauge) : 전주중심과 궤도 중심과의 최소이격거리

(8) 곡)선당김장치: 가동브래킷을 사용하지 않고 애자등으로 절연하여 합성전차선을 지지하는 장치

(9) 구분장치: 정전구간을 한정하거나 교류전철화 구간의 M, T상의 이상 전원을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장치로서, 전차선로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위하여 전기적으로 구분하는 장치인 동상구분장치(에어섹션, 애자섹션), 변전소 급전인출구 및 급전구분소의 급전인출구, 교류와직류를 구분하는 장치인 절연구분장치(Neutral Section), 전차선의 신축 때문에 전차선을 일정길이마다 인류하기 위해 설치한 기계적 구분장치인 에어조인트(Air Joint)로 나눔

(10) 급전선 : 합성전차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AT 급 전방식에서 전차선에 직접전기를 공급하는 전선(TF), 주변압기와단권변압기 간을 연결하는 전선(AF)과 BT 급 전방식에서 주변압기의 2차측 또는 BT에서 전차선에 직접전기를 공급하는 전선(PF)을 포함

 

(11) 급전선로 : 급 전선 및 이를 지지 또는 보장하는 설비(전주, 완철, 문형완철, 애자, 관로 등)를 총괄한 것

(12) 보조조가선 : 합성전차선의 지지점에서 조가선의 가고를 조정하기 위하여 보조로 설치한 조가선을 말한다. 또한, 콤파운드 가선방식에서 본 조가선 밑에 설치한 조가선도 이에 포함

(13) 보호선(Protective Wire) : 단권변압기방식에서 애자의 부측 또는 빔등을 연접하여 귀선 레일에 접속하는 가공전선으로서 대지에 대하여 절연한 전선

(14) 보호선용접속선(Contact Protection Wire) : 단권변압기 방식에서 보호선과 귀선레일을 접속하는 전선

(15) 부급전선 : 통신유도장해 경감을 위하여 귀선레일과 병렬로 시설하여 운전용 전기를 변전소로 귀환하게 하는 전선

 

(16) 비절연보호선(Fault Protection Wire) : 단권변압기방식의 지하구간 및 통합접지방식 구간에서 섬락보호를 위하여 철재, 지지물을 연접하여 귀선레일에 접속하는 가공전선으로서 대지에 대하여 절연하지 아니하는 전선

(17) 섬7락보호지선(Flashover Protection Ground Wire) : 섬e락으로부터 여객및 기타 전선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구간에 대하여 빔․철주 등 철지지물을 연접하여 접지시키는 가공전선

(18) 심플커티너리(Simple Catenary) : 전차선로 타입의 하나로서, 단일 조가선과 단일 전차선만으로 전차선로를 가공 현수하는 구조를 갖는 가선형태를 말하며, 헤비 심플커티너리(Heavy Simple Catenary)를 포함

(19) 에어섹션: 집전부분의 전차선에 절연물을 넣지 않고 절연해야 할 전차선 상호간의 평행부분을 일정간격으로 유지시켜공기의 절연을 이용한 구분장치

(20) 영구신장조성(Prestretch) : 전차선 및 조가선을 정상적으로 인류하기 전에 영구신장이 생기도록 미리 과장력을 가하여 주는 것

 

(21) 이선 : 전차선과 전기차의 집전장치가 서로 떨어지거나 접촉력이 “0 (Zero)”인 상태

(22) 이중조가선 : 합성전차선의 과선교 하부 및 지지점 등에서 조가선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2중으로 설치한 조가선

(23) 이행구간 : 커 티너리 가선구간과 강체 가선구간의 접속구간

(24) 인류구간 : 가공전차선의 한 인류지점에서 맞은편 인류지점까지의 구간(흐름방지장치 제외)

(25) 장력구간 : 가공전차선의 한 인류지점에서 장력조정장치의 힘이 미치는 구간

 

(26) 장력조정장치: 합성전차선에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

(27) 전차선 : 전기차량의 집전장치에 접촉, 동작하여 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가공전선

(28) 전차선 해빙시스템: 전차선 결빙과 관련하여 전차선 결빙조건 도달시 해빙회로(동절기) 가공전차선에 발생하는 결빙을 임의의 폐회로를 구성하여 Joule열을 발생시켜결빙을 녹이도록 구성한 회로)를 구성, 원격감시제어에 의해 이를 제거하여 전기차의 팬터그래프가 정상적인 집전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설치한 설비

(29) 전차선로 : 동력차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선로를 따라설치한 시설물로서 전선, 지지물 및 관련부속설비를 총괄한 것

(30) 전차선로용보안기 : 한쪽은 대지와접지 또는 섬락보호지선에 연결하여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고, 다른한쪽은 부급전선 또는 보호선에 접속하여 대지의 정격전압을 제한하기 위하여 삽입하는 방전간격장치

 

(31) 절연조가선 : 조가선의 보호와상구분장치구간에서 갑작스러운 단락사고로부터 조가선 보호를 위해 절연물로 피복한 전선

(32) 중성선(Netural Wire) : 단권변압기의 중성점과 귀선레일을 접속하는 전선을 말하며 중성점접지방식의 중성선과 구별

(33) 지락도선 : 애 자의 부측을 섬락보호지선, 부급전선 또는 보호선에 접속하는 전선(애자 보호선)과 콘크리트주 등에 취부한 가동브래킷, 빔등의 설치밴드와섬락보호지선, 부급전선 또는 보호선에 접속하는 전선(지락유도선)을 말함. 또한, 섬락보호지선에 연결되지 아니한 인접철지지물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접가공접지선(연접지선)을 포함

(34) 진동가고 : 전차선과 가동브래킷의 수평파이프(또는 진동방지파이프) 및 빔하스펜선과의 수직 중심간격

(35) 피복조가선 : 조가선 보호를 위해 절연물로 피복한 전선

(36) 합성전차선 : 조가선(강체 포함), 전차선, 행거, 드로퍼등으로 구성한 가공전선

 

 

출처-국가철도공단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철전원설비 용어  (0) 2022.07.04
원격제어설비 용어  (0) 2022.07.04
접지설비 설치기준 및 시공주체  (0) 2022.07.01
사전점검 점검표  (0) 2020.09.04
전철주 기초 시공순서  (0) 2020.07.24

1. 접지설비 설치기준

 

(1) 사고 시 발생되는 이상전류(낙뢰ㆍ고장전류)로 인한 인체 감전, 기기파손, 전력ㆍ전자장비 오동작 및 파손(보호계전기 동작 확보) 등의 방지를 위하여 매설접지를 시설하여야 한다.

(2) 설치기준

구 분 일반철도 고속철도
매설 접지선
(CU 35㎟)
ㆍ상선 1회선 매설 ㆍ상선 1회선 매설
절연 접지선
(F-GV/Al 95㎟)
ㆍ상,하선 공동 관로내 상·하선 각
   1회선 포설
ㆍ상,하선 공동 관로내 상·하선 각
   1회선 포설
접지단자함 ㆍ250m 간격으로 설치
   (지중관로방식일 경우)
ㆍ250m 간격으로 설치
   (지중관로방식일 경우)
본딩선 ㆍ 250m ㆍ 250m
접속선 ㆍ 필요개소에서 분기 ㆍ 필요개소에서 분기
구조물 접지(터널) ㆍ접지용 평철 설치 200㎟이상 ㆍ접지용 평철 설치 200㎟이상
구조물 접지(교량) ㆍ매 교각 마다 시설 ㆍ매 교각 마다 시설

 

 

2. 시공 주체
- 선로변 접지망은 전력분야에서 시행하며, 선로변 금속체의 피접지물과 접지망 연결은 해당분야에서 시행

 [단, 토목분야  (방음벽, 울타리 등)에서 시공하는 금속체의 접지망 연결은 전차선분야(비전철구간은 전력분

 야)에서 시행]
- 선로 접지망 구축을 위한 분야별 업무주체는 다음과 같다.
 • 접지단자함(절연접지선) 시공 : 전력
 • 상,하선 횡단 접지선 : 전력
 • FPW와 접지단자함(절연접지선) 연결 : 전차선
 • CPW를 활용한 접지망 구축
   FPW와 접지단자함(절연접지선) 연결 : 전차선
   접지단자함(절연접지선)과 궤도회로 연결 : 신호
 • 중성선(NW) 활용한 접지망 구축
   접지단자함(절연접지선)과 AT 접지 단자함 연결 : 전차선
   접지단자함(절연접지선)과 궤도회로 연결 : 신호
- 구조물 접지는 토목에서 시행 (마감개소 동관단자 설치 및 본딩선 포함)
- 비전철구간은 매설접지선(CU 35㎟) 및 접속선(F-GV/Cu 70㎟ 및 F-GV/Al 95㎟) 은 토목분야 에서 시공하고

  접지 단자함 설치 및 접속선 연결은 전력분야에서 시공
- 기존선 개량구간은 현장여건에 따라 시공주체를 정할 수 있다.

 

 

3. 통합접지방식의 시설

(1) 공동관로를 시설하는 구간과 터널 내 케이블트레이를 시설하는 구간은 공동관로 내와 트레이 내에 알루미늄

합금 절연접지선을 포설하고, 지중관로 방식은 250[m]마다 접지단자함(전철추 취부, 자립형)을 설치하여 매설접

지선과 접속하며 π접속 또는 T접속으로 한다.
(2) 공동관로 내에 포설되는 절연접지선은 모든 기기 등을 등전위 본딩 할 수 있도록 250[m]마다 매설접지선과

연결하며, 필요개소의 모든 피접지물을 절연접지선에 접속하여야 한다.
(3) 알루미늄 합금 절연접지선으로 시설할 때에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반영하여야 한다.
 ① 공동관로 및 터널 케이블트레이에는 알루미늄 합금 절연접지선(F-GV/Al 95㎟)으로 시설하며, 접지선의 접속은

크램프접속 또는 압축접속, 용융접속, 관통형 분기접속으로 한다.
② 알루미늄 절연접지선에서 T분기 인출선은 시공성을 고려하여 동(Cu) 절연접지선으로 사용한다.
③ 직선접속 슬리브는 한전표준규격(ES-5935-0004)을 적용하며 다음 표에 의한다.

접지선 규격 한전표준규격(ES-5935-0004)
기호 슬리브 규격
Al 95㎟, Cu 70㎟ S-1 Al 95㎟, Cu 100㎟

④ 분기접속 슬리브는 접지선 규격에 적합한 한전표준규격(ES-5935-0001) 또는 철도표준규격(KRS PW 0039-6)을 적용하며 다음 표에 의한다

접지선 규격 기호 슬리브 규격 비고
Al 95㎟, Cu 16㎟ E3-1 Al 95㎟, Cu 38㎟ 한전표준규격
(ES-5935-0001)
Al 95㎟, Cu 35㎟
Al 95㎟, Cu 50㎟ E3-2 Al 95㎟, Cu 60㎟
Al 95㎟, Cu 70㎟
Al 95㎟, Cu 95㎟ E3-3 Al 95㎟, Cu 100㎟
Al 95㎟, Cu 70㎟ SS-1 Al 95㎟, Cu 100㎟ 철도표준규격
(KRS PW 0039-6)
Al 95㎟, Cu 95㎟

⑤ 슬리브의 전선 삽입구멍에는 산화방지 및 접속특성 향상을 위한 컴파운드는 한전표준규격(ES-6850-0002)을 적용하고 슬리브 제작시 제작업체에서 컴파운드를 도포하여 납품토록 해야한다.
⑥ 동(Cu)과 알루미늄간 슬리브 접속 후 절연성능 확보 및 방식, 방수를 위해 자기융착테이프 사용하여야 한다.
⑦ 동(Cu)과 알루미늄간 접속지점을 알 수 있도록 알루미늄 재질의 “접지접속 표지판”을 확인이 가능한 위치에 부착하여야 한다.
⑧ 그 외 명시하지 않은 사항은 한전표준규격 또는 철도표준규격을 준용한다.(4) 접지선의 접속은 크램프접속 또는 압축접속, 용융접속으로 한다.

 

 

4. 선로변 울타리 접지
(1) 선로변 철제 울타리 등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반영하여야 한다.
① 절연접지선, 비절연보호선, 접지단자함에서 선로외측으로 직선거리 5[m]이내에 설치 되는 선로변의 울타리 등과 같은 금속체는 통합접지에 연결하여야 한다.
② ①항 이외의 선로연변의 금속체, 특히 교량의 하부에 시설되는 울타리 등의 접지는 생략할 수 있으나, 설치위치, 환경 등의 현장 여건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및 판단기준에 의한 별도의 접지를 시행할 수 있다
③ 통합접지전극과 선로연변의 금속체(울타리 등)와의 연결은 나동연선을 이용하여 매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 한 경우는 피복 접지전선(F-GV전선)을 사용하여 노출시공을 할 수 있다.
④ 지면상에 노출되는 접지선의 경우 접지선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PVC 전선관내 수용하여 설치한다.
⑤ 통합접지전극과의 연결 접속점 등은 접지압축 슬리브를 유압축기 등을 사용하여 압축강도 80톤 이상의 강도로 압축하여야 한다.
⑥ 통합접지 연결되는 접지선의 매설깊이는 지표면 0.75[m]의 깊이에 매설한다.
(2) 선로변 철제 울타리의 재질이 철재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인 경우 등은 다음 각 호 의 사항과 같이 시설한다.
① 길이가 250[m] 미만의 경우는 양쪽 끝단을 가까운 통합접지의 접지단자함에 연결하여 접속한다.
② 길이가 250[m]이상의 경우는 양끝단과 중간에 250[m] 간격마다 가까운 통합접지의 접지단자함에 연결 접속한다.
③ 길이가 250[m] 구간에 출입문이 설치되는 개소는 출입문이 열리는 개소의 좌우측을 통합접지에 연결하거나 별도의 본딩선을 설치 하여 연결한다.
④ 선로연변에 설치되는 울타리 지지주의 볼트에 연결되는 단자는 풀림이 없도록 견고하게 연결 한다.
⑤ 배관을 사용하는 개소 중에 꺽임이 있는 경우 노말밴드 등을 사용하여 접지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5. 철도 역사의 접지 시설
(1) 철도역사에 설치되는 수전실 및 전기실이 지상에 설치되는 개소는 수전실 및 전기실 하부에 접지망(메쉬)접지를 시설하고, 통합접지 및 건축물의 구조체와 연결한다.
(2) 수전실 및 전기실이 고가(선상역사) 또는 역사건물의 맨 아래층 제외한 중간층에 설치되는 경우 접지망(메쉬)접지를 시설하지 않고, 통합접지 및 건축물의 구조체와 연결한다.
(3) 수전실 및 전기실의 위치가 역사건물의 맨 아래층(지하역사 포함)에 설치되는 개소는 하부에 접지망(메쉬)를 시설하고 통합접지 및 건축물의 구조체와 연결 한다.
(4) 접지망(메쉬) 접지는 다음 각 호의 사항과 같이 시설한다.
① 수전실 및 전기실 하부에 신설하는 접지망(메쉬)접지는 전기실 내 접지단자함과 연결하고 접지단자함은 통합접지선 및 건축물에 설치되는 구조체와 3개소 이상 접속한다.
② 접지망(메쉬)접지는 변전실 및 전기실의 면적보다 4면 모두 1.0∼1.5[m] 넓게 설치한다.
③ 접지망(메쉬)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으로하고, 접지망의 가로줄 및 세로줄 도체 간격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다.
④ 높은 전위경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접지망의 접지도체를 추가하거나 도체 간격을 조밀하게 배열할 수 있으며, 접지봉을 타입하여 보강할 수 있다.
⑤ 접지망 도체는 나연동 연선을 사용하고 접지봉은 동피복 강봉을 사용한다.
(5) 접지도체는 최대 지락고장전류 및 허용온도 등을 고려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반영하여야 한다.
① 국부적으로 위험한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도전율을 가져야 한다.
② 접속점은 예상되는 최대 지락고장전류가 고장 지속 시간동안 흐를 경우에도 용단되거나 열화되지 않아야 한다.
③ 부식이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6) 접지망 도체 간 또는 접지망내 도체간의 접속, 접지 연결선의 철구나 기기가대 측의 접속 등의 모든 접속은 접지 압축슬리브 의 압축식을 원칙으로 하며 필요 시 볼트접속 또는 용융접속을 사용한다. 단, 납땜접속은 금지한다.

 

출처-국가철도공단 KRE-04050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제어설비 용어  (0) 2022.07.04
전차선설비 용어  (0) 2022.07.04
사전점검 점검표  (0) 2020.09.04
전철주 기초 시공순서  (0) 2020.07.24
전철구분소의 구성  (0) 2020.01.17

□ 송변전분야

(Power Transmission)

점검분야 관리코드

점 검 항 목

점 검 결 과

비 고

적합

보완

송변전-01

송전선로

011

- 사용전검사필증 확인(전기안전공사)

 

 

 

012

- 송전설비 ITC(검사 및 시험점검표)결과 확인

 

 

 

013

- 송전설비 안전상태

․가공 : 철탑, 휀스, 접지 상태

․지중 : 맨홀상태, 케이블 지지철물

 

 

 

송변전-02

변전설비

021

- 사용전검사필증 확인(전기안전공사)

 

 

 

022

- 변전설비 ITC(검사 및 시험 점검표)결과 확인

 

 

 

023

- 각종 기기의 접지 시공상태 확인

 

 

 

024

- 연동 시험결과 확인

 

 

 

025

- 전철제어반 동작상태 확인

 

 

 

026

- 저압배전반 동작상태 확인

 

 

 

송변전-03

변전설비 방호장치

031

- 무인감시장치 시험결과 및 동작상태 확인

 

 

 

032

- 변전소 출입문 및 울타리 설치 상태

 

 

 

송변전-04

기타

041

- 비상조명등 설치 및 동작상태

 

 

 

042

- 각종 소화설비 및 환기설비 동작상태

 

 

 

043

- 바닥 도장 상태

 

 

 

044

- 각종 매뉴얼, 운전취급서 등

 

 

 

045

- 기타 송변전 관련 사항(예비품리스트포함)

 

 

 

전문기관 검사 및 철도운영자와 합동시험을 통해 정상기능이 확보되었다고 인정되는 시설에 대해서는 측정기록 확인으로 대체할 수 있다.

 

 

□ 전차선분야 (Catenary)

점검분야 관리코드

점 검 항 목

점 검 결 과

비 고

적합

보완

전차선-01

급전선로 등 전선로

011

- 케이블의 절연저항 및 내압시험 성적서 확인

 

 

 

012

- 접속점 단말처리 부분 외관점검

 

 

 

013

- 수목지장여부 및 횡단전선로 지장 유무

 

 

 

014

- 가공전선 접속지점 적정여부

(압축 접속기록부 확인)

 

 

 

015

- 팬터그래프와 급전선 이격거리(550㎜ 이상)

(근접개소 측정기록 확인)

 

 

 

016

- 케이블 절연측정 및 내압시험 결과확인

 

 

 

017

- 접지물과 이격거리 적정여부(300㎜이상)

 

 

 

018

- 애자 설치상태

 

 

 

019

- 피뢰기 절연저항 적정여부(절연, 시험성적 확인)

 

 

 

전차선-02

전차선로 (필요시 검측차 운행)

021

- 편위, 높이(자체 습동시험 결과 확인)

 

 

 

022

- 가고측정 : 시설량의 10%

(사용전 검사기록 확인)

 

 

 

023

- 전차선로와 접지물 이격거리

 

 

 

024

- 행거 및 드롭퍼 설치간격, 길이 수직도

(사용전 검사기록 확인)

 

 

 

025

- (강체) 전차선 물림상태

 

 

 

전차선-03

전철주(H형강주, 조립철주, 강관주)

031

- 수직건주 상태확인

 

 

 

032

- 볼트조임 토크 점검(사용전 검사기록 확인)

 

 

 

033

- 아연도금 피막두께 및 도금상태

(사용전 검사기록 확인)

 

 

 

034

- 전주기초 상태

 

 

 

전차선-04

단로기

041

- 단로기 설치의 적정성

 

 

 

042

- 접속날 접속 상태

 

 

 

043

- 단로기 조작상태 (동작시험, 원격제어시험)

 

 

 

점검분야 관리코드

점 검 항 목

점 검 결 과

비 고

적합

보완

전차선-05

절연구분장치(FRP, NS-25형) (육안점검 및 측정기록부 확인)

051

- 구분장치의 편위 (±50㎜)

 

 

 

052

- 구분장치의 높이(전차선 높이에 준함)

 

 

 

053

- 구분장치의 조립상태 점검

 

 

 

전차선-06

건넘선 장치

061

- 교차장치 조정상태

 

 

 

062

- 팬터그래프 습동상태 점검(측정기록부 확인)

 

 

 

063

- 균압선 접속 및 손상상태

 

 

 

064

- (강체) 본선과 측선의 상호간격 및고저차 적정여부

 

 

 

065

- (강체) 분기부와 본선부 강체전차선의 편위 적정여부

 

 

 

전차선-07

브래킷

071

- 가동브래킷 회전각도 적정여부

 

 

 

072

- 수평파이프와 전차선간 이격거리 적정여부

(사용전검사 기록 확인)

 

 

 

073

- (강체) 접지물과 이격거리(양부 300㎜ 이상)

 

 

 

074

- (강체) 장간애자 균열, 손상상태

 

 

 

075

- (강체) 가동부분 동작 및 강체와 접속상태

 

 

 

전차선-08

구분장치 (측정기록부 확인)

081

- 에어섹션 중심점의 편위(±50㎜)

 

 

 

082

- 양방향전차선의 간격(등고점, 지지점)

 

 

 

083

- 구분애자와 전차선의 높이차(200㎜ 이상)

 

 

 

084

- 애자형섹션의 편위(±50㎜)

 

 

 

085

- 팬터그래프 습동 지장여부

(사용전 검사기록 확인)

 

 

 

086

- (강체) 구분장치 수평 및 스키드 조정상태

 

 

 

전차선-09

장력조정장치

091

- 온도에 따른 시공 적정여부(와이어, 눈금자 등)

 

 

 

092

- 활차 동작상태 점검

 

 

 

전차선-10

(강체) 자동신축장치

101

- 전차선 물림상태

 

 

 

102

- 균압선 손상상태

 

 

 

103

- 지지점 설치의 적정여부

 

 

 

점검분야 관리코드

점 검 항 목

점 검 결 과

비 고

적합

보완

전차선-11

흐름방지장치

111

- 양방향 장력의 적정여부

 

 

 

112

- 턴버클 조정 및 금구류 이완상태

 

 

 

전차선-12

매설접지 설비 적정여부

121

- 접지선의 상호 접속상태

 

 

 

122

- 단자함 설치의 적정성

 

 

 

123

- 접지저항 적정여부(측정기록부 확인)

 

 

 

전차선-13

비임

131

- 비틀림, 처짐, 설치상태 확인

 

 

 

전차선-14

기 타

141

- 전차선 관계표지 설치 적정성

 

 

 

142

- 비임하스펜선 수평 및 장력상태

 

 

 

143

- 전차선로 개폐기 SCADA 수용여부

 

 

 

144

- 기타 전차선 관련 사항

 

 

 

145

- 급전계통과 일치여부 확인

 

 

 

전문기관 검사 및 철도운영자와 합동시험을 통해 정상기능이 확보되었다고 인정되는 시설에 대해서는 측정기록 확인으로 대체할 수 있다.

 

 

□ 전력분야

(Electric Power)

점검분야관리코드

점 검 항 목

점 검 결 과

비 고

적합

보완

전력-01

C-GIS반

011

- 공장시험성적서 확인

 

 

 

012

- 현장검사 및 시험점검표(ITC) 확인

 

 

 

전력-02

수․배전 설비

021

- 수․배전반 설치위치의 적정성 확인

 

 

 

022

- 수․배전반 설비 공장 시험성적서 확인

 

 

 

023

- 수․배전반 설비의 설치상태

 

 

 

024

- 각종 퓨즈, 차단기 용량의 적정여부

 

 

 

전력-03

수․배전 선로

031

- 케이블 접속 및 단말처리 상태

 

 

 

032

- 개폐기․피뢰기․변압기 외부상태

 

 

 

033

- 수전케이블 절연내력 및 절연저항 적정여부

 

 

 

전력-04

전등․전열 설비

041

- 조명등기구 배치의 적정성 확인

 

 

 

042

- 터널 조명등 점등상태

 

 

 

043

- 전등, 개폐기 및 콘센트 설치위치 적정여부

 

 

 

044

- 전선관, 전선, 각종 개폐기의 적정규격 준수여부 확인

 

 

 

045

- 전력간선 및 부하회로별 케이블 적정여부

 

 

 

전력-05

원격제어설비

051

- 전력 계통 그래픽 구성 적정여부

 

 

 

052

- 각종 기기 조작기능 정상여부

 

 

 

053

- 각종 기기 동작상태 현시 정상여부

 

 

 

054

- 전압․전류․전력량 원격 검침 이상여부

 

 

 

점검분야관리코드

점 검 항 목

점 검 결 과

비 고

적합

보완

전력-06

기타

061

- 각종 설비의 외관상태

 

 

 

062

- 각종 표지의 설치상태

 

 

 

063

- 변압기 접지선 설치여부

 

 

 

064

- 맨홀 침수 우려개소 확인

 

 

 

065

- 주요 설비의 접지측정치 적정여부

 

 

 

066

- 기타 전력 관련 사항

 

 

 

전문기관 검사 및 철도운영자와 합동시험을 통해 정상기능이 확보되었다고 인정되는 시설에 대해서는 측정기록 확인으로 대체할 수 있다.

※ 주요 수변전 전기설비는 사용전검사(한국전기안전공사) 시행

 

출처- 철도시설공단

 

 

1. 전철주 기초 시공순서

  •  기초재료, 가공, 기초 터파기 및 되메우기 잡석 시공과 콘크리트공사는 "EZ030129 흙파기와 되 메우기 공사” 및 "EZ030130 콘크리트공사“에 의하여 시공한다.
  •  기초의 형식과 위치는 설계도에 의하고 시공에 앞서 레일면과의 고저차 및 궤도중심과의 거리 를 반드시 실측하여야 하며, 부근의 지형, 구조물, 신호기와의 관계를 충분히 검토한 후 시공 하여야 한다.
  •  일반기초형의 콘크리트 기초는 보통지질과 암반개소의 경우 원형 콘크리트치기를 하고, 하중이 크고 지반이 연약한 개소에는 4각형 기초를 한다.
  •  터널․교량 등에 앵커볼트로 고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콘크리트기초를 한다.
  •  교각 및 옹벽 등 철주 기초시공 시에는 앵커볼트에 와셔를 사용하고 2중 너트 조임으로 시공한다.
  •  부득이 기설된 구조물(교각, 옹벽, 터널 벽 등)에 앵커볼트를 매입 시에는 케미컬앵커의 시공, 고강도 시멘트 사용 등의 방법으로 콘크리트의 강도를 저감하지 않게 시공한다.
  •  기초를 측구(배수로)에 설치할 때는 기초 면과 측구 면을 같게 하여 물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소정의 기초크기와 전주 높이를 유지하여야 한다. 부득이한 경우 측구를 우회시키거 나 배수에 지장 없는 배수로용 특수 기초로 하여야 하며 해체한 콘크리트나 옹벽 등은 원상태로 복구하여야 한다.
  •  일반 지지물 기초시공 시에는 특별시방서에 의거 터파기 및 되메우기를 시공하여야 하며 특히 노반 침하 등에 유의하고 정거장 구내에서는 열차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시공한다.
  •  기초시공 도중 설계내용과 지질의 차가 심한 곳은 공단 감독자와 협의하여 지내력과 지형에 적 합한 기초로 변경 시행하여야 한다.
  •   기초 터파기는 현장여건상 기계화 작업이 불가능하며 인력 시공이 불가피하다고 판단되면 공단 감독자와 충분히 검토 후 설계변경 시공하여야 한다.

 

2.  전철주 시공순서 및 시공요령

1) 설치할 전철주 선택

- 운반 및 시공 시 전주 도금보호에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해야한다.

2) 크레인 작업

- 장비유도원은 크레인 장비 조작자에게 위치를 유도한다.

- 적재 조건을 고려한 자재배열뿐만 아니라 시공사는 현장에서 작업순서에 맞게 하역작업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진행

  되도록 자재를 차량위에 배열하는 것도 책임이 있다.

3) 정밀하게 수평을 맞춘 기초에 체결

4) 전철주의 수직확인작업은 수평기 또는 수직을 확인 할 수 있는 측량기를 사용하여 수평을 조정한다.

 

+ Recent posts